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끈 주먹 쥔 박근혜 대통령박근혜 대통령이 4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정부조직개편안 처리가 늦어지는 것에 대해 대국민담화를 발표하고 있다.
권우성
정부조직 개편안 2월 임시국회 통과가 결국 무산됐다. 미래창조과학부 업무 영역을 놓고 여야 간 이견을 끝내 좁히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지난 4일 김종훈 장관 내정자가 자진사퇴하고 박근혜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에 나서는 등 우여곡절도 겪었다.
박근혜 정부 얼굴인 '미래창조과학부'가 출범 전부터 이렇게 시달리고 있는 표면적 이유는 '유선방송(케이블TV)' 때문이다. 박근혜 정부는 '창조과학을 통해 창조경제의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미래창조과학부를 신설한다고 밝혔지만, 정작 과학기술분야보다는 제2차관이 맡게 될 ICT(정보 커뮤니케이션 기술) 업무 비중이 훨씬 넓고 민감하다.
방통위 '방송 장악' 5년에 '공보처 부활' 트라우마 겹쳐 그동안 ICT 업무를 주로 맡아온 방송통신위원회의 지난 5년 궤적만 살펴보니 지금 갈등의 원인을 쉽게 짚어볼 수 있다. 그동안 방통위에선 통신비 인하나 보조금 규제, 주파수 경매 같은 통신 문제는 여야 간 큰 이견이 없었던 반면 방송 이슈는 사사건건 부딪혔다. 지난 2009년 7월 방송법 개정안 날치기 처리에 이은 종합편성채널(종편) 사업자 선정과 케이블TV-지상파 재전송 갈등 등이 대표적이다.
방통위는 여야 추천 상임위원 5명으로 구성된 합의제 기구로 이 같은 사안에서 첨예하게 대립했다. 이명박 정부 실세였던 최시중 전 위원장은 인사권을 앞세워 사무국을 사실상 장악했고 여야 3대 2 구도를 앞세워 대부분 힘으로 밀어붙였다. 이 때문에 야당과 언론시민단체에선 무늬만 합의제지 장관 독임제나 다름없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IT업계는 IT업계 나름대로 과거 정보통신부에서 담당하던 업무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지식경제부 등으로 쪼개지면서 'IT 콘트롤타워'가 사라졌다고 불만을 쏟아냈다. 지난 대선을 앞두고 '정통부 부활'을 기치로 내건 ICT 대연합이 탄생한 이유다.
정치권도 이에 호응했다. 지난 대선 당시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는 ICT 독임제 기구를 공약으로 내세웠고, 박근혜 후보 역시 ICT 업무 통합에 무게를 실었다. 결국, 박근혜 대통령 당선 이후 과거 정통부과 과학기술부를 합친 '미래창조과학부'를 만들면서 방통위 역할을 크게 축소하기로 해 갈등의 불씨를 남겼다.
정부 여당은 방통위에는 규제 중심의 최소한 업무만 남기고 방송통신 진흥 등 대다수 정책 업무를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할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야당은 독임제 장관이 방송 업무를 장악할 경우 그나마 허약한 방송 공공성과 독립성이 더 파괴될 것을 우려해 방통위 권한을 최대한 확보하려고 버텼다. 그동안 여야 협상을 통해 지상파, 종편 등 보도 관련 채널 인허가 권한을 방통위에 남겨두기로 하는 등 간극을 좁혔지만, 유선방송 등 뉴미디어 문제만 남겨놓고 있다.
정부 여당은 유선방송 인허가권을 방통위에 남겨두되 법령재개정권을 포함한 방송정책 권한은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민주당은 방송정책권한이 없는 인허가권은 껍데기에 불과하고 유선방송 플랫폼으로 SO(종합유선방송사업자)들을 압박하면 방송 장악이 가능하다며 맞서고 있다.
이에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4일 "국가의 미래를 위해 이 문제만큼은 물러설 수 없다는 절박한 심정"이라면서 "이것이 빠진 미래창조과학부는 껍데기만 남는 것이고 굳이 미래창조과학부를 만들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야당을 강하게 압박했다. 마치 방송정책 관련 업무가 미래창조과학부에서 '핵심적이고 본질적인 부분'임을 강조한 셈이 됐다.
방송정책이 미래창조과학부 핵심?... "창조경제도 제대로 못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