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달사지 석조에 빠져, 찜통더위를 잊다

문화재 보면 볼수록 눈이 맑아져

등록 2012.08.06 16:34수정 2012.08.06 16:34
0
원고료로 응원
a 석조 여주 고달사지 가 - 4 건물지 안에 있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47호인 석조

석조 여주 고달사지 가 - 4 건물지 안에 있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47호인 석조 ⓒ 하주성


어떤 때는 내가 생각해도 '미쳤다'는 생각이 든다. 문화재 답사는 그저 좋아서 하는 일이다. 만일 누가 40도 육박하는 더위에 답사하라고 시켰다면, 길길이 뛰고 난리를 쳤을 것이다. 그런데도 이렇게 답사를 하는 것을 보면 아마 전생에 내가 우리 문화재에 큰 잘못을 했던 것만 같다. 이런 나를 두고 누군가 한 마디 한다.

"아마도 과거에 우리 문화재를 일본 놈들에게 팔아먹던 사람이었을 것"이란다. 그러지 않고서야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날이 더우나 추우나 그렇게 돌아다닐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과거야 알 수 없으니, 그만해도 참 다행이란 생각이다. 만일, 정말로 그랬다면 어떻게 고개를 들고 다닐 수가 있을 것인가?


하기야 지금도 그런 인사들이 없는 것은 아니다. 문화재에 낙서하는 사람들. 문화재를 보호해야 할 위치에 있으면서도, 문화재를 내버려두는 사람들. 그리고 소중한 문화재를 도굴하여 몰래 치부하는 사람들. 이 모두가 다 이 땅에서 사라져야만 할 사람들이다. 내가 그런 사람이 아니라는 것 하나만으로도, 참 고맙고 또 고맙다.

문화재의 보고 여주 고달사지

a 석조 전체적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으로, 그 규모는 장변 321cm, 단변 149cm, 높이 98cm 이다.

석조 전체적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으로, 그 규모는 장변 321cm, 단변 149cm, 높이 98cm 이다. ⓒ 하주성


사적 고달사지,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 일대에 광범위하게 형성되었던 사찰이었다. 고달사지에는 국보를 비롯한 보물 그리고 경기도지정 유형문화재와 비지정 문화재 등 많은 석조유물이 남아있다. 고달사는 신라 경덕왕 23년인 764년에 창건되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아직 구체적으로 확인된 바는 없다.

다만 사지에서 출토되는 많은 유물로 보아, 신라 말기 이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을 뿐이다. 요즘 고달사지를 가면 또 다른 발굴작업을 하고 있어, 고달사지에서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문화재가 출토될 것인가에 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예전 고달사는 한강을 끼고 있던 흥법사와 법천사, 거돈사, 신륵사 등과 함께 한강의 수로를 이용한 교통 요지에 자리 잡고 있었다.

a 모서리 모서리는 바깥 면 중간에 1단의 굴곡을 두었다

모서리 모서리는 바깥 면 중간에 1단의 굴곡을 두었다 ⓒ 하주성


a 배수공 바닥 중앙부에는 지름 7.5cm의 원형 배수공이 관통 되어 뚫려 있다.

배수공 바닥 중앙부에는 지름 7.5cm의 원형 배수공이 관통 되어 뚫려 있다. ⓒ 하주성


현재 고달사지에는 두 점의 석조가 남아있다. 삼국시대부터 제작되어 사용된 수조는 일정한 공간에 물을 담아 저장하거나, 곡물을 씻거나 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다. 수조는 일반적으로 돌이나 나무로 만들어져 석조 또는 목조가 많이 제작되었으며, 사찰이나 궁궐 등 규모가 크고 사람들이 많이 기거하는 건축 공간에 조성하였다.


새롭게 보인 고달사지 석조

고달사지 남쪽에 자리하고 있는 가-4 건물지에서 발견된 석조는 물을 담아 두기 위한 시설이기 때문에 한 돌로 치석 또는 조성하였다. 이 석조는 일부 파손되기는 했지만, 전체적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으로 그 규모는 장변 321cm, 단변 149cm, 높이 98cm다. 석조는 한 돌로 치석 되었으며, 평면이 긴사각형으로 표면을 고르게 다듬어 전체적으로 정연하면서도 정교한 인상을 주고 있다.


