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가동보 조감도국토해양부가 제시한 가동보 조감도, 댐이나 하구둑과 매우 유사한 형태이다.
국토행양부
보는 흐르는 물을 가둠으로 하천에 토사와 유기물들을 퇴적시켜 수질오염을 유발시킨다. 유기물과 퇴적물들이 수몰되어 햇빛과 공기의 소통이 없어 오니가 되어 버린다. 하지만, 이 퇴적물들이 모래톱이나 비오톱의 형태로 노출되어 있다면, 오염물이 되지 않는다. 반대로 공기와 햇빛의 소통이 되면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거대한 필터 역할을 한다.
보는 사실상 현재 많은 도시에 별로 필요한 시설물이 아니다. 대부분 농사를 짓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물을 가두어 놓을 필요가 없는 것이다. 현재 보가 설치된 이유는 사람들에게 친수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이는 편협한 사고에서 비롯된 잘못된 가치관이다. 자연하천의 모습과 보로 갇힌 인공하천의 모습! 어떤 것이 사람들에게 심리적으로 더 안정을 가져다 주는지는 다시 한번 생각해 볼 문제이다.
아무튼 보의 용도에 대한 문제는 차재로 치더라도 보의 수질은 어떻게 해결을 해야 하나?
이런 대안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이 가동보이다. 보 자체에 수문의 형태를 만들어 퇴적되는 토사와 유기물들을 쌓이게 되면 하류로 일시에 방류하여 수질을 유지하겠다는 것이다. 생각은 참 그럴 듯한 생각이다. 그래서 그런지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가동보가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4대강 사업의 핵심인 보 설치 또한 이런이유에서 가동보를 채택했다. 그러나 물을 가두는 이유는 차재로 치고 수질을 맞출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강의 본류를 막고 가동보를 설치한 대전의 유등천만 보더라도 쉽게 그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 유등천에는 2008년 5월 완공된 가동보가 있다. 대전천 유지유량을 공급하기 위한 역펌핑사업으로 만든 가동보. 환경단체에서는 보에 물을 가두면 썩기 때문에 썩은 물을 상류로 보낸는 꼴이라며 강력히 반대했다. 하지만, 대전시는 가동보로 운영이 될 것이기 때문에 수질에는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