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최초의 여류화가 나혜석의 생전 모습
1920년대 말, 일본이 내지르는 거친 호흡 속에서 조선이 서서히 무너져갈 무렵, 서양이라는 대륙은 멀고 먼 꿈속의 단어로만 들릴 때, 한국 최초의 여류화가였던 나혜석은 당시 외교관이었던 남편을 따라 1년6개월이란 오랜 기간 동안 유럽일주를 할 수 있는 드문 기회를 얻는다.
당시 이미 고만고만한 어린 자식 셋을 둔 젊은 엄마였던 나혜석은 자식들을 나이 드신 시어머니에게 맡기고 용감하게 남편을 따라 나서는 파격적인 행동을 한다. 남편이 독일에서 근무할 동안 그는 혼자 파리에서 3개월간(자료에 따라 6개월로 기록되기도 했다) 머물게 된다. 당시 파리의 미술을 배우기 위해서였다.
나혜석이 파리에 머문 기간은 정확하게 1927년 8월부터인데 파리 근교인 르베지네에 있는 한 프랑스 가정집에서 묵은 걸로 되어있다. 나혜석은 이 집에 머물면서 파리에 있는 화가 비시에르의 아틀리에를 드나들면서 서양미술을 공부했다. 당시 파리 화단에서는 중장년층의 피카소, 브라크, 마티스 등이 군림하고 있었다.
나혜석은 아시아문제에 정통했던 아시아 학자이며 철학과 교수임과 동시에 약소국민회 부회장직을 맡고 있던 샬레 집에서 기거했는데 이 집에서 살면서 보고 느꼈던 프랑스 가정 이야기를 조선에 돌아온 이후 여러 잡지에 발표했다.
"이 집은 파리 상라자르 정류장에서 전차로 25분 간밖에 아니 걸리는 파리 가까운 시외니 별장 많기로 유명한 레베지네하고 하는 곳에 있다. 시외니 만치 수목이 많고 이 집 정원도 꽤 넓다. 정원에는 높은 고목이 군데군데 서 있고 푸른 잔디 위에는 백색 화초가 피어있고 우거진 수풀, 엉켜 오르는 덩굴, 작약화, 월계화, 등꽃이 피어 있고 그 옆에는 채소밭이 있어 딸기, 감자, 상추, 파, 콩이 심겨 있다. 또 한편 마당에는 토끼, 비둘기, 밀봉(꿀벌)을 기른다. 그리하여 꽃 꺾어 방에 장치하고 채소 뜯어 반찬하고 가축 잡아 공물로 쓴다. 외형 차림차림만 보아도 얼마나 재미있는지!" ('프랑스 가정은 얼마나 다를까' 중에서, 1936년 4월 <삼천리> 발표, 나혜석 전집 중, 태학사 2002)
나혜석이 머물렀던 집을 찾고 싶어졌다
@BRI@이 글을 읽으니 나혜석이 머물렀던 집을 찾아보고 싶은 생각이 났다. 마침 파리에 살고 있으니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듯 했다. 문제는 이 집 주소를 찾아내는 일이었다. 단지 동네 이름과 사람 이름만 갖고 거의 80여년 전에 살았던 집의 주소를 찾는게 가능할까?
우선 르베지네 면사무소에 전화를 걸어서 1927년 당시에 살았던 샬레의 집 주소를 찾는게 가능한지 알아보는 일부터 시작해야 할 것 같았다. 가능하다면 자손들의 이름도 얻어내고 싶었다. 면사무소에 전화를 거니 직원 말에 의하면 26년도 선거리스트를 찾아야 주소 확인이 가능하다고 한다.
며칠이 지나서 메일로 연락이 왔다. 샬레의 아들 이름은 장, 1918년생, 주소는 11 bis rue Thiers라 되어있었다. 당시 7세였던 막내아들의 나이를 따져보니 올해로 88세. 아직도 살아있을 가능성이 많은 나이였다.
우선 이 아들을 찾는 일부터 시작하기로 했다. 곧장 인터넷에 들어가 알려준 거리 지도를 뽑아보니, 단독주택가가 아니었다. 책에 나와있는 대로라면 샬레 가족은 커다란 정원 딸린 주택에서 살고 있었다.
'프랑스가 한국과는 달라서 80년 전 주택가를 다 헐어버렸을 리는 없을텐데….' 하며 우선 이 거리에 사는 사람 아무에게나 전화를 걸어보기로 했다. 마침 사무실이 하나 있기에 전화를 걸어 그 거리에 주택은 하나도 없느냐고 물었더니 "없다"라는 반응이 나왔다.
뭔가 이상했다. 다시 면사무소에 전화를 걸었다. 알려준 주소는 주택가가 아니라고 했더니 한참을 생각한 뒤 그 거리 이름이 1930년대에 Henri-Cloppet로 바뀐 걸 깜빡 잊었다고 알려준다. 다시 인터넷에 들어가 알려준 거리지도를 뽑았다. 면사무소에서 알려준대로 11 bis에 누가 사는지 두드렸더니 다행히 한 이름과 전화번호가 나왔다.
기다림의 연속... 여기가 프랑스 맞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