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꽈당' 박근혜 대통령영국 방문중인 박근혜 대통령이 6일 저녁(현지시간) 런던 시내 '길드홀'에 도착해 차량에서 내리다 한복에 발이 걸리며 넘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대통령이 넘어졌다. 대단한 뉴스일까? 내신이든, 외신이든 이 장면을 주요 화젯거리로 삼고 싶어한다면, 그 이유는 아주 간단하다. 이 사실을 말하고 싶은 것이다.
"대통령은 결국... 사람이었다!"
그럼 무엇인 줄 알았을까? 한 마리의 봉황? 하지만 이보다 더 기이해 보이는 것은, 정반대 부류의 사람들, 즉 대통령도 한낱 사람이라는 사실을 감추려고 기를 쓰는 사람들이다. 예컨대 이런 글을 쓰는 사람들이 그렇다.
"박근혜 대통령의 영국 국빈방문 공식환영식이 열린 5일(현지시간). 아침부터 비를 퍼붓던 런던의 하늘은 환영식이 시작될 즈음부터 개기 시작했다. 마침내 오후 12시 10분 행사가 시작되자 잔뜩 찌푸린 하늘 뒤에 숨었던 해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냈다. 박 대통령을 태운 왕실마차가 버킹엄궁에 들어설 때는 햇빛이 쨍쨍 비췄다." - "朴대통령, 버킹엄궁 들어서자 비 그치고 햇빛 쨍쨍" (11. 5. 이데일리 피○○ 기자) 만일 박 대통령이 도착할 때 먹구름이 몰려오고 천둥번개를 동반한 폭우가 쏟아진다면 어떨까? 걱정할 것 없다. 기지는 어려운 순간일수록 빛을 발하는 법이다. 물론 날씨가 갠 상황보다 훨씬 높은 공력과 문학적 재능이 필요할 테지만.
"흔치 않은 자연현상이 나타날때 '서기(瑞氣:상서로운 기운)'로 여기는 일이 많다. 특히 날씨가 그렇다. 옛 시절에는 자연현상으로 인간의 길흉화복을 점치기도 하고 앞날을 예견하는 운명의 '복선'쯤으로 여기기도 했다. 이번 중국 국빈방문 중 박근혜 대통령과 날씨의 상관관계가 회자됐다. 방중 첫날인 6월 27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단독·확대정상회담을 성공리에 마치고 이틀째인 28일에는 전날 국빈만찬에 이어 특별 오찬까지 하는 최고 예우를 받았다. 이날 저녁 베이징에는 드물게도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폭우가 쏟아졌다. 낮에는 찜통더위와 높은 습도로 가만히 있어도 등에 땀이 흐를 정도이고, 불쾌지수마저 꽤 높았던 데다 각종 매연과 안개가 뒤섞인 스모그로 목이 따가울 정도로 날씨가 좋지 않았지만 이날 비는 베이징 하늘에 켜켜이 쌓인 오염을 말끔히 씻어내릴 만큼 시원함과 상쾌함을 선사했다. 연평균 강수량이 500㎜ 정도에 불과한 '마른 하늘'의 베이징에서 모처럼 보기 힘든 장면이라는 게 현지인들의 반응이다." - (2013. 7. 1. 파이낸셜뉴스 정○○ 기자) 위의 글을 쓴 기자는 제목을 아예 "박 대통령과 날씨"라고 붙였고, 박근혜 대통령이 특사 자격으로 베이징을 방문했던 6년 전 기억까지 끌어왔다. 박 특사가 2008년 1월 베이징을 방문해 후진타오 전 주석을 만나려 할 때 "드물게도 폭설이 내렸다"는 것이다. 그게 기자 말대로 "상서로운 눈"이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1월에 내리는 눈이 드물다면, 언제 내리는 눈이 드물지 않은 눈인지 궁금하다.
대통령이 정말 부끄러워해야 할 일
앞의 글들을 통해 우리가 배울 수 있는 것은, 박근혜 대통령이 누구와 함께 있을 때 비가 오거나, 비가 안 오거나, 눈이 내리거나, (아마도) 눈이 안 내리면 상서로운 징조라는 사실이다. 저널리즘, 문학, 기상학을 융합한 탁월한 창의력의 산물이 아닐 수 없다.
이런 '드문' 역량을 지닌 기자들이 <이데일리>나 <파이낸셜뉴스> 등 경제신문 소속이라는 사실은 무엇을 말해줄까? '창조경제'의 성과가 피어나고 있음을 알리는 상서로운 징표로 봐야 할까? 우박이나 진눈깨비에 대한 분석이 없는 것은 아쉽지만, 그건 탁월한 선배들 뒤를 이을 후배 기자들 몫일 것이다.
대통령이 다치지 않았다면 (다행히 부상을 입지 않았다), 그가 넘어진 사실은 별 뉴스거리가 아니다. 기껏해야, 거동이 쉽지 않은 의상을 입은 대통령이 차에서 안전하게 내릴 수 있도록 섬세히 배려하지 않은 의전상의 허점 정도를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어느 경우든 대통령 잘못도 아니고, 부끄러워 할 일도 아니다.
하지만 기괴하게도 청와대는 이 사실을 당분간 보도하지 말라며 한국 언론에 '비보도'를 요청했다. 그리하여 대통령이 넘어졌다는 사실은 외신을 타고 국내에 전해졌고, 그제서야 한국 언론은 입을 열기 시작했다. 청와대는 왜 그 소식을 막고 싶어했을까? 사소한 해프닝에 지나지 않는 사건을 말이다.
한 사람을 신비화하려고 애쓸수록 그의 인간적인 한계는 더 크게 부각되기 마련이다. 예컨대 대통령이 '날씨를 바꾸고 길운을 몰고 다니는' 비상한 능력이 있다는 식의 주장을 하고 나면, 다리를 삐끗한 하찮은 일도 신비스러운 이미지를 훼손시키는 거대한 사건이 된다. 하늘의 뜻도 움직인다는 분이, 한 뼘 거리의 '땅의 뜻'을 다스리지 못한다면 이상하지 않은가.
국민에게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하는 대통령과 청와대의 노력을 모르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편집증적 이미지 관리가 정권유지의 유일한 방편이 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실체가 빈곤할수록 이미지에 강박적으로 집착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나는 청와대의 '비보도' 요구와 호칭 하나에 발끈하는 모습에서 밑천 드러난 지도자의 암울한 그림자를 본다. '박근혜씨'가 그렇게 모욕적으로 들린다면, 자신들이 야당 시절 노무현 전 대통령을 어떻게 칭했는지 떠올려 볼 일이다. '연극'을 빙자한 행사에서 제 나라 지도자를 '노무현 육xx랄놈,' '개x놈,' '노가리 나쁜 놈'이라 부르지 않았던가. 지금의 박근혜 대통령과 같은 위치에 있던 사람에게 말이다.
한국은 민주주의가 잘 작동하는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