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미 소가 어린 송아지에게 젖을 빨리는 풍경은 서정적이며 여유로움입니다.
조찬현
'소도 언덕이 있어야 비빈다'는데 우리 국민들은 지금 어디 기댈 곳이 없습니다. '소는 믿고 살아도 종은 믿고 못 산다'지 않습니까. 짐승은 거짓이 없지만 사람은 거짓이 있어 믿을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소를 못 본 사람은 송아지를 보고도 크다고 한다'더니 뭘 몰라도 너무 모른 것 같습니다.
쇠고기 수입만 해도 그래요. '밤 까먹은 자리는 있어도 소 잡아먹은 자리는 없다'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소의 어떤 부위도 남기지 않고 다 먹어치우는 습성을 모른 듯합니다.
농경 사회인 우리 민족에게 소는 부와 힘의 상징이기도 했습니다. 소를 위하는 세시풍속과 놀이에서도 소는 풍요를 가져다주는 동물로 농가의 가장 중요한 자산이었습니다. 제주도 삼성혈 신화와 고구려 고분 벽화 등에서는 소가 농사 신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꿈에 황소가 자기 집으로 들어오면 부자가 된다"라는 속담이나 "소의 형국에 묏자리를 쓰면 자손이 부자가 된다"는 풍수지리설 등을 통해서 볼 때 분명 소는 풍요를 가져다주는 부의 상징입니다.
장사하는 집이나 여염집 대문에는 소고삐나 소뼈를 걸어 두고 악귀의 침입을 막았다고 합니다. 잡귀의 침입을 막기 위해 외양간에도 걸어두었답니다. 제사를 지낼 때 소를 바쳐 소의 힘으로 나쁜 악귀를 물리쳤다고 믿기도 했으니까요. 국가의 큰 제사나 의례 때, 마을의 별신굿이나 장승제에서 소가 희생의 제물로 쓰인 것을 보더라도 확실히 소는 부를 불러오고 화를 막아주는 존재였습니다.
소의 성격은 순박하고 충직합니다. '소같이 일한다' '드문드문 걸어도 황소걸음'이라는 말은 꾸준히 일하는 소의 근면성을 들어 인간에게 성실함을 일깨워 주는 속담입니다. 소는 인내력과 성실성이 돋보이는 근면한 동물이기 때문입니다. 소는 느리지만 근면하고 묵묵하며 소의 순박한 눈동자는 보는 이로 하여금 평화롭고 따뜻한 느낌을 갖게 합니다.
어미 소가 어린 송아지에게 젖을 빨리는 풍경은 서정적이며 여유로움입니다. 한국 문화에 나타난 소는 고집스럽고 어리석은 면도 있지만 풍요와 의로움, 여유 등으로 표현됩니다. '소에게 한 말은 안 나도 아내에게 한 말은 난다'고 합니다. 국민에게 한 약속 부디 잊지 마시고 좋은 세상 만들어주세요.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U포터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그는 해보다 먼저 떠서 캄캄한 신새벽을 가른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