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이 만들더라도 이보다 더 아름다울 수는 없다

국보 제53호 연곡사 동부도는 최고의 걸작품

등록 2010.10.27 11:10수정 2010.10.27 11:10
0
원고료로 응원
 

a

연곡사 동부도 국보 제53호인 연곡사 동부도는 석조물의 극치로 손꼽히고 있다 ⓒ 하주성

▲ 연곡사 동부도 국보 제53호인 연곡사 동부도는 석조물의 극치로 손꼽히고 있다 ⓒ 하주성

부도란 예전 스님들의 사리를 모셔두는 곳이다. 부도의 꾸밈은 석탑과 같이, 기단 위에 사리를 모시는 탑신을 두고 그 위에 머리장식을 얹는다. 전체적으로 보면 기단부와 탑신, 그리고 머릿돌로 조형이 된다. 머릿돌은 지붕을 얹고 그 위에 연꽃모양으로 만든 보주를 얹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이런 일반적인 부도와는 다른 아름다운 부도가 눈길을 끈다.

 

연곡사의 동쪽에 네모난 바닥 돌 위에 세워진 국보 제53호 연곡사 동부도는 전체적으로 8각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통일신라 때인 진평왕 6년인 545년에 연기조사가 창건한 연곡사는, 고려 초기까지도 스님들이 선을 닦는 절로 이름이 높았다. 그래서인가 연곡사에는 이 외에도 보물 제154호인 서부도로 불리는 소요대사부도와 국보 제54호 북부도가 있다.

 

a

아래받침돌 정교하게 조각된 동부도의 이래받침돌 ⓒ 하주성

▲ 아래받침돌 정교하게 조각된 동부도의 이래받침돌 ⓒ 하주성

a

동부도 조각 동부도에 새겨진 조각. 힘이 넘치는 모습이다 ⓒ 하주성

▲ 동부도 조각 동부도에 새겨진 조각. 힘이 넘치는 모습이다 ⓒ 하주성

극락의 반인반조인 가릉빈가를 새겨

동부도의 기단은 세 층으로 아래받침돌, 가운데받침돌, 그리고 위 받침돌을 차례로 올렸다. 이단으로 꾸며진 아래받침돌에는, 구름에 휩싸인 용과 사자모양을 각각 조각해 놓았다. 가운데받침돌에는 둥근 테두리를 두르고, 부처님의 설법을 들으러 몰려드는 팔부중상을 새겨 넣었다.

 

위받침돌은 밑면을 둥글게 하여 두 겹의 연꽃잎과 기둥모양을 세밀하게 묘사했다. 그리고 둥근 테를 두른 안에 불교의 낙원인 극락에 산다는 전설 속의 새인 '가릉빈가'를 새겨 넣은 점이 독특하다. 가릉빈가는 전설속의 극락조로 하반신은 새이고, 상반신은 사람인 점이 특이한 모습이다.

 

a

가릉빈가 원형 기둥을 놓고 그 안에 안상을 새기고 가릉빈가를 조각했다 ⓒ 하주성

▲ 가릉빈가 원형 기둥을 놓고 그 안에 안상을 새기고 가릉빈가를 조각했다 ⓒ 하주성

a

가릉빈가 천상의 새라는 반인반조의 가릉빈가. 극락조라고도 한다 ⓒ 하주성

▲ 가릉빈가 천상의 새라는 반인반조의 가릉빈가. 극락조라고도 한다 ⓒ 하주성

자태가 아름답고 소리가 묘하다는 가릉빈가는 불가의 호법신장의 일종으로 볼 수가 있다. 일찍 고구려 안악고분 등에서도 비슷한 형태의 그림이 보인다. 가릉빈가는 결국 부도 안에 모셔진 사리를 보호하기 위한 호법의 기능과, 부처님 덕을 찬양하기 위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갖고 있다고 볼 수가 있다.

통일신라 최고의 걸작인 동부도

 

탑신인 몸돌에는 각 면에 테두리를 두르고, 그 안에 수호신장인 사천왕상과 향로 등을 새겨 넣었다. 돋을새김을 한 사천왕상은 지금보아도 당장 호령을 하고 뛰쳐나올 듯한 기개를 보인다. 팔각으로 정교하게 마련한 지붕돌은 돌 위에 새겼다고는 볼 수 없게 화려함을 보이고 있다. 서까래와 기와의 골은 물론, 부연과 막새기와까지 표현을 할 정도로 뛰어나다.

 

a

비천상 받침돌에 새겨진 비천상. ⓒ 하주성

▲ 비천상 받침돌에 새겨진 비천상. ⓒ 하주성

a

사천왕상 사리를 지키기 위해 조각된 사천왕상 ⓒ 하주성

▲ 사천왕상 사리를 지키기 위해 조각된 사천왕상 ⓒ 하주성

머리장식은 화려함의 극치를 보이고 있다. 사방에 날개를 활짝 펴고 있는 봉황을 두고, 연꽃무늬를 아래위로 새겨놓았다. 일설에는 도선국사의 부도라고도 전해지고 있으나 정확한 것은 알 수가 없다. 이 부도의 아름다움에 반한 일제는 동부도를 동경대학으로 옮겨가려고 했다는 소리에 간담이 서늘해진다. 안타까운 것은 머리장식에 새긴 네 마리 봉황의 머리가 다 잘려나갔다는 점이다.

 

a

지붕 지붕돌은 정교하게 마련이 되어, 서까래와 부연까지 표현을 하고 있다 ⓒ 하주성

▲ 지붕 지붕돌은 정교하게 마련이 되어, 서까래와 부연까지 표현을 하고 있다 ⓒ 하주성

a

머리장식 연꽃과 봉황으로 장식을 한 부도의 머리장식 ⓒ 하주성

▲ 머리장식 연꽃과 봉황으로 장식을 한 부도의 머리장식 ⓒ 하주성

a

잘려나간 봉황 네 마리 봉황의 머리는 다 잘려나갔다 ⓒ 하주성

▲ 잘려나간 봉황 네 마리 봉황의 머리는 다 잘려나갔다 ⓒ 하주성

느낌이 일부러 그렇게 잘라버린 듯 해 씁쓸하다. 한 마리도 아니고 어떻게 네 마리의 머리가 하나도 남지 않았을까. 그래서 그 봉황의 모습이 더욱 궁금하다. 아마 머리 위에는 또 다른 장식은 없었는지. 그리고 그 머리를 잘라낸 또 다른 이유가 있었던 것은 아닌지, 영원한 미궁으로 남을 수밖에 없으니 말이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다움 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2010.10.27 11:10 ⓒ 2010 OhmyNews
덧붙이는 글 이기사는 다움 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연곡사동부도 #통일신라 #국보 #가릉빈가 #도선국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금반지 찾아준 사람이 뽑힐 줄이야, 500분의 1 기적
  2. 2 검찰의 돌변... 특수활동비가 아킬레스건인 이유
  3. 3 '윤석열 안방' 무너지나... 박근혜보다 안 좋은 징후
  4. 4 '조중동 논리' 읊어대던 민주당 의원들, 왜 반성 안 하나
  5. 5 "미국·일본에게 '호구' 된 윤 정부... 3년 진짜 길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