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KT 경매 첫날 466억원 '베팅'... "소비자 전가"

1.8GHz 주파수 놓고 눈치작전... 최고가 5000억 원 육박

등록 2011.08.17 18:53수정 2011.08.17 18:53
0
원고료로 응원

이통3사는 4G LTE 서비스를 앞두고 치열한 주파수 확보 경쟁을 벌여왔다. 사진은 지난 2월 28일 오전 방통위 주최로 열린 통신사 CEO 간담회. 왼쪽부터 하성민 SK텔레콤 사장,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이석채 KT 회장. ⓒ 김시연


"KT가 45억 원 올리면 SK텔레콤도 45억 원 더!"

주파수 경매 첫날 SK텔레콤과 KT가 1.8GHz 대역을 놓고 치열한 눈치작전을 벌여 하루만에 최고가를 466억 원 올렸다.

주파수 경매 첫날 11라운드 동안 466억 원 올려

방송통신위원회(아래 방통위)는 17일 오전 9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이동통신 주파수 경매를 시작했다. 애초 이통 3사 모두 눈독을 들였던 2.1GHz 대역이 일찌감치 LG유플러스 단독 응찰로 정리된 가운데 이날 1.8GHz와 800MHz 대역을 놓고 SK텔레콤과 KT가 경쟁을 벌였다.

우선 대역폭이 20MHz로 더 넓은 데다 4세대 LTE(롱 텀 에볼루션) 서비스에 유리한 1.8GHz 대역부터 입질이 시작됐다. 이날 경매는 미술품 경매처럼 양사가 주거니 받거니 하며 입찰가를 올릴 수 있는 '동시 오름 방식'으로 진행했다.

최저 입찰가인 4455억 원에서 출발해 11라운드가 진행되는 동안 466억 원이 올라 첫날 최고 입찰가는 4921억 원을 기록해 5000억 원을 코앞에 뒀다. 이날 오후 6시까지 입찰을 포기한 곳이 없어 12라운드는 18일 오전 9시부터 다시 진행된다.

오남석 방통위 전파기획관은 지난 11일 "담합을 막으려고 2개 사업자에게 각각 방을 하나씩 줬다"면서 "어느 한 쪽이 최저 경쟁 가격 이상을 적어내면 상대방에게 이 금액을 알려주고 이전 최고 가격의 1% 이상을 더 써내게 하는 방식"이라고 밝혔다. 과열을 막으려고 이전 최고 가격의 3%보다 더 써낼 수 없게 했지만 양사는 계속 최저 수준인 1%씩만 올리는 치열한 '눈치작전'을 벌였다.


오 전파기획관은 "1라운드 진행에 30분에서 1시간 정도 걸려 하루 최소 5라운드에서 10라운드 정도 진행될 수 있다"면서 "하루 400억 원 정도 올라간다고 보면 하루에 경매가 끝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도 포기자가 나오지 않는 한 최고가 제한선이 없기 때문에 경매가 계속 이어지면 상승폭이 수천억 원으로 치솟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반면 최저 입찰가가 2610억 원에 불과한 800MHz 대역은 대역폭이 10MHz에 불과하고 내년 7월에나 사용할 수 있어 자연 후순위로 밀렸다. 두 곳 중 1.8GHz 대역 입찰 참여를 포기한 쪽은 800MHz 대역을 최저 입찰가에 가져갈 수 있다.


2.1GHz(20MHz)는 예상대로 1라운드에서 최저 입찰가인 4455억 원을 써낸 LG유플러스에 돌아갔다. 방통위는 지난 6월 22일 이미 2.1GHz 대역을 갖고 있는 SK텔레콤과 KT는 같은 대역 경매 참여를 제한하기로 해 사실상 LG유플러스 단독 응찰을 결정했다.

a

이통사들은 황금주파수 선점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여왔다. 사진은 지난 2010년 3월 31일 방통위에서 주파수이용계획서를 제출하고 있는 LG유플러스. ⓒ LG유플러스 제공


과열 경쟁시 '승자의 저주', '소비자 전가' 우려

지난해까지 방통위는 사업자가 낸 주파수 이용계획서를 심사해 점수가 높은 쪽에 선택권을 주는 방식으로 현재 최저 입찰가 수준에서 주파수를 할당해 왔다. 반면 주파수 경매는 최소 수천억 원에서 많게는 수조 원이 왔다 갔다 할 수 있는 만큼 언론과 여론도 관심도 여느 때보다 크다. 다만 경매 낙찰가가 천문학적으로 오를 경우 그 부담이 이통사 가입자들에게 요금으로 전가될 수밖에 없어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들은 지난달 31일 공동 성명을 통해 "경매설계를 제대로 하지 않을 경우 과열 경쟁에 따른 출혈 경매로 이른바 '승자의 저주'를 낳을 위험이 높고 자칫 통신사업자가 안은 비용이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면서 "체계적인 중장기 주파수 배분 계획을 수립한 뒤 합리적인 경매 절차를 진행하라"고 촉구했다.
#주파수 경매 #SK텔레콤 #LG유플러스 #KT #방통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사회부에서 팩트체크를 맡고 있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3일마다 20장씩... 욕실에서 수건을 없애니 벌어진 일
  2. 2 참사 취재하던 기자가 '아리셀 유가족'이 됐습니다
  3. 3 [단독] '윤석열 문고리' 강의구 부속실장, 'VIP격노' 당일 임기훈과 집중 통화
  4. 4 23만명 동의 윤 대통령 탄핵안, 법사위로 넘어갔다
  5. 5 이시원 걸면 윤석열 또 걸고... 분 단위로 전화 '외압의 그날' 흔적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