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 한옥마을 입춘 맞이 풍경

등록 2008.02.03 20:32수정 2008.02.03 20:32
0
원고료로 응원
2월 4일은 입춘이다. 24절기의 첫 번째, 음력으로는 정월 절기이며 양력으로는 2월 4일경이다. 태양의 황경이 315도일 때, 대한과 우수 사이에 있다. 봄이 시작되는 계절이지만 아직 추위가 남아있는 날이기도 하다.  휴일인 2월 3일, 중구필동에 있는 남산골 한옥마을을 찾았다.

a

남산한옥마을 입춘맞이 입춘첩 입춘 대길 이라하여 악을 쫓고 복을 부르는 문구가 씌여있다. ⓒ 송춘희


a

건양다경 건양다경이라 적힌 문구 앞에서 ⓒ 송춘희


그곳에서는 입춘 맞이 여러 가지 행사가 열리고 있었다. 입춘대길(봄이 오니 크게 길함의 징조요), 건양다경(볕이 서니 경사가 많을 것이다) 등의 입춘첩을 써주기도 하고 입춘첩 써보기 체험행사도 열리고 있었다. 또 우리 고유의 놀이인 투호 던지기와 윷놀이도 준비되어 있었다.


입춘날 먹는 오신반(五辛盤)을 나누기도 하고 찐고구마를 먹을 수 있는 코너도 준비되어 있었다. 행사장 한가운데 가마솥에 장작을 지펴 누룽지나누기 무료체험은 나들이 나온 시민들의 몸을 녹이기에 안성맞춤이었다.

a

입춘첩쓰기 행사장에서 입춘대길 또는 자신의 집 가훈을 써 보는 시민들 ⓒ 송춘희


a

누룽지 나누기 행사 펄펄 끓는 가마솥의 누룽지를 무료로 나눠주는 행사도 있었다. ⓒ 송춘희


a

아들과 제기차기하는 모습 아들과 전통문화체험을 하는 아빠의 모습 ⓒ 송춘희


곳곳에 한국의 문화를 느끼러 온 외국인들의 모습도 눈에 띄었다. 영국에서 온 누구와 누구는 “봄을 맞는 한국의 전통이 참 즐거워서 많은 사진을 찍었다”고 했다.

a

외국인 관광객 하나와 에이미양의 모습, 한국의 멋을 카메라에 많이 담았다고 한다. ⓒ 송춘희


1월 24일부터 2월 29일까지 전통 공예관에서는 ‘우리 소원 연에 띄워’ 전이 열린다. 연에 대한 설명을 읽어보았다.

‘우리나라 연의 종류는 형태와 문양에 따라 분류되므로 그 종류가 100여종에 이른다. 형태에서 살펴보면 우리나라 연의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장방형의 중앙에 방구멍이 뚫려 있는 방패연이 대부분을 이루며, 어린이들이 날리는 꼬리가 달린 가오리연과, 사람, 동물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자의 창의성에 따른 입체성이 있는 창작연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연의 모양이나 색체도 매우 다양해서 아이들이 무척 좋아하였다. “아빠 어릴 때 윷 날리던 모습 같은 사진도 있네~” 하며 둘러보는 아빠의 목소리가 사뭇 반갑게 들린다.


a

닭 연과 붓꽃 연의 모습 전시된 연들의 모습이 아주 다양하다. ⓒ 송춘희


a

도깨비 연 입을 크게 벌린 도깨비의 모양이 그대로 나타나있다. ⓒ 송춘희


길고 긴 겨울을 이겨내고 꽃 망울을 터뜨리기 전의 꽃이 가장 아름답다고 한다. 오랜 인고 끝에 오는 희망을 머금고 있기 때문일까? 겨울을 지나 봄을 맞이하는 우리들의 마음도 희망과 길함으로 가득찬 새해가 되었으면 좋겠다.

덧붙이는 글 | SBS 유포터 뉴스에도 송고합니다.


덧붙이는 글 SBS 유포터 뉴스에도 송고합니다.
#입춘대길 #건양다경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사는 이야기입니다.세상에는 가슴훈훈한 일들이 참 많은 것 같아요. 힘들고 고통스러울때 등불같은, 때로는 소금같은 기사를 많이 쓰는 것이 제 바람이랍니다.

이 기자의 최신기사 앵그르에서 칸딘스키까지

AD

AD

AD

인기기사

  1. 1 '100개 눈 은둔자' 표범장지뱀, 사는 곳에서 쫓겨난다
  2. 2 카자흐스탄 언론 "김 여사 동안 외모 비결은 성형"
  3. 3 최재영 목사 "난 외국인 맞다, 하지만 권익위 답변은 궤변"
  4. 4 [단독] '김 여사 성형' 왜 삭제? 카자흐 언론사로부터 답이 왔다
  5. 5 뱀딸기를 먹었던 아이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