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즐거운 인생>의 한 장면
아침
"또 한 곳에서 매장을 비운다. 10여 년을 한곳에서 장사를 했다는 40대 후반의 남자는 고물이 된 책상을 밖으로 내다 놓고 문을 잠그고 손을 바지에 넣은 채 복도를 따라 사라진다. 곧 임대사무소에서 '임대문의'라는 인쇄물을 잠근 문에 붙인다. 이쪽 라인 20여 개의 매장 중 반 이상이 텅 비어 있다. 수개월째… 내가 일하고 있는 용산전자상가의 한 모습이다. 경기가 안 좋다고 한다. 최악이라고 이야기하고 사양 산업이라고도 한다. 빨리 떠나는 게 상책이라고들 한다. 무엇이 문제일까 생각해 본다.
4, 5평 정도의 매장을 임대하려면 차이는 있지만 50만원선. 관리비 25만원 정도. 전화세, 의료보험 등 각종 세금 30만원. 장사가 되든 안 되든 최소경비 100만원은 반드시 필요한 돈이다. 여기에 밥값, 교통비까지 합쳐서 자기 월급을 200만원이라고 잡는다면 직원 없이 혼자 장사해도 300만원은 벌어야 한다는 계산이다. 한 달에 300만원 벌려면 일요일 빼고 하루에 수입이 평균 12만원이 나야 된다. 그런데 그게 안 된다. 한두 달도 아니고 수개월 동안 그렇게 적자를 내다가 문을 닫는 것이다." - 2007년 6월 본인 블로그에 쓴 글 인용 2년 전 블로그에 쓴 글을 다시 본다. 그렇게 떠나간 40대 후반의 그 남자. 별로 친분이 없어 어디로 갔는지도 알 길 없지만 10년째 지키던 5평 남짓한 매장의 불을 끄고 처진 어깨로 복도를 걸어나가던 모습은 지금도 잊히지 않는다. 그리고 몇 년이 지난 오늘, 상황은 좋아지지 않았다. 오히려 악화일로.
텅 빈 매장이 부지기수로 늘어가고 삶의 현장을 떠나는 사람들이 속출하고 있다. 며칠 전, 용산에서 286 컴퓨터부터 시작했다는 사람, 못 고치는 것이 없다고 큰소리치던 일명 '땜쟁이'라 불리던 그 사람도 용산을 떠났다. 몇몇 사람은 소주 한 잔으로 아쉬움을 대신하고 또 어떤 사람들은 곧 닥칠 자기의 미래를 보는 것 같아 애써 외면한다.
의욕적으로 일할 나이에 내몰리는 40대40대, 한참 의욕적으로 일할 나이. 대다수의 경우라면 자기의 삶은 물론 한 가정의 가장으로 살아가고 있을 사람들이 최악의 경기 침체와 신자유주의의 거센 파도에 밀려 곳곳에서 일자리를 잃고 거리로 내몰리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지난 1월 실업급여를 신청한 40대가 전년에 비해 48.7% 늘어 20대(33%), 50대(27%) 증가율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급여를 신청한 40대 중 53%는 실업 전 직장에서 1년도 근무하지 못하고 그만둔 것으로 알려졌다.
그 누군들 실업을 마음 편히 받아들일 수 있겠는가. 또 일자리를 찾지 못해 백수로 지내는 사람 중 누가 두 다리 쭉뻗고 자겠으며 의욕적으로 사회생활을 할 수 있겠는가. 20대건, 30대건, 40대건, 50대건, 백수로 지내면서 겪는 고통은 같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40대의 실업은 유독 남다르다. 이들의 실업은 개인의 실업이 아니라 한 가정의 실업이요, 더 나아가 가정 파괴를 부추기는 촉매제가 되기도 한다.
초등학생이거나 중학생, 빠르면 고등학생이 되어 있는 아이가 하나 아니면 둘. 아이들 사교육비가 가장 많이 들어가는 시기다. 집 장만 계획, 거기에 노후 계획도 세워나가야 할 시기가 40대다. 사무실에 찾아오는 보험 판매사들은 나이를 물어보고는 아직도 노후설계를 하지 않냐고 핀잔을 준다. 종신보험 하나라도 들게 하려는 것이겠지만, 산술적으로 보더라도 40대는 현실의 지출과 미래 설계를 위한 지출이(아이들 대학 등록금을 생각한다면 지금부터 조금씩이라도 모으지 않으면 어림없는 일이다) 가장 큰 시기임은 분명하다.
지금까지 40대는 직장에서도 꽤 비중 있는 자리에 있었다. 입사 10년 이상을 넘긴 과장이나 부장 정도의 관리직, 혹은 생산현장에선 반장이라 불리는 고참 노동자다. 자영업에서도 다르지 않았다. 몇 년 동안 남 밑에서 장사를 배워 독립했든, 30대 초반부터 장사를 했든 그 분야의 베테랑이 되어 안정적 시기로 접어드는 것이 40대다.
40대는 신자유주의 체제의 최대 희생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