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연한 귀농은 금물, 귀농은 단계를 거쳐야"

[인터뷰] 경남 창원 '좋은 예감' 강창국 대표

등록 2010.11.11 15:20수정 2010.11.11 15:21
0
원고료로 응원
 15년전 귀농해 억대 부농으로 일어선 다감농장 일터.
15년전 귀농해 억대 부농으로 일어선 다감농장 일터.임현철

"귀농, 참 힘들다."

주위에서 자주 듣는 말이다. 살던 터전을 버리고 새롭게 둥지를 튼다는 게 쉽지 않은 탓이다. 그럼에도 도시생활을 청산하고 귀농을 꿈꾸는 이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수입원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귀농은 위험하다. 그렇다면 어떡해야 성공적인 귀농이 가능할까?

지난 6일, 귀농 후 경남 창원시 대산면에서 다감농장을 운영하며 영농조합법인 '좋은 예감' 대표를 맡고 있는 강창국(50)씨를 만났다. 강 대표는 연소득 300만 원이 전부인 귀농 길에 올라 연소득 2억여 원에 달하는 부농이 됐다. 다음은 강창국 대표와 인터뷰다.

 백화점에 명품 단감으로 납품하는 '좋은예감'을 선보이는 강창국 대표.
백화점에 명품 단감으로 납품하는 '좋은예감'을 선보이는 강창국 대표.임현철

귀농, 할 일 없으면 농사짓는다? 이런 사람은 안 돼

- 자신에게 땅이란 어떤 의미인가?
"땅은 내가 살아 있을 때 빌려 쓰고 가는 공간이다. 내가 땅을 소유하고 사용하는 건 농사짓기 편하기 위함이지만 빌려 쓰는 것이다. 지금은 2만여 평으로 늘었다."

- 귀농할 때 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어디에 거주할 것인가? 작목은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가? 등을 고민해야 한다. 특히 자신이 선택한 품목이 그 지역 기후와 기온에 맞는지, 지역 특산물이나 연계 농산물, 각종 단체 등에 대한 정보도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먼저 귀농한 사람을 만나 교육 받고, 실제 체험과 경험을 통해 할 수 있다는 판단이 중요하다. 또 귀농 프로그램 등에 참여하고, 정부가 귀농자에게 주는 보조금 500만 원까지 지원받으면 좋다. 귀농은 연령, 조건, 능력 등에 따라 그 방법을 달리 해야 한다. 귀농 후 1~2년은 벌이를 못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 귀농한다면 찬성인가, 반대인가?
"형편이나 입장에 따라 다르다. 직접 만나보고 '가능하다', '아니다'로 판단해야 한다. 자연을 사랑하고 농촌에 대한 애착심이 있는 사람은 찬성이다. 왜냐면 농사는 혼자서 일하기에 외롭다. 할 일 없으면 농사짓는다고 하는데 이런 사람은 안 된다. 농사는 엔터테인먼트가 돼야 견딜 수 있다."


- 귀농을 결심하는 과정에서 놓치기 쉬운 건 무엇인가?
"먹고 살기 위한 귀농과 노후를 위한 귀농은 차이가 있다. 연금 등으로 생활비 50% 이상을 대처하고, 나머지는 농사에서 댈 생각이면 행복한 귀농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수입을 농사에 의지한다면 쉽지 않다. 젊은 층의 귀농은 교육을, 노인층은 의료와 문화 등도 신경 써야 한다."

 감에 대해 설명하는 강창국 대표.
감에 대해 설명하는 강창국 대표.임현철

4500만 원 들고 귀농, 연 소득 2억여 원 달해


- 본인이 귀농한 이유는 무엇인가?
"15년 전 1995년에 귀농했다. 당시 아버님이 교통사고로 돌아가신 후 집에 할머니, 어머니, 앞 못 보는 누나만 남아 어른을 모시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다행히 아내 반대도 없었다."

- 귀농 전 농사에 대해 알고 있었는가?
"아니다. 어릴 때부터 서울로 공부 유학을 했기에 농사와는 거리가 멀었다. 귀농 전, 청주에 있는 부동산 토지평가사무소에서 일했다. 부모님이 농사를 지었지만 아무 것도 몰랐다. 처음에는 정말 막막했다." 

- 얼마를 가지고 귀농했고, 현재 연 소득은 어느 정도인가?
"4500만 원을 들고 귀농했다. 귀농 후 처음에는 연 소득이 300여만 원에 불과했다. 2003년, 현대백화점에 감을 납품하면서 수입이 늘었다. 지금은 단감, 수박, 메론까지 백화점에 납품하면서 단감 와인, 감잎차 등도 만든다. 이것으로 인터넷 거래, 체험장 등을 운영한다. 매출은 총 5억여 원에 소득은 1억8000만 원이다. 빚은 3000만 원 있다."

- 대개 백화점 납품 후 반품으로 골치인데 이런 적은 없었는가?
"단감은 그런 적이 한 번도 없었다. 메론은 몇 번 반품 당했다. 반품을 없애기 위해 납품 과정을 분업화, 전문화했다. 이 과정에서 일하는 사람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했다."

