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선생의 강의에 집중하는 수강생들
이경호
정 선생은 '볍씨 하나를 뿌리면 몇 개의 볍씨가 될 까요?' 질문을 했다. 수강생들은 200알, 10알 여러 숫자를 얘기했지만 맞출 순 없었다. 정 선생은 볍씨 1알에 2000개의 벼 알을 얻을 수 있다며 놀라워했다. 성인 한 명의 공기밥 안에 1000개 정도의 밥 알이 있다고 가정하면 볍씨 한 알을 심어 2끼를 해결 할 수 있을 정도의 생산량을 자랑했다.
정 선생은 세계 3대 주곡은 쌀, 옥수수, 밀이라고 설명하고, 이는 각 나라의 기후에 제일 잘 자라고, 기르기 쉽고, 생산량이 많은 곡식이 그 나라의 주곡이 되었다고 한다. 유럽이나 미국은 밀이 그 나라의 주곡이고,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남아시아권의 주곡은 쌀이 된 것 역시 기후 때문인 것이다. 밀은 어떤 사람에게는 잘 맞지 않아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성분이 있기 때문에 요즘에 건강식으로 뜨고 있는 곡식은 쌀이라고 자부했다.
친환경 유기농 제품의 앞을 보면 유기농 번호가 있는데 이는 제품의 농약 잔류나 농가에게 주는 인증 마크가 아니고, 검사한 흙에게 유기농 인증 마크를 주는 것이다. 그 흙에서 나고 자란 어떠한 작물도 유기농마크를 달 수 있다고 했다. 그만큼 흙이 중요하고, 작물에게 흙이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 유기농인증마크에서 알 수 있다고 한다.
논을 공식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전답(田畓)의 답(畓)자는 밭 전(田)자 위에 물 수(水)는 밭에 물을 담는 모습을 표현한 한국식 한자라고 한다. 쉽게 말해 밭에 물을 담아 놓은 형태가 논이 되는 것이다. 논에 물을 담아 벼농사를 짓는 이유는 순전히 잡초 때문이라고 한다.
아무래도 물을 대게 되면 밭에 사는 잡초가 자라기 힘든 여건이 되기 때문에 주변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논에 물을 대는 것이다. 습생식물로 습한 곳에서 잘 자라지만 굳이 물을 댈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 의림지 재림지 등 과거 문화재가 논에 물을 대기위해 만든 문화제라고 부연했다. 두레는 논의 김매기를 위해 만든 조직이라며 농경 사회의 공동체는 논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오랜 기간 물을 대며 농사를 짓다보니 수생식물의 종류의 잡초들이 자란고, 이런 잡초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모를 심기 한 달 전에 물을 대 미리 잡초를 자라게 해 뽑으면 나중에 잡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했다. 만약 이 시기를 놓치고 미리 잡초를 뽑지 못하면 나중에 벼가 자랄 때 함께 자라 더 힘들어질 수도 있다며 주의를 요했다.
그럼 제초제나 농약을 뿌리지 않고 제초효과를 거두면서 유기농을 할 수 있는 방법이 뭐가 있을까?
오리농법 : 오리 농법이란 논에 오리를 키워 잡초가 나는 것을 억제하는 농법이다. 정 선생은 오리가 논을 돌아다니면서 흙탕물을 만들고 흙탕물이 생기면서 자연스레 잡초가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문제점은 오리가 가는 곳만 가서 오리가 가지 않은 곳에는 잡초가 나 그 곳은 사람이 직접 김을 매야 된다고 한다. 또한 산짐승의 위협을 막기 위해 저녁에는 우리에 가두어 놓아야하고, 아침에 다시 풀어 놓아야 하며, 매일 오리의 먹이를 챙겨 주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다고. 부지런한 농부가 되어야 가능하다고 한다.
우렁이 농법 : 우렁이 농법이란 논에 우렁이를 풀어 나는 잡초를 먹게 하는 농법이다. 정 선생은 우렁이는 오리처럼 먹이를 주거나 따로 관리 하지 않아도 되어 덜 번거롭지만, 우렁이 대부분이 남미에서 가져와 외래종 문제도 있고, 겨울을 잘 이겨내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면서, 잘 살리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한다.
논은 습지인가? : 정 선생이 말하길 습지란 젖은 땅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늪, 수렁, 뻘 등과 같은 곳을 칭하는데, 논도 국제습지보호를 위한 람사르협약에서 지정한 습지라고 설명했다. 논 습지는 다른 습지와는 달리 인간이 일부러 물을 대어 만든 것이기 때문에 인간의 손길이 없으면 없어진다고 강변했다. 논 습지에는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된 투구 새우나, 붕어, 도룡뇽 등 다양한 생물이 산다고 한다. 정 선생은 생물을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논습지를 보호하고, 계속 유기경작 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둠벙을 만드는 것이 생물 다양성을 유지하는 제일 좋은 방법이라고 부연했다.
정 선생은 밥을 먹는 것은 다른 다양한 생명체를 살리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습지로서의 가치가 높은 유기농 논은 많은 생명들을 품고 있기 때문이다. 논이 습지로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농사가 지속가능하게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논농사가 끝났을 경우 2년 정도면 육화된다고 한다. 정 선생은 둠벙이나 유기농 논이나 모두 습지로서의 생명을 살리는 기능을 유지하는 농사가 가능한 사회구조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