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닭없이 아플 땐 고향땅 흙 밟는 게 특효래요

30년 만에 만난 외사촌 누님, 박연옥

등록 2009.04.06 16:01수정 2009.04.06 16:01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외종사촌 누님께서 오셨습니다.

 

연옥이 누님에 대한 저의 마지막 기억은

30여년도 훨씬 전의 모습이었습니다.

그러므로 제 머릿속에는 여전히 단정하고 여린 처녀의 모습이었지요.

 

세월은 그 곱던 처녀의 얼굴에 주름을 만들었습니다.

a

근 30여년만에 대면한` 외종사촌 누님과 외가 식구들 ⓒ 이안수

근 30여년만에 대면한` 외종사촌 누님과 외가 식구들 ⓒ 이안수

 

외갓집은 저의 고향집과 십리 남짓한 거리에 있었지만

한때 5일장이 서던 장터거리에서 멀지않았고,

하루에 4번씩 버스가 오가던 신작로 옆 마을이었기에

어린 마음으로는 제 고향마을보다는 훨씬 도회지 같았습니다.

 

게다가 외갓집에는 덩치 큰 전축이 있어서

우레 같은 소리로 낯선 음악을 들을 수도 있었습니다.

외삼촌은 마을의 이장을 하고 계셔서

이런 저런 사정을 상의하기위해 마을 사람들이

외삼촌 집을 무시로 드나들었습니다.

 

그러므로 외갓집 식구들은 막중한 임무를 맡은,

외사촌들도 모두 고상하고 우아하게만 보였습니다.

 

저의 기억은 거기까지입니다.

그 후 저는 대처로 유학을 나왔고

여태 타관을 떠돌고 있습니다.

 

40여년 객지생활은 고향을 오히려 이향異鄕처럼 느끼게 만들었습니다.

고향에 남은 친구는 하룻밤 술자리를 하고 나면

이어갈 공통의 화제가 소진되고

마을의 아이들은 모두 낯선 얼굴이 되어있습니다.

일 년에 한 두 번도 못가 보는 고향이지만

고향이 어릴 적 기억의 상태로 있어주길 바라는 욕심을 버릴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몇 년 전에 댐이 만들어진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설마'했던 그것이 현실이 되었습니다.

먼 도시의 식수를 공급하기위해

외갓집 아랫마을에 공사를 시작한 것입니다.

 

외갓집이 있는 용촌은 수몰되고 더 두메에 있는 저의 고향마을, 앳골은

발치까지 물이 올라오지만 마을은 원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a

6년전 늦가을의 고향 마을, 앳골. 찾는 횟수와 관계없이 고향은 언제나 마음속의 안식처이고 현실의 위로입니다. “어린 나이에 집 떠나 낯선 곳에서 무척이나 힘들어 할 때 이모님이랑 산골짜기로 나물캐러 갔는데 그 산에서 뻐꾹새 울음소리를 들었어요. 한참이나 그 새랑 나랑 같이 울었어요. 나이 10살에... 지금도 뻐꾹새소린 나를 울게 만들어요(‘차 한 잔 할까요? | 박연옥’에서). 연옥이 누님 처럼 고향을 떠나 대처에 삶을 의탁한 사람들은 누구나 마음속에 그리움의 골짜기를 하나씩 끼고 살지요. ⓒ 이안수

6년전 늦가을의 고향 마을, 앳골. 찾는 횟수와 관계없이 고향은 언제나 마음속의 안식처이고 현실의 위로입니다. “어린 나이에 집 떠나 낯선 곳에서 무척이나 힘들어 할 때 이모님이랑 산골짜기로 나물캐러 갔는데 그 산에서 뻐꾹새 울음소리를 들었어요. 한참이나 그 새랑 나랑 같이 울었어요. 나이 10살에... 지금도 뻐꾹새소린 나를 울게 만들어요(‘차 한 잔 할까요? | 박연옥’에서). 연옥이 누님 처럼 고향을 떠나 대처에 삶을 의탁한 사람들은 누구나 마음속에 그리움의 골짜기를 하나씩 끼고 살지요. ⓒ 이안수

a

5년전 여름의 고향 마을, 앳골. 아랫 마을의 댐 공사에도 불구하고 수몰되지않는 것 만으로도 가슴을 쓸어내렸습니다. ⓒ 이안수

5년전 여름의 고향 마을, 앳골. 아랫 마을의 댐 공사에도 불구하고 수몰되지않는 것 만으로도 가슴을 쓸어내렸습니다. ⓒ 이안수

그러께 가을, 고향 선산의 벌초길에 마주한 고향 가는 길은

육중한 중장비들이 다슬기를 줍던 그 맑은 내를 엎어버렸고

산을 뭉그질러 핏빛의 황토를 드러내고 있었습니다.

 

세 번의 강산이 변할 만한 시간의 간극을 두고 만난

누님께서는 제게 시집을 한권 내밀었습니다.

'박연옥 시집 | 삶이 예쁜 여자'

작년 가을에 발행된 누님의 시집이었습니다.

 

그 시집 속 70여 편의 시 속에는

제 기억속의 처녀적 누님의 모습과

불도저로 상처받기전 고향의 모습이 고스란히 담겨있었습니다.

 

누님의 시집속에 이미

'남자는 마음으로 늙고 여자는 얼굴로 늙는데요'라고 말해두셨네요.

누님의 얼굴주름은 깊어졌어도 마음은 여전히 소녀라는 말씀이겠지요.

 

제가 그리워했던 것들이

누님의 시집 속에 고스란히 박제되어있으니

이제 점점 흐릿해지는 저의 기억을 덜 안타까워해도 될 듯싶습니다.

