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행궁을 들어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곳이 바로 '신풍루(新豊樓)'이다. 신풍루는 화성행궁 정문으로, 정조 14년인 1790년에 세운 누문이다. 처음에는 6칸으로 된 문을 세우고 조심태가 편액을 써서 '진남루(鎭南樓)'라고 하였다. 정조는 1795년에 문의 이름을 '신풍루'로 고치라고 명하여, 조윤형으로 하여금 다시 편액을 쓰게 하였다.
'신풍'이란 명칭은 일찍이 한나라 고조가 '풍 땅은 새로운 또 하나의 고향'이라고 한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정조에게 있어 화성은 고향과 같은 고장이라는 의미다. 정조는 이름을 고치고 1795년 을묘 행차 시에 신풍루 앞에서, 친히 화성 부의 백성에게 쌀을 나누어 주고 굶주린 백성에게는 죽을 끊겨 먹이는 진휼 행사를 벌이기도 했다.
화성사업소 허락받아, 신풍루에 올랐다
정조 18년인 1794년 가을 행궁을 대대적으로 증축할 때는 누대 양편에 군영을 설치하고, 정조 19년인 1795년에는 누문 앞으로 길이 114척, 넓이 35척 돌다리를 설치하여 '신풍교'라 이름 하였다.
2월 13일(월) 화성행궁을 찾았다. 그동안 몇 번이나 간 곳이지만, 신풍루는 아래에서만 사진을 찍었을 뿐 위쪽으로는 한 번도 올라가지 못했다. 이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에 출입을 금한다는 푯말 때문이다. 화성사업소에 들러 신풍루를 촬영하겠다고 허락을 받고 신풍루로 올랐다.
신풍루는 수원시 팔달구 신풍동 123번지에 소재한다. 국립민속박물관에 보관 중인 1907년 헤르만 산더의 사진에는 신풍루가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남아있었음을 알 수 있다. 가파른 계단을 올라 신풍루 위로 올라보니, 팔달문 밑으로 놓인 행궁이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문밖으로는 팔달문에서 장안문으로 가는 도로와 건너편 창룡문 쪽으로 가는 도로가 보인다.
아마도 이 행궁을 짓고 난 정조 당시에도 이곳 신풍루 앞은 이렇게 길이 나 있었을 것이다. 뒤로는 팔달산을 끼고, 앞으로는 넓은 도로를 볼 수 있다. 정조는 이 신풍루의 누각에 올라 마음속에 담은 큰 뜻을 펼치려고 했을 것이다.
장초석으로 바친 기둥, 장엄함의 상징
6칸 규모의 중층 누각으로 지어진 신풍루는 위로는 누마루를 놓고, 아래는 3개의 얼문을 설치하였다. 정조는 나중에 왕위를 물려주고 이곳에 내려와 살 생각을 하였다고 하였으니, 그 행궁의 정문 또한 남다른 신경을 써서 축조한 것으로 보인다.
어른 키만 한 장초석을 놓고 그 위에 기둥을 올려 이층 누각을 받치게 하였다. 안에는 바깥과 마찬가지로 장초석을 사용하여 웅장함을 더했다. 삼문은 판문으로 해서 달았으며, 문의 좌우에도 판벽을 둘렀다. 이층 누각으로 올라가는 누각은 가파르다. 그만큼 누각을 높였다는 것이다. 누마루를 깐 이층에는 사방을 둘러 난간을 달았다.
이층 누각으로 오르면 좌우로는 남 군영과 북 군영의 지붕들이 보이고, 팔달산 쪽으로는 시원하게 공간을 내어 정전의 바깥 출입문인 좌익문을 만나게 하였다. 화성행궁은 미로처럼 이어져 있다. 그 행궁의 문인 신풍루. 아마도 신풍루 이름을 직접 지은 정조는, 이 누각 위에서 강한 군주가 통치하는 나라를 그렸을 것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