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그대로를 품에 안은 건축물들

자연을 닮은 우리네 전통 한옥

등록 2007.12.11 14:55수정 2007.12.11 14:55
0
원고료로 응원
a 화엄사 구층암 화엄사 구층암

화엄사 구층암 화엄사 구층암 ⓒ 강혜리

▲ 화엄사 구층암 화엄사 구층암 ⓒ 강혜리
a 화엄사 구층암 구층암 기둥

화엄사 구층암 구층암 기둥 ⓒ 강혜리

▲ 화엄사 구층암 구층암 기둥 ⓒ 강혜리
 
우리네 한옥은 자연을 닮았다고들 합니다.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가능한 한 그것에 순응하고자 하는 정신. 사람이 자연같은 집을 지어 살다가 그가 죽어 자연으로 돌아가면 그 사람을 품어안고 살던 집 또한 자연의 품으로 그대로 돌아가는, 말하자면 사람과 집과 자연의 삼위일체가 우리네 전통 한옥이 아닌가 싶습니다.  
 
위의 그림은 천년고찰 화엄사의 부속암자인 구층암의 모습입니다. 어느 익살스런 스님의 아이디어로 탄생되었음직한 이 집은 가운데 기둥 두 개를 자연 그대로의 모과나무로 세웠습니다. 건축주의 의도를 잘 간파한 목수 또한 재치있는 솜씨로 집의 정 중앙에 이런 파격적인 배려를 하였는데 기술적으로 보면 반듯한 기둥보다도 훨씬 작업하기가 힘들었을 것입니다.     
 
a 개심사 범종각 꾸불 꾸불한 자연 상태의 나무 그대로를 기둥으로 세웠다.

개심사 범종각 꾸불 꾸불한 자연 상태의 나무 그대로를 기둥으로 세웠다. ⓒ 이재은

▲ 개심사 범종각 꾸불 꾸불한 자연 상태의 나무 그대로를 기둥으로 세웠다. ⓒ 이재은
a 개심사 범종각 슬라브 지붕에 지은 범종각

개심사 범종각 슬라브 지붕에 지은 범종각 ⓒ 이재은

▲ 개심사 범종각 슬라브 지붕에 지은 범종각 ⓒ 이재은
 
충남 서산에 있는 개심사 범종각입니다.  이 집을 지을 당시에 이만한 크기의 기둥 네 개를 못구해서 이렇듯 휘이고 비틀어진 못난 나무로 집을 짓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밑에서 갑자기 휘몰아쳐 오는 강한 돌풍을 제멋대로 생긴 기둥 네 개가 그 힘을 각각 따로 받아 에너지를 분산시킴은 물론이고, 자연 그대로의 무질서한 형상을 은근히 내부로 향하게 하여 안쏠림 공법의 효과를 내고 동시에 자연을 닮은 집을 짓고자 하는 의도를 엿볼 수 있습니다.
 
a 강운봉 가옥 제주도 강운봉 가옥

강운봉 가옥 제주도 강운봉 가옥 ⓒ 다음 검색

▲ 강운봉 가옥 제주도 강운봉 가옥 ⓒ 다음 검색
 
위의 사진은 제주도의 강운봉 가옥입니다. 화엄사 구층암과 마찬가지로 집의 중앙에 있는 기둥이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나무를 베고 껍질만 벗긴 자연상태 그대로인데 기둥의 아래보다도 윗쪽이 더 굵습니다. 말하자면 기둥을 거꾸로 세웠다는 이야기인데 왜 그랬을까요? 예나 지금이나 나무를 거꾸로 세우지 않는 것이 목수의 기본이요 철칙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둥을 거꾸로 세운 것은 아마도 이 집이 지어질 당시 제주도에 목재가 귀했을 것 같습니다. 기둥을 제대로 세우면 기둥의 상부에서 도리와 보가 지나가는 장부를 제대로 딸 수가 없기 때문에 철칙을 차라리 무시하고 나무를 거꾸로 세워 도리와 보를 잇도록 한 것입니다. 용재의 기본 법칙을 무시한 이상 그 배치 또한 과감하게 툇마루 한 중앙에 그를 세워 뭇사람들의 시선을 받고 손때를 묻히게 함으로써 극과극이 서로 통하게 하였을 것입니다.
#한옥 #전통건축 #자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최근 알게 된 '평생직장', 정년도 은퇴도 없답니다 최근 알게 된 '평생직장', 정년도 은퇴도 없답니다
  2. 2 경남, 박근혜 탄핵 이후 최대 집회 "윤석열 퇴진" 경남, 박근혜 탄핵 이후 최대 집회 "윤석열 퇴진"
  3. 3 "은퇴 하면 뭐 하고 살거냐?" 그만 좀 물어봐요 "은퇴 하면 뭐 하고 살거냐?" 그만 좀 물어봐요
  4. 4 임종 앞둔 아버지, '앙금'만 쌓인 세 딸들의 속내 임종 앞둔 아버지, '앙금'만 쌓인 세 딸들의 속내
  5. 5 "V1, V2 윤건희 정권 퇴진하라" 숭례문~용산 행진 "V1, V2 윤건희 정권 퇴진하라" 숭례문~용산 행진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