'한우물 동계(洞契)'와 '임효생'

'나눔과 더불어 삶'의 정신 300여년 동안 이어져

등록 2006.12.21 19:36수정 2006.12.22 15:52
0
원고료로 응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정동(大井洞-한우물) 에는 300여년 이어져 내려오는 동계(洞契-동네 계)가 있다. 또, 이 마을에는 오랜 옛날부터 '동네 할아버지'라고 불리는 훌륭한 분이 계셨다고 한다. 이 마을 동계가 중심이 되어 그 할아버지를 공경하고 사모하는 마음에서 해마다 제사를 모신다고 한다. 12월 19일(화), 동계에서 주관하는 '동네 할아버지' 제사와 동계 결산보고가 있던 날이다. 나는 동계의 허락을 받아 동계행사에 참여하게 되었고 그 일부를 소개한다.

전 재산 주고 간 동네 할아버지 '임효생'


묘비 앞쪽에는 ‘嘉善大夫 同知中樞府事 林孝生...’이라고 씌여있다. 가선대부와 동지중추부사의 품직은 흉년으로 인한 기근과 전염병으로 백성들이 어려웠던 시기에 이웃에게 곡식을 나누어주었거나 지방관청의 진휼사업에 공로가 있던 사람에게 주었던 품계이다.
묘비 앞쪽에는 ‘嘉善大夫 同知中樞府事 林孝生...’이라고 씌여있다. 가선대부와 동지중추부사의 품직은 흉년으로 인한 기근과 전염병으로 백성들이 어려웠던 시기에 이웃에게 곡식을 나누어주었거나 지방관청의 진휼사업에 공로가 있던 사람에게 주었던 품계이다.최장문
同知 名曰孝生 字曰孝源 동지(同知)의 이름은 효생(孝生)이요, 자는 효원(孝源)이라...
......
其生也善 活人四隅 살아서는 선행을 하여 사방의 사람들을 살렸고
其死也哀 無子無女 죽어서는 슬프나니 자녀가 없도다.
吁 由此敬之 萬世...年 아! 이(碑)로 말미암아 공경할지니 만세(萬世)토록….

옹정(擁正) 2년(1724, 영조 즉위년)


12월 19일 제사 장면. 300여년이 지난 지금에도 대정동 동계에서는 임효생을 비롯한 신상하, 조대장 등의 동네 선조들을 제사 지내주고 있다.
12월 19일 제사 장면. 300여년이 지난 지금에도 대정동 동계에서는 임효생을 비롯한 신상하, 조대장 등의 동네 선조들을 제사 지내주고 있다.최장문
임효생은 조선 숙종때 이 마을에서 살던 사람이다. 생존시에 마을과 주변 사람들을 구휼하는데 힘썼고, 죽어서는 남은 재산마저 모두 마을에 희사했다. 이러한 선행은 마을의 귀감이 되어 사후(死後)에 추모비를 건립하게 되었고, 동계에서 그를 위한 제사를 지내주게 되었다. 그의 재산은 마을 공동 재산이 되어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다.

유성구 대정동 한우물 동계의 단초를 마련한 임효생 묘와 묘비문.
유성구 대정동 한우물 동계의 단초를 마련한 임효생 묘와 묘비문.최장문
임효생은 평민이었고, 실제로 벼슬을 한 사람이 아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양반이었다면 부인이 먼저 죽었더라도 사후에 증정부인으로 추증하는 교지를 내리는 것이 관례이기 때문이다.

