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승용차 '우대'에 비해, 열차 등 대중교통은 '홀대'하는 정책을 폈다.오마이뉴스 안홍기
저자들은 현재 우리나라 승용차 활성화의 가장 큰 원인 제공을 정부가 했다고 믿고 있다. 실제 지난 40년간(1962-2004) 도로와 철도의 시설비용을 비교해 보면 도로 연장은 3.7배(2만7169km)에서 현재 10만278km) 증가했으나, 철도 연장은 1.1배(3032km에서 3377km)로 거의 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철도 수송분담비율은 53%에서 7.3%로 뚝 떨어졌다.
그에 반해 독일 프랑스 영국 등 유럽연합 국가들은 90년대 말 중장기교통투자정책(1998~2005)을 세워, 도로투자액의 2배 이상을 철도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도로연장/철도연장 비율이 프랑스는 1.2, 독일 1.5로 거의 균형을 맞춘 데 비해, 한국은 5.4다.
저자들이 정부의 강력한 자동차 지원정책을 지적하는 이유는 철도 등 대중교통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또한 대중교통 활성화가 필요한 이유는 자동차가 주는 폐해가 너무 크다고 보기 때문이다.
몇 가지 사례를 잠깐 살펴보자.
▲우리나라 연간 교통사고 사망자 7000여명으로 월남전 참전 전체 국군 전사자와 맞먹음 ▲교통사고 유자녀 사회 문제 ▲불법주차 관련 이웃간 불화 ▲도로 확대로 토지 부족 ▲서울시 전체 차량을 500만대로 가정했을 때, 주차장 면적은 60억평 필요 ▲전체 대기오염 배출 중 수송 부문 전체 56% 차지 ▲개인 승용차의 과다한 운행으로 발생하는 교통혼잡비용 연간 22조….
이외에도 많다. 매년 50만대 가량의 자동차가 폐기되면서 발생하는 폐잔재물량만 10만여톤. 타이어가 마모되면서 생기는 미세먼지와 호흡 장애 등 헤아릴 수 없을 정도다.
저자들은 이렇게 문제 많은 자동차가 오로지 정부의 '우대' 정책과 철도 등 대중교통 '홀대' 정책 때문에 급성장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정부 우대 정책 외엔 자동차를 즐겨 타는 중요한 이유는 한 가지가 더 있다. 바로 사회적 시선. 자동차 크기를 운전자의 사회적 크기와 연결하는 사회적 문화 때문이다.
"주변에 경차를 타고 다니는 대학교수가 한 사람이 있다. 그는 아침마다 출근길이 매우 송구하다고 한다. 학교의 수위들이 교직원 스티커가 붙은 경차를 보고 인사를 할 것인지 말 것인지 결정을 못해 우물쭈물하는 것을 보고 오히려 자기가 민망하다고 한다. 경차가 아닌 차에 대해서는 자신 있게 손이 올라가는데 정부기관이나 일반기업체를 방문해도 경차를 보고는 매우 가볍게 대한다고 한다."- P123
저자들은 정부의 비뚤어진 보조 정책을 비판하고 있지만, 눈치 보는 문화에도 비판의 눈길을 돌리고 있다. 물론 주는 정부 정책이다. 이들은 정부 정책을 비판하는 김에 잘못된 친환경 정책 사례인 '그린 파킹(Green Parking)'도 이야기한다. 담을 없애고 주차장을 만들면 공사비용 일부를 지원하는 정책이다. 즉 승용차 이용을 권장하는 정책인데, 여기에 어떻게 '그린'이라는 이름이 들어갈 수 있냐는 지적이다.
그렇다면 해답은 없는 것일까. 위에서 나온 지적사항이 곧 해답이다. 지적사항을 거꾸로 돌리면 그게 곧 해답이 된다. 문제는 정부의 의지와 사회적 합의다. 그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저자들은 '완화'라는 조심스런 표현을 쓰면서 책을 마무리한다.
"승용차 이용자에 대한 정부의 숨겨진 보조(Hidden subsidy)와 승용차 이용에 따른 혼잡·환경오염비용 등 사회적비용(Social cost)을 합산한 실제 비용(Full cost)을 부과하면 된다.…우리는 최소한 정부의 직간접적인 보조에 의하여 왜곡도니 교통체계는 바로 잡아야 한다. 다시 말해, 도로를 이용하는 승용차 운전자에 대한 보조를 폐지·축소하거나 철도 이용에 대한 보조를 확대하여 도로와 철도간의 불균형을 해소·완화하는 것이 선결과제이다."
참고로 이 책의 부제는 '파국으로 치닫는 승용차 의존의 시대'다.
자동차 권하는 사회 - 파국으로 치닫는 승용차 의존의 시대
한국철도연구회 지음,
양서각, 2008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공연소식, 문화계 동향, 서평, 영화 이야기 등 문화 위주 글 씀.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