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ld Center of NY' 사무실 입구하승창
사람이 사는 환경과 살아 온 역사가 제 각각 다르다는 것은 지금 현재를 살아가는 삶의 형태와 문화, 제도를 다르게 만드는 배경이 된다는 사실을 종종 잊곤 한다. 게다가 말까지 통하지 않으면 소외된 사람의 사회적 외로움은 극심해 질 수 밖에 없다.
이민자들이나 빈민들에게 여러 가지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매개하는 사람들, 우리로 치면 사회복지사가 미국사회에도 존재할 것으로 생각했고 마침 'social worker' 중에 한인들도 제법 된다는 소리를 듣기도 했다. 그러던 차에 아름다운 재단의 서지영씨가 뉴욕 한인 social worker 협회장을 하고 있는 윤성민씨를 소개해 주었다.
social worker를 찾아가다
플러싱에 있는 자신의 사무실로 방문해 달라는 연락을 받고 찾아갔다. 협회 사무실인가? 플러싱이면 한인들이 많이 사는 곳이다. 내가 찾아 간 곳의 간판은 'Child Center of NY'으로 되어 있다. 입구에서 윤성민씨를 찾아야 했다. 이럴 때 마다 자신없는 영어 실력 때문에 긴장을 하곤 한다.
반갑게 맞은 윤성민 씨를 따라 들어 간 내부는 작은 곳이 아니다. 작은 방들이 촘촘이 들어서 있는 사무실들은 전부 의사나 사회복지사들이 근무하는 공간이란다. Child Center가 어떤 기관이길래 사회복지사들이 이 곳에 근무할까?
제일 먼저 물어볼 수밖에 없었다. 아이들의 우울증, 발달장애 등 아동에 대한 심리상담, 치료를 하는 곳이란다. 아니 더 이상하네? 사회복지사가 정신과 상담도 합니까? 그의 대답은 "그렇다"는 것이었다. 이 센터는 사회복지사와 정신과 의사들이 함께 근무하고 있고, 윤 회장은 그 중에 아시안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영역을 맡고 있다고 한다. 아무래도 주로 한인들이 자신을 찾는다고 한다.
미국의 사회복지사의 지위나 역할은 한국과는 다른 모양이다. 윤 회장은 미국의 사회복지사는 교육과 훈련정도에 따라 다른 기능들을 한다고 설명한다. 대학을 졸업한 사회복지사들과 대학원을 나와서 자격증을 가진 경우가 다른데, 자격증이 있는 경우에는 보험회사들과 연계하여 일할 수 있고, 그 중에도 나중에 개업의처럼 개인 사무실을 열 수도 있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클리닉 분야는 한국으로 치면 거의 정신과 의사처럼 느껴진다. 서비스의 전달체계와 종사자의 구성, 형태가 한국과는 전혀 다른 셈이다.
사회복지사, 한국과 미국의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