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재정부로 인해 억압된 사회구조와 그들의 취약한 정통성은 '민주화'를 바라는 범국민적인 요구로 나타났다.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결국 1980년대 중반(1985년 2.12 총선 이후)에 들어서면서, 극도로 비합리적이고 억압된 사회구조와 정통성 없는 정부를 성토하는 요구하는 목소리는 범사회적인 움직임으로 이어지게 되었고, 야당과 재야단체를 중심으로한 '민주세력'은 당시의 노동자, 학생, 농민들에게 지지를 받으며 독재정권의 억압에 대항할 수 있는 강력한 사회세력으로 성장하게 된다.
그들은 직선제 개헌과 같은 '절차적 민주주의', 민간정부로의 정권교체와 언론·출판·결사·집회의 자유 등을 골자로 한 '실질적 민주주의'를 함께 요구하며, 헌법개정을 주장하게 된다. 그렇지만 전두환 정권은 1987년 4.13 호헌조치를 발표하며 민주화를 열망하는 국민들의 요구를 묵살하기에 급급했다.
이에 반발한 민주세력은 전국 각지에서 장기집권의 음모를 비난하고, 개헌을 요구하는 시위를 연이어 벌였다. 또한 이 와중에 박종철 사건이 애초에 당국이 발표한 내용과는 달리 고문치사로 인해 사망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그들의 시위는 더욱 격렬해져, 1987년 6월 10일에는 전국 18개 도시에서 대규모 가두집회가 열렸다.
그 후 26일에는 전국 37개 도시에서 사상 최대의 인원인 100만 명 이상이 밤늦게까지 격렬한 시위를 벌어졌다. 이처럼 전국적인 대규모 시위가 계속되자, 결국 전두환 정권도 어쩔 수 없이 4·13 호헌조치를 철회하게 되었고, 29일에는 당시 민정당 대표였던 노태우가 국민들의 민주화와 직선제 개헌 요구를 받아들인다는 '6.29 특별선언'을 발표하게 된다.
하지만 민주화에 대한 열기가 전국적으로 넘쳐가던 그 때, 5공 정부는 1987년 6월 10일 서울 잠실체육관에서 열린 민정당 제4차 전당대회 및 대통령후보 지명대회를 통해, 같은 군부세력 출신인 육사 11기 노태우의 손을 들어줌으로써, 권력승계 절차를 원만히 이어가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