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가영의 창작무용 '알리요'김가영 무용수가 한영애의 사의 찬미에 맞춰 창작무용을 표현해 내고 있다.김용한
▲ 김가영의 창작무용 '알리요' 김가영 무용수가 한영애의 사의 찬미에 맞춰 창작무용을 표현해 내고 있다.
ⓒ 김용한 |
|
연출을 맡은 섶 무용단 김용철 예술감독(구미시립무용단 안무자)은 “젊은 무용수들의 한국 춤과 창작 춤에 대한 애정을 쏟기 위해 마련된 자리”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소극장 공연 추세에 대해 “관객들과 함께 호흡하면서 많은 것을 배운다”고 말했다.
이날 공연에는 풍류(임이조류)를 비롯해 태평무(한영숙류, 김미진), 도살풀이(김숙자류, 정미미), 살풀이춤(한영숙류), 달구벌입춤(최희선류, 편봉화) 등이 선보여졌고 사랑과 삶을 주제로 한 창작무용과 이색적인 도구(훌라후프치마)를 사용해 표현해 낸 노리(안무 편봉화)도 눈길을 끌었다.
특히, 젊은 춤꾼들의 향연에 중국에서 온 무용수 장수, 하림풍(대전목원대학교대학원 생활무용전공)씨가 중국 소수민족 중 이족(彛族)의 남녀사랑 이야기를 춤으로 선보였다.
한국 젊은이들과 함께 춤 공연에 나섰던 장수(남)씨는 “한국의 젊은이들과 함께 무대에 설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
한국 춤에 대해 하림풍(여)씨도 “한국 춤은 세밀하고 표현과 느낌이 색다른 것 같다”고 언급하면서 “중국은 기교적이라면 한국 춤은 감정 표현이 간결하면서도 따뜻한 것 같다”는 소감을 전했다.
한국 전통춤의 멋과 기교와는 달리 창작 무용에서는 젊은 무용수들의 끼와 재치가 엿보였고 장사익의 '삼식이' 음악에 정신지체장애아이의 해맑은 모습을 표현해 낸 서상재 무용수의 익살스런 표정과 몸짓도 인상적이었다.
우리의 전통 춤 공연에 맞춰 서양악기인 기타와 우리의 풍물악기인 징, 북, 태평소, 장구를 든 악사들이 젊은 무용수들의 춤 공연에 생기를 불어넣어줬다. 젊은 춤꾼들 사이에서 일고 있는 소극장 공연이 상업적이고 대형화된 공연으로 그 동안 외면받는 소극장의 공연에 어떤 바람과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2008.03.31 09:33 | ⓒ 2008 OhmyNews |
|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모든 사람이 기자가 될 수 있다"는 말에 용기를 얻고 글을 쓰고 있습니다. 우리가 바로 이곳의 권력이며 주인입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