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서 갈등 겪는 '송전선로 지중화', 창원은 합의

5기 중 4기 땅 밑으로... 창원시·주민·한전, 3자 합의

등록 2013.12.02 16:39수정 2013.12.02 17:28
0
원고료로 응원
밀양 송전탑 건설 문제로 갈등이 깊은 가운데, 창원 마산합포구 월영동 일원에 추진 중인 '154kV 서마산분기 송전선로 증설공사'와 관련해 주민과 한국전력공사(한전)가 송전선로를 땅 밑으로 묻는 '지중화'에 합의해 관심을 끈다.

정부와 한전은 '신고리-북경남 765kV 송전선로' 밀양 구간(4개면)에 송전탑 52기를 세우는 공사를 벌이면서, 반대 주민과 갈등을 깊게 겪고 있다. 주민들은 송전선로가 마을 가까이 있다며 '지중화'와 '우회선로'를 요구하고 있지만, 한전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2일 창원시에 따르면, 송전탑 건설현장인 마산합포구에 위치한 청량산 현장에서 박완수 창원시장과 주민대표, 한전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송전선로 지중화'에 합의·서명했다.

a

창원 마산합포구 월영동 일원에 추진 중인 ‘154kV 서마산분기 송전선로 증설공사’와 관련해, 주민과 한국전력공사가 송전선로를 땅 밑으로 묻는 ‘지중화’에 합의했다. 박완수 창원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2일 청량산 현장에서 '지중화 방안 최적안 결정' 합의서 조인식이 열렸다. ⓒ 창원시청


'154kV 서마산분기 송전선로' 사업은 2010년 5월 정부가 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 승인을 한 뒤부터 진행되고 있다. 율곡마을 뒷산 송전선로에서 서마산변전소까지 1.6km에 걸쳐 총 5기의 송전탑을 세우는 사업이다. 송전탑 5기 가운데 1기(예곡마을 쪽)는 주민과 합의했지만, 율곡마을 쪽을 지나는 4기는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왔다.

율곡마을 주민들은 지난 8월부터 주민대표자회의를 여는 등 송전탑 반대 투쟁을 해왔다. 마산합포구 현동 율곡마을, 월영동 주민들은 송전탑으로 인해 건강권과 재산권 등을 우려해 공사 전면 중단과 지중화 등을 요구해 왔다.

이에 창원시(마산합포구)는 "주민과의 합의 없이는 개발제한구역 내 행위 등을 행정 불허가 처분"으로 대응하면서, 한전 측에 지중화 검토를 요구하고 주민 요구사항을 건의했다.

그러자 한전 측은 지난 9월 '지중화 4개안'을 대안으로 내세웠다. 마산합포구는 한전 측이 내놓은 대안에 대해 전문기관에 전자계 영향 검토를 요청했고, 여러 차례 한전과 실무자 협의를 가졌다.


마산합포구청 관계자는 "주민설명회 과정에서 몇 차례 주민과의 이견을 좁히지 못해 사업 추진에 애로사항도 많았지만, 그 때마다 주민대표와 한전, 마산합포구가 서로 머리를 맞대어 주민요구사항을 검토하고 꾸준히 이견을 좁혀 나갔다"고 밝혔다.

한전 관계자는 "송전탑을 세우면 전체 사업비가 20억 원 정도인데, 지중화를 하면 50억 원 정도 들 것으로 보인다"며 "지중화에는 합의를 했지만, 지중화 노선에 있어서는 당초 한전측에서 제시한 노선과 달라 앞으로 논의를 더 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영근 월영마을발전협의회장은 "여러 사람들의 중지를 모아 우리가 한국에서 가장 모범사례로 남을 수 있는 아름다운 일이 될 수 있도록 도와달라"면서 "박완수 시장, 조광일 마산합포구청장 등 행정에서 정말 많은 도움을 주고 노력을 했다"고 말했다.

양준철 한전 송변전개발팀장은 "이 사업을 위해 지금까지 7년 동안 검토를 해왔다"며 "주민들을 100% 만족시키지는 못하겠지만 마을에서 원하는 대로 하려고 최대한 노력했다"며 이해를 당부했다.

박완수 창원시장은 "주민-한전이 선전화된 국민의식을 갖고 합의를 이끌어냈다는 것을 고맙게 생각한다. '전국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며 "이번 송전선로 사안을 통해 주민과의 끊임없는 대화가 민원해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항임을 깨달았고, 앞으로도 집단 민원 등 다른 부분에서도 이번 사례를 거울삼아 위민 행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밀양 송전탑 #창원시 #박완수 창원시장 #한국전력공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딸이 바꿔 놓은 우리 가족의 운명... 이보다 좋을 수 없다
  2. 2 '100개 눈 은둔자' 표범장지뱀, 사는 곳에서 쫓겨난다
  3. 3 카자흐스탄 언론 "김 여사 동안 외모 비결은 성형"
  4. 4 '헌법 84조' 띄운 한동훈, 오판했다
  5. 5 최재영 목사 "난 외국인 맞다, 하지만 권익위 답변은 궤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