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험난한 독립유공자 유족 찾기김세호 태안군수 일행과 함께 꼬불꼬불 비포장 소로길을 따라 독립유공자 유족을 만나기 위해 이동했다.
김동이
태안군에도 독립유공자 유족들이 10가구 거주하고 있지만 대부분 어려운 생활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태안의 대표적인 애국지사하면 원북면 반계리 출신으로 <제국신문>을 창간해 개화운동을 추진하고 1910년 강제합병 이후 독립투쟁을 전개했으며, 1919년 3·1운동의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서 독립선언서를 인쇄, 배포했던 옥파 이종일 선생과 더불어 남면 몽산리 출신으로 동학농민운동에도 참여했으며, 1907년부터는 국권회복을 목적으로 대동보국회를 창설하여 대동공보를 발행하는 등 구한말·일제강점기간 동안 민족의 독립을 위해 투쟁한 독립운동가로 활발한 재미독립운동을 전개했던 우운 문양목 선생을 들 수 있다.
이 두 항일운동가는 태안의 대표적인 애국지사로서 후세에도 이름을 떨치며 생가지 복원 등 성역화를 추진하는 등 태안군민의 정신적 지주로서 자리잡고 있다.
이에 더해 이름은 잘 알려져있지 않지만 옥파 선생과 더불어 원북면 출신으로 독립운동사에 이름을 남긴 고 이익교 선생을 비롯해 홍순대, 한춘산, 김봉국, 이문협, 장태형, 고계문, 최기석, 김정진, 최중삼 선생 등 10분의 독립유공자들의 후손들이 태안에 거주하고 있다.
특히, 이익교 선생은 비록 서산 부석에서 항일운동을 전개했지만 태안 출신 애국지사로서 그동안 안타깝게도 그 이름이 묻혀져 있었다.
하지만, 다행히도 지난해 제91주년 3·1절을 계기로 정부포상이 확정되면서 대통령 표창을 전수받아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았다.
1883년 원북에서 태어난 고 이익교(1883~1975) 선생은 중일전쟁이 종지부를 찍은 1939년 1월부터 3월 중 인근 서산 부석에서 "중일전쟁에서 일본이 패배하여 조선이 일본의 착취에서 벗어나 다시 부흥할 수 있다"고 선전하다 일본 순사에게 체포돼 징역 8월을 선고받는 등 항일투쟁의 공적을 인정받아 독립유공자에 이름을 올렸다.
고 장태형 선생(1906~1945)도 비록 태안 출생은 아니지만 함경남도 원산에서 항일투쟁을 전개하다 징역 1년의 옥고를 치르고 안타깝게도 광복을 보지못한 채 1945년 4월에 순국, 2005년에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을 수여받았는 등 태안에는 조국의 독립을 위해 기꺼이 목숨을 희생한 독립유공자의 후손들이 거주하고 있다.
독립유공자 유족이지만 정부 관심 및 지원부족으로 어려운 생계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