 

"먼발치에서 툭 부딪혀

또르르 굴러가는 노란 공처럼 예쁜 꽃.

 

-중략-

 

누구하나 열심히 사랑해 주지 않아도

감나무는 홀로 감꽃을 떨구고, 열매 맺는 일에

소홀하지 않았더라.

 

어린 날에

수도 없이 떨어진 감꽃 주워 실에 꿰어

목걸이 만들어 걸고 다니던 꼬마의 추억을

아마 감나무도 간직하고 있겠지"

-'감꽃'에서

a

이 고향집의 감나무도 여전히 감꽃을 피우고 감을 달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이안수

이 고향집의 감나무도 여전히 감꽃을 피우고 감을 달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이안수

 

"단발머리 어린나이에 동네 앞에 모여서

공깃돌 받으며

옛날이야기로 해지는 줄 몰랐을 때

어떤 아이가 그랬다.

 

우리 동네는 옛날에 용이 하늘로 올라가서 용촌이래

용두대에 물이 왜 깊냐 하면 용이 살았었기 때문이래.

그런데 앞으로 50-100년 후면 우리 동네는 물에 잠기고

사람들은 산너머로 옮겨간대.

 

정말? 정말?

두 눈 동그랗게 뜨고 바라보던 우리들 눈망울은 그저 먼

옛날 이야기가 신비롭기만 했어.

 

어떤 이가 그런 엄청난 천기누설을 하였길래

그 예언처럼 고향이 물에 잠긴다.

 

산 자도 죽은 자도

하나 둘 떠나고 중장비 소리만 시끄러운 고향.

-'물속으로 가라앉는 고향'에서

 

연옥이 누님이 이 시집에 새겨두었군요.

"동의보감에 병명도 없이 까딱없이 아플 땐

고향땅 흙을 밟는 게 특효래요"

a

5년전 늦 여름, 마을 앞 선산에서 벌초 중에 허리를 펴서 점점 빈집이 늘어나는 마을을 굽어보는 작은 아버지의 눈길에 아쉬움이 그득합니다. “내가 자라고 꿈을 키우던 부항면 유촌리 언제나 그리우면 찾아갈 곳인 줄 알았던 그래서 내 즐거운 추억을 일깨워줄 줄 알았던 영원히 내가 돌아올 때를 기다려줄 줄 알았던 고향이 물속으로 가라앉습니다. 그 마을에 사는 동안 내가 사랑을 주었었는데 아마도 그 사랑만으론 부족했나 봅니다. 너도 나도 내 고향을 사랑한다면서도 하나 둘 고향을 버리고 떠난 사람들에게 아마도 고향은 야속한 마음을 숨기지 못 한 듯합니다 내가 너를 떠나 보랠 때 내 아팠던 마음 이젠 너희들에게 돌려주마 하는 듯 속절없이 고향이 사라집니다. 소 먹이러 가던 골짜기 고구마 캐던 뒷산 골 깊었던 밭 밤 고기 잡으러 횃불 밝혀 돌멩이 들추던 물 맑던 냇가(‘내 고향 이야기 | 박연옥’에서) 누님의 '내 고향 이야기'는 마음으로만 고향을 사랑하는 저의 양심을 아프게 채찍질합니다. ⓒ 이안수

5년전 늦 여름, 마을 앞 선산에서 벌초 중에 허리를 펴서 점점 빈집이 늘어나는 마을을 굽어보는 작은 아버지의 눈길에 아쉬움이 그득합니다. “내가 자라고 꿈을 키우던 부항면 유촌리 언제나 그리우면 찾아갈 곳인 줄 알았던 그래서 내 즐거운 추억을 일깨워줄 줄 알았던 영원히 내가 돌아올 때를 기다려줄 줄 알았던 고향이 물속으로 가라앉습니다. 그 마을에 사는 동안 내가 사랑을 주었었는데 아마도 그 사랑만으론 부족했나 봅니다. 너도 나도 내 고향을 사랑한다면서도 하나 둘 고향을 버리고 떠난 사람들에게 아마도 고향은 야속한 마음을 숨기지 못 한 듯합니다 내가 너를 떠나 보랠 때 내 아팠던 마음 이젠 너희들에게 돌려주마 하는 듯 속절없이 고향이 사라집니다. 소 먹이러 가던 골짜기 고구마 캐던 뒷산 골 깊었던 밭 밤 고기 잡으러 횃불 밝혀 돌멩이 들추던 물 맑던 냇가(‘내 고향 이야기 | 박연옥’에서) 누님의 '내 고향 이야기'는 마음으로만 고향을 사랑하는 저의 양심을 아프게 채찍질합니다. ⓒ 이안수

 

덧붙이는 글 | 모티프원의 홈페이지
www.motif1.co.kr
에도 포스팅됩니다.

2009.04.06 16:01 ⓒ 2009 OhmyNews
덧붙이는 글 모티프원의 홈페이지
www.motif1.co.kr
에도 포스팅됩니다.
#고향 #희곡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삶의 다양한 풍경에 관심있는 여행자


AD

AD

AD

인기기사

  1. 1 [단독] '김 여사 성형' 왜 삭제? 카자흐 언론사로부터 답이 왔다
  2. 2 '100개 눈 은둔자' 표범장지뱀, 사는 곳에서 쫓겨난다
  3. 3 카자흐스탄 언론 "김 여사 동안 외모 비결은 성형"
  4. 4 최재영 목사 "난 외국인 맞다, 하지만 권익위 답변은 궤변"
  5. 5 한국의 당뇨병 입원율이 높은 이유...다른 나라와 이게 달랐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