선행은 또 다른 선행을 낳고


200여년이 지나서 이 마을에는 제 2의 '동네 할아버지'가 등장한다. 바로 '신상하'와 '조대장'이다. 신상하는 재산에 대한 등기부등본이 남아있어 일제시대에 생존했던 인물로 역시 자손을 두지 못했다고 한다. 조대장은 동네에서 대장간을 운영했다고만 알려져 있고 이름이 전하지 않아 후세에 '조대장'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두 사람 역시 동계원이었고, 죽어서 자신들의 재산을 동네에 기부하였다. 아쉽게도 두 사람에 대해 전해지는 것은 이것이 전부라고 한다. 하지만 두 분의 선행은 분명 동계와 임효생에게서 비롯된 "나눔과 더불어 삶"의 아름다운 전통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이날 행사를 주관한 임영국 동계(洞契)장님은 "현재 이분들이 남긴 재산은 부동산이 대부분이나 이로부터 발생되는 소득은 세 분의 추모사업과 마을의 경로사업, 효자·효부의 표창, 마을 청소년들의 장학금에 사용되고 있으며 추후에는 기념회관을 세울 계획"이라고 말씀하셨다.

제사를 마치고, 동계원들이 마을회관에서 동계 1년 활동 및 결산보고를 하고 있다.
제사를 마치고, 동계원들이 마을회관에서 동계 1년 활동 및 결산보고를 하고 있다.최장문

한우물 마을 전경. 동네에 큰 우물이 있어 한우물이라 부르다가 일제시대 행정구역 정비때 한자식 표기인 대정동(大井洞)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한우물 마을 전경. 동네에 큰 우물이 있어 한우물이라 부르다가 일제시대 행정구역 정비때 한자식 표기인 대정동(大井洞)으로 명칭이 바뀌었다.최장문
'나눔과 더불어 삶', 대전 정신으로 큰 우물처럼 솟아나기를....

동계는 농촌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마을 공동체 생활 모습이었으나, 산업화·도시화의 물결속에서 이제는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 말과 글이 아니라 실천으로 보여준 잔잔한 마을 공동체의 미덕이 30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대정동에서는 계속되고 있었다.

참으로 자랑스러운 우리고장의 미풍양속이며 훌륭한 정신적 문화유산이 아닐 수 없다. 임효생, 신상하, 조대장 등의 '나눔의 정신'과 대정동 동계의 '더불어 삶'이 한 우물처럼 맑고 큰 물이 되어 대전의 곳곳을 적셔주기를 소망한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마을이 개발되면서 임효생을 비롯한 6기의 묘가 논산으로 이장된 것이다. 다시 마을로 옮겨와 마을에서 묘역을 관리하며 그 정신을 살리는 공간으로 자리매김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함께 참석했던 한밭문화마당 임헌기 대표는 한우물 동계를 대전의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나눔과 더불어 삶'의 정신을 계승하고 대전의 지역문화로 정착시켰으면 좋겠다고 말하였다. 한 사람·한 물건이 그 가치를 독점하는 것이 아니라 무형문화재 대정동 동계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이 문화재가 되어 그 정신을 계승하고 공유한다는 면에서 더욱 가치 있는 지역공동체 문화가 될 것이라 생각되었다.

덧붙이는 글 | '한우물 동계'와 '임효생 선생'에 대한 이야기는 대전향토사료관 양승률 학예사와 한밭문화마당 임헌기 대표를 통해 2005년 이후 세간에 알려지게 되었다. 두 분께 고마움을 전한다.

덧붙이는 글 '한우물 동계'와 '임효생 선생'에 대한 이야기는 대전향토사료관 양승률 학예사와 한밭문화마당 임헌기 대표를 통해 2005년 이후 세간에 알려지게 되었다. 두 분께 고마움을 전한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역사가 세월속에서 문화의 무늬가 되고, 내 주변 어딘가에 저만치 있습니다. 자세히 보고, 오래보면 예쁘고 아름답다고 했는데....


AD

AD

AD

인기기사

  1. 1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2. 2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3. 3 의사 아빠가 죽은 딸의 심장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 의사 아빠가 죽은 딸의 심장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
  4. 4 "나는 폐허 속을 부끄럽게 살고 있다" 경희대 시국선언문 화제 "나는 폐허 속을 부끄럽게 살고 있다" 경희대 시국선언문 화제
  5. 5 미국에 투자한 한국기업들 큰일 났다... 윤 정부, 또 망칠 건가 미국에 투자한 한국기업들 큰일 났다... 윤 정부, 또 망칠 건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