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태에 대한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발언은 적어도 두가지 이상의 갈등지점을 내포하고 있다. 하나는 '장애인 차별'에 대한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낙태허용'에 대한 문제이다. 사진은 한 산부인과 간판(기사 내용과 특정 관련이 없습니다.)오마이뉴스 조호진
반면 두 번째, '낙태를 허용할 것이냐, 말 것이냐'라는 문제는 첫번째 문제에 가려져 제대로 가시화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낙태는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입장차가 다양한 '뜨거운 감자'로 남아있다.
임신중절을 선택하는 대부분의 이유는 원하지 않는 임신을 했을 경우다. 예를 들어, 너무 어린 나이에 임신을 했거나, 성폭행으로 인해 임신이 되는 경우 등과 같이 정말 불가피하게 임신중절을 할 수밖에 없는 조건들은 매우 많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발언이 문제가 되는 것은, 그가 낙태가 허용될 수 있는 기준을 '장애인이냐, 장애인이 아니냐'에 두었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집중한 것은 장애인을 비하하는 발언의 내용이었지 낙태에 대해 찬성하느냐, 반대하느냐가 아니었다.
그리고 이 시장은 본인이 '낙태 원천적 반대론자'임을 근거로 문제가 되는 상황에서 벗어나려 하고 있다.
원치 않은 임신, 여성은 끝까지 지켜야 하나
낙태는 20세기 중반까지 거의 모든 나라에서 불법이었다. 1950년에서 1985년 사이에 대부분의 선진국과 소수의 개발도상국이 낙태법을 자유화했다.
여성들이 낙태를 하는 이유는 어리고 미혼이며 가난하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아이를 키울 수 없는 상황인 것이다.
이에 대해서 낙태를 반대하는 사람들은 "태아는 임신한 여성에 의한 종속적 위치에 있고, 이러한 권력관계를 이용해 순진무구한 존재인 태아의 숨을 끊는 것은 '살인'이나 다름없는 행위"라고 말한다.
이렇게 주장하는 이들은 임신한 여성의 상황이나 임신 과정 같은 것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여성은 남성보다 훨씬 많은 희생을 강요당했다. 여성이 자기 몸에 대해 가질 수 있는 권리는 통제되고 제한되었다. 전형적 이기주의의 희생자인 것이다.
낙태, 몸에 대한 여성의 자연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