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북면 일대 방역초소 구제역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방역작업을 하고 있다
보령신문
우리나라의 축산업은 경제성장 및 소득수준 향상과 맞물려 소비가 생산을 이끌었다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급성장했다. 이에 따라 부업형태의 축산업이 산업적 축산으로 변모하며 규모는 엄청나게 확대됐고 기술수준이 향상됐다. 농림수산식품부가 발표한 2010년 농림업 총 생산액은 약 43조 5000억 원인데, 이중 축산업은 17조4714억 원으로 전체의 40.2%를 차지하고 있으며 품목별로 돼지, 한우 등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하지만 성장하는 축산업에 맞추어 축산 행정시스템은 아직 제자리인 것으로 보인다. 현재 축산업이 대규모로 이뤄지는 충남 보령과 홍성에서 구제역이 발발했을 당시 관련 대응활동을 했던 축산직 공무원이 보령은 1명, 홍성은 2명에 불과했다. 천북면만 해도 인구는 5천이지만 축산 사육두수는 13만 마리가 넘는다. 악취나 환경민원이 끊임없이 들어오지만 턱없이 부족한 인원으로 민원을 해결하기는 어려운 현실이다. 홍성의 경우 그나마 한 명도 환경과에서 파견 나온 상황이었다.
지난 11월 21일 현장조사에 동행했던 양흥모 대전충남녹색연합 사무처장은 "농가들은 늘어나고 있지만 관련 담당 공무원의 수는 턱없이 부족해 향후 구제역이 다시 발생한다면 담당공무원의 희생이 반복될 수밖에 없는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구제역 관련 대응이 정부 중심인 것도 문제다. 농림수산식품부의 구제역 긴급행동지침에 따르면 구제역 발생 시 구제역 방역 대책본부가 구성되고 가축방역협의회의 자문을 통해 대책과 시행에 대한 의사결정이 이뤄지도록 돼있다.
환경보건시민센터의 김선경 위원은 올해 1월에 열린 구제역 국회토론회에서 "살처분 명령이야 시장 군수 구청장에 의해 발효되지만 실질적인 명령은 중앙기관과 자문을 담당하는 방역협의회의 일부 전문가들에 의해 내려지는 것"이라며 정부가 구제역 관련 정보를 독점하고 독자적으로 판단하는 것에 대한 위험성을 지적했다.
전국의 지자체들이 처한 환경이 각기 다른 지라 현장에서 직접 방역을 담당해야 하는 지자체는 어려움이 많았다. 보령의 경우, 방역당국이 구제역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강력한 사전조치를 취하자 해당 농가에서는 살처분에 반발하기도 했으며, 2만여 마리에 달하는 대규모 매몰장소를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또 매몰부지 물색 끝에 농장에서 5km 가량 떨어진 국유지가 매몰지로 결정되자, 매몰지 주변 주민들이 환경오염 등을 이유로 반발하고 나서 한때 매몰작업이 중단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현장조사 시 동행한 공무원은 정부지침의 변동을 지자체의 실정에 맞게 적용하는데는 현실적 어려움이 있음을 토로했다. 매몰지 선정과 살처분 과정에서 "당장 상황이 급박해 원칙을 모두 지키기는 어려웠다"고 말하며 "그때만 생각하면 아직도 아찔하다"며 당시 방역현장의 참담한 상황을 떠올렸다.
또 "보상 산정방법도 정부에서 시가기준을 명확하게 주지 않아서 별도지침에서 시가를 정하는 등 혼선이 있었고 지침 또한 계속 수정됐다"며 정부 지침 혼선에 따른 지자체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백신방역한계, 상시 예찰 시스템 구축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