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상반기 통권 6호로 발행된 <작가와 비평>컬처뉴스
1990년대 우리 문학이 ‘내면의 문학’으로 호명됐다면 2000년대 이후 우리 문학을 호명하는 대표적인 방식은 ‘새로운 상상력’이다. 그리고 이 ‘새로운 상상력’은 2007년 봄, 여전히 유효한 명제다. 올 봄 문예지들은 이 ‘새로운 상상력’의 양상을 짚기도 하고 정체를 묻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상상력’의 기제로서 ‘하위문화’의 가능성을 묻는다.
반년간지 <작가와 비평>은 이번 상반기 특집에서 ‘경계를 넘어서’라는 주제로 최근 우리문단의 새로운 상상력이자 징후로 등장한 ‘경계 넘기’ 현상에 주목하고 있다.
총론을 쓴 고봉준 평론가는 '추방과 탈주 : 타자ㆍ마이너리티ㆍ디아스포라'라는 글에서 ‘타자’를 공포와 환대, 교환의 방식으로 대상화하고 있는 논의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이주노동자와 불법체류자들에게서 지고한 인간적 가치의 아름다움만을 보려는 문학적 시도는 이방인을 무조건 악/병균으로 간주하는 적대적 태도만큼이나 위험하다”고 말하고 있다.
결국 “중요한 것은 디아스포라 자체가 아니라 노동력의 이동에서 자본의 전 지구화와 신자유주의라는, 인권이나 평화와 같은 보편적 가치들에 동반되는 (국가) 폭력의 문제를 포착하는 일”이며 그 본질적인 폭력성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타자, 마이너리티, 디아스포라 문학은 추방자들의 연대로 명명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정재림 평론가는 '‘우리’였다가, ‘우리’일 것이었다가, 결국 ‘그들’인'이라는 글에서 소설에 나타난 국내의 이주노동자의 문제를, 이경수 평론가는 '국경을 횡단하는 상상력 - 2000년대 시를 중심으로'에서 시에 나타난 탈국가적 상상력을, 최강민 평론가는 '초국가 자본주의 시대의 다양한 탈국가적 상상력'에서 우리사회를 비롯한 문단이 국경 안팎의 ‘타자’들을 형상화하는 방식을 총체적으로 점검하고 있다.
또 정은경 평론가는 '젠더를 넘는 둘 혹은 하나의 방법-천운영과 배수아 소설을 중심으로'에서 앞선 ‘국경’의 문제와는 다르지만 마이너리티의 시선에서 젠더와 이성애 지배 담론을 비껴가는 동성애 문제를 다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