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뼛속까지 자유롭고 치맛속까지 정치적인민주노동당 문화정책연구원이었다는 목수정씨가 문화와 정치를 어떻게 버무리며 살아왔는지 알아보고 싶은 마음에 본 책.
레디앙
책을 읽고 흐뭇한 웃음 지어본 적, 참 많다. 하지만 이런 경우는 드물다. 읽는 내내 가슴이 두근거리고, 다 읽은 뒤에는 감당할 수 없는 짜릿함과 흥분으로 마음을 진정시키지 못하게 만드는 책과 만나는 일. 목수정씨가 쓴 <뼛속까지 자유롭고 치맛속까지 정치적인>(레디앙 펴냄), 이 책이 바로 그랬다.
민주노동당 당원이던 시절, '목수정'이라는 이름이 맨 아래에 나오는 '문화' 관련 성명서들을 자주 봤다. 그때마다 내가 속한 당에서 '문화'를 전문으로 연구한다는 이 사람은 누굴까, 궁금했던 기억이 난다. 다만, 그에 대해 적극 알아 볼 정도로 강렬한 인상을 준 것은 아니어서 궁금해 하는 것으로 그쳤지만.
이 책은 그래서 샀을 테지. 민주노동당 문화정책연구원이었다는 이 사람이, 문화와 정치를 어떻게 버무리며 살아왔는지 알아보고 싶은 마음에. 적어도 '뼛속까지 자유롭고 치맛속까지 정치적인'이라는 도발적인 제목이나, '프랑스 남자와 결혼하지 않고 살아가기'라는 눈길 끌 법한 부제에 끌려서 산 건 아니었다.
민주노동당에서 정책연구원으로 일했다는 사실 하나 말고는 아무 것도 모른 채 큰 기대감 없이 시작한, 목수정이 살아온 이야기에 다가서기. 시작부터 나를 잡아끈 건, '예술'과 '문화'를 바라보는 그의 '태도'와 '마음'이었다.
"문화예술인들은 태초부터 비정규직일 수밖에 없는 사람들이다. 온갖 사회안전망에서 이들을 예외적인 존재로 방치하는 것도 지금까지의 관행이었다. (…) 문화사회를 만들기 위해 창작과 창조 정신을 사회 최전방에서 실천할 이들의 불안정한 삶을 해소하는 것이 우선 과제라는 게 내 생각이다. (…) 그들이 특별히 소중해서가 아니라 그들도 역시 사회가 필요로 하는 역할을 하는 시민의 한 사람이며, 한 사회에서 문화와 예술은 그 사회를 지탱하는 중요한 가치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예술노동자들의 사회적 권리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에 가장 큰 장애는 다름 아닌 예술인들 자신이다. 연대? 예술가가 무슨 노동자냐? 정부에 대한 요구? 저 좋아서 하는 일인데 국가가 왜 우리의 생존권을 보장하느냐? 이런 소리가 여전히 그들의 입에서 새어나오고 있기 때문이다.""연극판에서 연극이 아직도 매일 올라간다는 건 언제나 기적이다. 그 기적은 연극인들의 희생을 근거로 줄곧 이어져 왔다. 그러나 한 사회에 연극이 혹은 예술이 여전히 필요한 것이라면, 그들의 가난을 장르의 숙명으로 치부하는 것이 과연 옳은가 하는 질문이 고개를 쳐들었다. 그 질문에 반드시 해답을 찾고 싶었다. 이는 이후에 한국에서 여러 문화단체들과 함께 프랑스의 문화예술비정규직 제도를 한국 사정에 맞게 도입하기 위한 노력으로 이어지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 책 가운데이런! 나랑 정말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지 않은가? 순간, 이 사람과 이 사람이 살아온 시간들에 대한 '급관심'이 일어났다. 책을 한 장 한 장 넘길수록 그 관심의 대가는 곳곳에서 받아낼 수 있었다. 특히 그가 스물아홉에 혼자 훌쩍 프랑스로 떠나 그곳에서 문화 정책을 연구하고 고민한 흔적들은, 따라해 보고 싶을 만큼 흥미로웠다.
"문화예술인들의 불안정한 삶을 해소하는 것이 우선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