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보는 리투아니아 시위 현장

등록 2008.01.08 09:13수정 2008.01.08 09:14
0
원고료로 응원
a

2007년 9월 27일 리투아니아 질서정의당이 개최한 물가상승을 반대하는 시위에 한 어린이가 피켓의 문구를 읽고 있다. ⓒ 최대석

2007년 9월 27일 리투아니아 질서정의당이 개최한 물가상승을 반대하는 시위에 한 어린이가 피켓의 문구를 읽고 있다. ⓒ 최대석

2007년 리투아니아 10대 뉴스 중 첫 번째가 바로 높은 물가상승률이었다. 지난 해 연초부터 서서히 오르기 시작해 10월 물가상승률은 7.6%에 이르렀다. 이는 지난 10년간 가장 높은 수치이다.

 

유럽연합에서 가장 높은 경제성장을 이루고 있는 나라 중 하나인 리투아니아는 2006년 1인당 GDP가 1만3700달러이지만,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저임금이나 낮은 연금으로 살아간다. 특히 이들에게 지금의 물가상승은 많은 고통을 주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오른 식료품, 석유, 가스 가격 등이 소비자 물가를 치솟게 한 주요한 요인이 되었지만 노조와 시민단체들은 물가상승에 대한 정부의 방관 내지 잘못된 정책에 크게 기인한다고 주장하고 여려 차례 물가상승 저지 시위를 벌였다.  
 
특히 지난 해 11월 24일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에서 노조원, 연금수령자, 학생, 청년, 시민 등 약 5천여명이 참가해 소련에서 독립한 이후 최대 규모로 평가되는 물가상승 저지 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물가상승 정지!”, “모두가 더 잘 살 가치가 있다!”, “국회의원 지갑은 두껍고, 우리 지갑은 얇다!”, “유럽인들에게 유럽식 임금을 다오!”, “유럽식 가격은 유럽식 임금!” 피켓을 들고 시내중심가에서 국회의사당까지 행진 및 집회를 가졌다.

 

최루탄, 화염병, 폭력 등으로 얼룩진 시위에 비하면 리투아니아인들의 시위는 그야말로 거리로 무리지어 산책을 나온 듯 평화롭기 그지없었다. 이들은 자신들의 요구를 적은 피켓을 들고, 노래를 부르며 거리행진을 한 후 각 단체 대표자들이 3분씩 발언을 함으로써 시위를 마쳤다. 

 

2006년 유로통화권 가입에 실패한 리투아니아는 가까운 장래에 가입을 재추진하고 있지만, 높은 물가상승으로 그 가능성은 점점 짙은 안개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a

"치솟는 물가는 연금수령자들의 대량학살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 최대석

"치솟는 물가는 연금수령자들의 대량학살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 최대석
a

시위 집회에 참가한 탄핵된 팍사스 리투아니아 대통령 (왼쪽에서 세 번째) ⓒ 최대석

시위 집회에 참가한 탄핵된 팍사스 리투아니아 대통령 (왼쪽에서 세 번째) ⓒ 최대석
a

2007년 11월 24일 열린 물가상승을 반대하는 시위 ⓒ 최대석

2007년 11월 24일 열린 물가상승을 반대하는 시위 ⓒ 최대석
a

"돈이 없어 선물을 못가져 왔어요"라는 문구를 달고 있는 한 시위 참가자 ⓒ 최대석

"돈이 없어 선물을 못가져 왔어요"라는 문구를 달고 있는 한 시위 참가자 ⓒ 최대석
a

"빵값도 오르고 치즈값도 오르고..." ⓒ 최대석

"빵값도 오르고 치즈값도 오르고..." ⓒ 최대석
a

평화적인 거리행진을 하고 있는 시위대 ⓒ 최대석

평화적인 거리행진을 하고 있는 시위대 ⓒ 최대석
a

"재벌(oligarchy)은 필요없다" ⓒ 최대석

"재벌(oligarchy)은 필요없다" ⓒ 최대석
a

손에 든 "STOP" 문구처럼 "물가상승아, 멈춰다오!" ⓒ 최대석

손에 든 "STOP" 문구처럼 "물가상승아, 멈춰다오!" ⓒ 최대석
a

이날 집회 마지막에 비까지 내려 참가자의 발걸음을 무겁게 했다. ⓒ 최대석

이날 집회 마지막에 비까지 내려 참가자의 발걸음을 무겁게 했다. ⓒ 최대석

덧붙이는 글 | 다음블로거뉴스

2008.01.08 09:13 ⓒ 2008 OhmyNews
덧붙이는 글 다음블로거뉴스
#리투아니아 #물가상승 #시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7년 만에 만났는데 "애를 봐주겠다"는 친구
  2. 2 아름답게 끝나지 못한 '우묵배미'에서 나눈 불륜
  3. 3 스타벅스에 텀블러 세척기? 이게 급한 게 아닙니다
  4. 4 '검사 탄핵' 막은 헌법재판소 결정, 분노 넘어 환멸
  5. 5 윤 대통령 최저 지지율... 조중동도 돌아서나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