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백만돌이가 될 겁니다"

300일 투쟁문화제를 진행한 로케트전기 해고노동자들의 결의

등록 2008.06.27 11:18수정 2008.06.27 11:18
0
원고료로 응원
a

풍물 광주지역 노동자문화패 협의체인 광노문연 소속의 풍물협의회 회원들이 여는 공연을 하고 있다. 대부분이 금호타이어 노동자들이다. ⓒ 오창두

▲ 풍물 광주지역 노동자문화패 협의체인 광노문연 소속의 풍물협의회 회원들이 여는 공연을 하고 있다. 대부분이 금호타이어 노동자들이다. ⓒ 오창두

 

로케트전기 해고 노동자들이 '해고철회 원직복직 투쟁'을 벌인지도 26일로 300일이 됐다.

 

로케트전기는 광주광역시 북구 본촌공단에 위치한, 로케트건전지를 만드는 회사다. 이 회사에서 지난해 9월 1일 11명의 노동자들에게 정리해고를 통했다. 정리해고 사유는 '경영의 슬림화'.

 

300일의 투쟁하는 과정에서 지난해 12월, 지방노동위원회로부터 부당해고 판정을 받은 2명이 복직됐지만, 예전의 업무에 종사하지 못하고 잡초를 뽑는 등 격리조치를 당하고 있는 상황이다.

 

로케트전기는 이미 2004년 정리해고를 실시한 바 있다. 당시의 해고사유는 육아휴직. 도무지 납득이 가지 않는 사유지만 당시 7명이 해고됐었고, 작년 해고된 노동자들 중 당시에 해고되었던 노동자가 4명이나 있다.

 

a

노래공연 -2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의 노래패 '새벽빛'의 노래 공연 ⓒ 오창두

▲ 노래공연 -2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의 노래패 '새벽빛'의 노래 공연 ⓒ 오창두

 

이미, 두 차례나 해고되었고 두 번째 해고노동자복직 투쟁위원회(해복투) 조끼를 입는 오미령 교육부장은 이렇게 얘기한다.

 

"어떻게, 같은 이유로 3년 사이 두 번이나 해고를 하는지 모르겠어요. 젊다고 해고하고, 부부라고 해고하고…. 해복투 조끼 다시는 입고 싶지 않았는데, 다시 입게 되었네요. 정말 힘이 빠져요. 하지만 우리는 백만돌이가 될 겁니다. 절대 지치지 않을 거예요. 기어코 복직하고야 말 겁니다."

 

부부라서 해고되었다가 지방노동위원회로부터 부당해고 판정을 받고 복직한 김미경 분회장은 지금까지 투쟁을 멈추지 않았던 힘을 연대의 힘으로 돌린다.

 

"정말 힘들고 그만두고 싶을 때 많았지요. 하지만, 늘 회사와 마찰이 있다고 문자메시지만 보내면 달려와주는 지역 동지들, 그리고 집회 때마다 조퇴하고, 월차 써가면서 결합해주는 동지들 생각하면 결코 멈출 수 없었어요."

 

이날 로케트전기 해고노동자들은 금남로에서 이후 결의를 새롭게 다지는 투쟁문화제를 진행했다.

2008.06.27 11:18 ⓒ 2008 OhmyNews
#투쟁문화제 #로케트해복투 #문예일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나이 들면 어디서 살까... 60, 70대가 이구동성으로 외친 것
  2. 2 서울 사는 '베이비부머', 노후엔 여기로 간답니다
  3. 3 '검사 탄핵' 막은 헌법재판소 결정, 분노 넘어 환멸
  4. 4 원룸 '분리수거장' 요청하자 돌아온 집주인의 황당 답변
  5. 5 택배 상자에 제비집? 이런 건 처음 봤습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