33도를 웃돈다는 지난 4일. 고달사지를 한 바퀴 돌면서 만난 석조 앞에는, 예전 답사때 볼 수 없었던 문화재 안내판 하나가 서 있다. 석조를 설명하는 이 안내판에는 석조가 경기도 지정 유형문화재 제247호로 지정이 되었음을 알려 주고 있다. 이 석조를 살펴보니 각 면의 모서리부분을 부드럽게 다듬어, 세심한 부분까지 관심을 두고 치석했음을 알 수 있다.

a 파손 신라말에서 고려 전기에 조성한 것으로 보이는 이 석조는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파손 신라말에서 고려 전기에 조성한 것으로 보이는 이 석조는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 하주성


그동안 몇 번이나 이 석조를 보았지만, 이렇게 안내판을 보고 다시 돌아보니 모르고 있던 부분까지 알게 된다. 문화재를 자주 찾아보아야 한다는 것을 알게 하는 부분이다. 이 석조의 내부는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밑 부분에서 호형으로 치석하여 장식적인 기교를 보이고 있으며, 바닥 중앙부에는 지름 7.5cm의 원형 배수공이 관통되어 뚫려 있다.

이외에 주목되는 부분은 모서리의 치석과 장식 수법이다. 특히 모서리는 바깥 면 중간에 1단의 굴곡을 두었으며, 상면 모서리에는 안쪽으로 연꽃잎이 말려 들어가는 듯한 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표현하였다. 이처럼 석조의 모서리 부분을 화형으로 치석한 경우는 보기 드문 예에 속한다.

쌀을 씻기 위한 석조인 듯

이 석조는 전체적인 치석 수법과 고달사지의 연혁 등을 고려할 때, 고려 전기에서도 이른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밖에도 고달사지에는 또 하나의 석조가 있다. 한편이 심하게 훼손이 된 또 하나의 석조는 지금은 중앙국립박물관으로 옮겨 간 쌍사자 석등지로 올라가는 길목에 있어, 이는 예불을 드리기 전 손을 씻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a 석조 상면 모서리에는 안쪽으로 연꽃잎이 말려 들어가는 듯한 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표현하였다.

석조 상면 모서리에는 안쪽으로 연꽃잎이 말려 들어가는 듯한 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표현하였다. ⓒ 하주성


하지만 이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석조는 건물터 안에 있는 것으로 보아, 쌀을 씻기 위한 것이나, 식수를 담아두기 위한 것이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이 석조가 쌀을 씻기 위한 것이었다면, 당시 고달사에 얼마나 많은 사부대중이 있었는가를 알 수 있다.

경기도 지역에서는 보기 드물게 조성 시기가 빠른 편에 속하는 고달사지 석조, 문화재는 보면 볼수록 눈이 맑아진다고 한다. 그만큼 많이 알아가기 때문이다. 고달사지 한편에 자리하고 있는 이 석조로 인해, 과거 고달사의 또 다른 일면을 유추해 낼 수 있다는 즐거움이 찜통더위마저 잊게 한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경기리포트와 다음 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덧붙이는 글 이기사는 경기리포트와 다음 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석조 #고달사지 #여주군 북내면 #유형문화재 #찜통더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얼굴 창백한 계산원을 보고 손님이 한 행동 얼굴 창백한 계산원을 보고 손님이 한 행동
  2. 2 유럽인들의 인증샷 "한국의 '금지된 라면' 우리가 먹어봤다" 유럽인들의 인증샷 "한국의 '금지된 라면' 우리가 먹어봤다"
  3. 3 일타 강사처럼 학교 수업 했더니... 뜻밖의 결과 일타 강사처럼 학교 수업 했더니... 뜻밖의 결과
  4. 4 알고도 대책 없는 윤 정부... 한국에 유례 없는 위기 온다 알고도 대책 없는 윤 정부... 한국에 유례 없는 위기 온다
  5. 5 체코 대통령, 윤 대통령 앞에서 "최종계약서 체결 전엔 확실한 게 없다" 체코 대통령, 윤 대통령 앞에서 "최종계약서 체결 전엔 확실한 게 없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