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도 모를 절터에서 매서운 바람을 맞다

현장을 지키는 역사의 절터

등록 2008.02.17 11:41수정 2008.02.17 11:41
0
원고료로 응원

 경주에는 현재 수많은 절터들이 있으나 그 이름조차도 알려지지 않은 절터들도 상당히 많다. 잊혀진 절터를 찾아 나서는데 매서운 바람은 왜 그리도 몰아치는지 몸조차 가눌 수 없을 정도다. 국립경주박물관 뒤편에는 이름 모를 절터가 많다.

 

a

도로변 초석 차가 많이 다니는 도로변으로 초석 하나가 보인다. ⓒ 김환대

▲ 도로변 초석 차가 많이 다니는 도로변으로 초석 하나가 보인다. ⓒ 김환대
a

탑재가 보인다. 축대 사이로 탑재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 김환대

▲ 탑재가 보인다. 축대 사이로 탑재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 김환대

 

현장을 찾기란 어렵다. 넓은 들녘을 다 헤매며 다녀야 탑재와 관련된 석재들을 만날 수 있다. 중간 중간에는 다른 용도로 조선시대 부윤의 비석을 받치는 받침대로 이용되고 있는 석등 하대석도 만날 수 있다.

 

a

석등대석 조선시대 부윤의 비를 받치고 있는 석등 하대석 ⓒ 김환대

▲ 석등대석 조선시대 부윤의 비를 받치고 있는 석등 하대석 ⓒ 김환대

 

  항상 절터를 찾아 가는 길은 어렵기만 하다. 알려진 절터야 언제든지 찾으면 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현지 안내인들의 도움이 필수이다.

 

a

초석 주춧돌이 보인다. ⓒ 김환대

▲ 초석 주춧돌이 보인다. ⓒ 김환대
a

이 넓은 절터 이 넓은 구역이 다 절터로 추정된다. ⓒ 김환대

▲ 이 넓은 절터 이 넓은 구역이 다 절터로 추정된다. ⓒ 김환대

 

 막상 찾아가도 겨우 석탑 부재 몇 점이지만 그 순간만은 정말 찾았다는 기쁨과 함께 행복이 밀려온다. 늦은 시간까지 여러 군데 절터를 찾아 다녀지만 피로하지는 않다.

 

a

석탑 부재 석탑 지붕돌이 보인다. ⓒ 김환대

▲ 석탑 부재 석탑 지붕돌이 보인다. ⓒ 김환대

 

 찾았고 보았다는 그 순간의 기쁨과 희열에 빠져든다. 옮겨진 유적들을 찾아 추적을 하여 다시 찾으면 즐거움은 더 한다.

 

a

옮겨진 초석 다 어디에선가 옮겨다 놓은 초석 ⓒ 김환대

▲ 옮겨진 초석 다 어디에선가 옮겨다 놓은 초석 ⓒ 김환대

 

 늘 보고픈 문화재들이 많으나 현장에 남아 역사를 알리는 이 석조물들이야 말로 꼭 찾아보고 살펴보아야 할 우리의 진정한 문화유산이 아닐까? 장소를 옮겨 잃어버린 석재들이 과연 얼마나 될까? 지금 이 순간도 어디론가 팔려 장식물로 이용되고 있지는 않을까? 이런 생각하면서 추운 바람을 맞고 온 하루 여정을 정리한다.

덧붙이는 글 | 개인 민가 내 일부 석재는 민감한 사항이 있어 사진에 미처 실지 못 합니다.

2008.02.17 11:41 ⓒ 2008 OhmyNews
덧붙이는 글 개인 민가 내 일부 석재는 민감한 사항이 있어 사진에 미처 실지 못 합니다.
#절터 #탑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전국의 문화유적을 찾아 답사를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구석진 곳에 우리문화를 찾아서 알리고 문화관련 행사를 좀 더 대중에게 보급하고자 하며 앞으로 우리문화재의 소중함을 일깨워 나아가려고 합니다. 괌심분야는 역사유적, 석조조형물과 민속,고건축물 입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3일마다 20장씩... 욕실에서 수건을 없애니 벌어진 일
  2. 2 참사 취재하던 기자가 '아리셀 유가족'이 됐습니다
  3. 3 [단독] '윤석열 문고리' 강의구 부속실장, 'VIP격노' 당일 임기훈과 집중 통화
  4. 4 23만명 동의 윤 대통령 탄핵안, 법사위로 넘어갔다
  5. 5 이시원 걸면 윤석열 또 걸고... 분 단위로 전화 '외압의 그날' 흔적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