- 귀농 후 가장 힘들었던 것은 무엇인가?
"모두가 힘들었던 기억이다. 아버지께서 남긴 땅 1080평만으론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힘들어 두 손 들고 서울로 도망치기도 했다. 그 뒤 마음을 다잡고 기술을 배워야 했는데 배울 곳조차 없었다. 그 때 단감연구소가 생겼다. 여기서 배우고, 연구하고 기술개발 등을 했다. 또 자연재해로 농작물 손실을 입을 때는 정말 막막했다."

- 지금은 농업 기술 배우는 여건이 어떤가?
"농사는 1~2년 지나면 웬만한 농사를 지을 수 있고, 3년 정도면 전문가가 될 수 있다. 여기저기 대학과 농업기술센터 등에서도 배울 기회도 있고, 여건이 많이 좋아졌다."

 귀농에 대해 말하는 강창국 대표.
귀농에 대해 말하는 강창국 대표.임현철

막연한 귀농은 금물, 귀농은 단계를 거쳐야

- 농사짓는 어른들 보면 골병으로 고생이다. 하루에 몇 시간씩 일하는가?
"나도 골병 들었다. 내 경우 운동을 했는데도 한쪽 다리를 거의 못 쓴다. 하루에 12시간 이상 일하고, 편안하게 쉰 날은 생각하건대 하루도 없다. 매일 일에 매달린다."

- 도시생활과 시골 생활의 차이는?
"도시는 남에게 관여 안하고 산다. 농촌은 옆 집 수저가 몇 개인지까지 안다. 이게 불편하다. 이는 계나 품앗이 등이 좋지 않게 발전한 측면이다. 이걸 좋게 성공적으로 적용한 게 영농조합이다. 왜냐면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끼리 모여서 일하기 때문이다."

- 일상생활에서 어려웠던 점은 무엇인가?
"나는 고향이라 괜찮은 편이었다. 그런데도 힘들었다. 시골에서 귀농자를 모임에 끼워 주지 않기도 한다. 이로 인해 귀농자 70~80% 정도가 도시로 돌아간다고 한다. 돈 못 버는 것보다 이런 게 견디기 힘들다. 달리 생각하면 농촌은 보수적이라 그런 것 같다. 농촌은 따뜻하다지만 외롭고, 도시는 삭막하다지만 외롭지 않은 아이러니가 있다."

- 텃세로 이해되는데 무엇 때문이라 생각하는가?
"시골이 폐쇄적이라 그런 것 같다. 외부에서 온 사람은 비교적 똑똑해 마을에서 주도권을 행사할까 봐 경계하는 경향이다. 귀농자들은 그만큼 경쟁력이 있는 것이다."

- 귀농자에게 힘이 되는 조언을 한다면?
"지속적인 믿음과 자신감을 갖고 일에 임해야 한다. '어떻게 될 것이다'가 아니라 '된다'란 믿음이 중요하다. 또한 가장 이상적인 귀농은 여자가 농사짓고, 남자는 나가서 버는 게 좋다. 귀농에서 성공하려면 여자가 적극적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 귀농을 준비하는 사람에게 하고 싶은 말은?
"막연한 귀농은 금물이다. 고향으로 돌아가는 '귀천'과 농사를 짓기 위한 '귀농'은 구분된다. 귀농은 단계를 거쳐야 하고, 최소 자기 살 집은 있어야 한다. 그리고 자기가 잘 할 수 있는 게 뭔지 알아야 한다. 또 농촌을 즐길 수 있고, 도시와 접목하는 능력이 있으면 더욱 좋다."

- 아내에게 한마디?
"항상 고생하고 힘들어도, 남편을 믿고 따라줘 고맙다."

 강창국 대표의 다감농장에는 단감이 주렁주렁 달려 있었다.
강창국 대표의 다감농장에는 단감이 주렁주렁 달려 있었다.임현철

덧붙이는 글 | 다음과 SBS에도 송고합니다.


덧붙이는 글 다음과 SBS에도 송고합니다.
#귀농 #단감 #강창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묻힐 수 있는 우리네 세상살이의 소소한 이야기와 목소리를 통해 삶의 향기와 방향을 찾았으면... 현재 소셜 디자이너 대표 및 프리랜서로 자유롭고 아름다운 '삶 여행' 중입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2. 2 1만2000 조각 났던 국보, 113년만에 제모습 갖췄다 1만2000 조각 났던 국보, 113년만에 제모습 갖췄다
  3. 3 [단독] 김태열 "명태균이 대표 만든 이준석, 오라면 오고 가라면 가고" [단독] 김태열 "명태균이 대표 만든 이준석, 오라면 오고 가라면 가고"
  4. 4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5. 5 대학 안 가고 12년을 살았는데 이렇게 됐다 대학 안 가고 12년을 살았는데 이렇게 됐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