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대식
김 소장은 "아직도 실종자들의 생존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실종자가 격실에 갇혀있을 경우 평균적인 생존한계시간이 69시간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산소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긍정적인 상황에서는 생존한계시간이 더 연장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사고 당시가 당직 근무 교대 직후라 일부 병사는 침실이 아닌 곳에서 빨래를 하거나 다른 일을 할 수가 있다, 각 격실에 평균보다 적은 인원이 갇혀 있을 경우 아직 생존해 있을 가능성이 있다"며 "또한 병사들은 격실을 최대한 밀폐하고 산소소비량을 최대한 낮춰야 한다는 사실을 숙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 소장은 "지난 2005년 9월 북태평양 캄차카반도 인근에서 러시아 해군 소속의 소형 잠수정이 어망 등에 걸렸다가 3일 만에 미국과 영국에 의해 구조된 적이 있다"며 "당시 7명의 승조원들은 모두 목숨을 건졌다"고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과 김태영 국방부 장관이 두둔했던 사고 직후 해군의 초기 대응에 대해 김 소장은 "미흡한 점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초동 대처가 어려운 상황이었다는 것을 이해하지만, 함미(배꼬리)를 이틀이 지난 시점에 발견한 것은 국민이 보기에 분명 늦었다고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소해함(기뢰탐지함)이 사고 직후 진해에서 바로 출발하지 못한 점은 아쉽다"며 "해군은 가용할 수 있는 배를 일단 사고현장에 바로 보냈어야 하는데, 거꾸로 준비를 모두 한 후에 배를 보내느라 늦어진 것 같다"고 지적했다.
사고 현장에 가장 먼저 도착한 해군이 구조작업을 하지 못한 점에 대해 김 소장은 "당시 상황을 알 수 없지만, 대원들이 아직 배에 뛰어들지 않은 상황에서 구조에 적합한 배를 가진 해경이 구명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그렇지만 해군이 먼저 구조하지 못했다는 점은 상당히 아쉬운 부분"이라고 밝혔다.
김 소장은 이어 "함미가 폭발해서 떨어져나가고 함장실에서 겨우 구출된 상황이라면, 내가 천안함 함정이었다고 해도, 구출작전을 쉽게 할 수 없었을 것"이라며 "휴대전화로 보고를 한 것도 어쩔 수 없는 부분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군 발표가 거짓이라면 책임져야 할 것"김 소장은 "사고 원인을 한 쪽으로 몰아가거나 의혹에 휘둘리는 등 음모론에 말려들지 말아야 한다"며 군의 정보 통제와 관련해서는 "군사정보 등과 관련돼 있고, 확실한 사실만 공개해야 하는 상황에서 부득이한 부분이 있다"고 전했다.
그는 사고 발생 시간이나 침몰 과정 등이 시간이 지나면서 바뀌고 있는 점과 관련해 "말이 바뀐 게 아니라,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자료를 판단하는 데 따른 것"이라면서 "사고 원인과 관련된 정보는 언젠가는 공개될 것이다, 군의 발표와 진실 사이에 차이가 있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이어 "거짓말을 하는 이가 있으면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직을 맡고 있는 책임자인 김태영 국방장관이나 함장의 말을 신뢰해야 한다. 이들을 믿지 않는다면, 그 누구를 믿을 수 있겠나. 정부나 군 발표를 불신하면 상황은 더 악화된다. 그런데, 만약 군의 발표가 진실이 아니라면, 반드시 책임져야 할 것이다. 천안함이 백령도 근처에 접근한 이유가 있겠지만, 만약 잘못된 것이라면 함장이 책임져야 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오마이뉴스 법조팀 기자입니다. 제가 쓰는 한 문장 한 문장이 우리 사회를 행복하게 만드는 데에 필요한 소중한 밑거름이 되기를 바랍니다. 댓글이나 페이스북 등으로 소통하고자 합니다.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공유하기
"'외부 충격' 단정하면 안돼... 해군 초동대처 아쉽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