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6일 오후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열린 새정치민주연합 중앙당 창당대회에서 선출된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가 손 잡고 참석자들의 환호에 화답하고 있다.
남소연
'기초선거 무공천'은 새정치민주연합(새정치연합)의 블랙홀이었다. 지난달 26일 신당을 창당한 후 새정치연합이 생산하는 모든 이슈는 '무공천' 논란 속에 파묻혔다.
당초 "새정치란 국민이 먹고 사는 문제를 최우선 과제로 삼는 것"이라고 목소리 높이던 김한길·안철수 두 대표의 외침은 첫날 언론으로부터 반짝 조명받은 후 사라졌다. 두 대표가 민생 행보를 이어가긴 했지만, 발언의 중심은 '기초선거 무공천'이었다. 이제는 "약속을 지키는 정치가 새정치"라는 당위만 강조했다.
두 대표도 바삐 움직였다.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약속 이행 기자회견을 열었고, 범국민 서명운동을 벌였고, 청와대를 찾아가 대통령과 면담을 신청했다. 그러나 돌파구는 마련되지 않았고 끝내 나온 결론은 '권리당원 투표 + 여론조사로 공천 여부를 다시 묻자'였다. "내 소신은 변함 없지만, 당원과 국민의 뜻을 따르겠다"라는 새로운 약속이 내걸렸다.
그리고 10일, 결국 '무공천 철회'로 결론이 났다. 2주간을 지루하게 끌어온 무공천 논란은 이렇게 일단락됐다. 창당한 후 당의 이미지를 국민에게 각인시키고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광폭행보를 벌였어야 할 2주가 그렇게 흘러갔다.
민생행보 탄력받지 못하고, '새정치' 브랜드 가치 떨어지고 신경민 최고위원은 9일 최고위에서 "국정원 특검, 채동욱 특검, 간첩증거조작 특검이 우리 어깨에 걸려있다"라며 "(그런데) 국정원, 검찰, 여당, 청와대 등의 집단 기억상실과 무공천 논란에 민주가 잠시 실종됐다"라고 짚었다.
실제로 지난 2주 동안 채동욱 전 검찰총장 뒷조사에 청와대가 직접 나섰다는 의혹이 수면 위로 다시 떠올랐고, 국정원의 간첩사건 증거 조작 사건은 사실로 굳어지는 모양새를 보였다. 그 속에서 130석을 가지 제1야당의 역할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정부 여당을 향한 제대로 된 공격도, 특검 추진도 이뤄지지 않았다. 특히 새로운 의제로 떠오른 '버스 공공성' 이슈도 제대로 확산시키지 못했다. 이 모든 이슈가 '무공천 논란'으로 수렴됐기 때문이다.
'새정치'를 강조하며 내 건 민생행보도 탄력을 받지 못했음은 물론이다. 안 대표 측 핵심 관계자는 "'안철수'만의 프로그램이 있어야 하는데 지금은 안철수다움을 잃어가고 있는 거 같다"라고 진단했다.
이 과정 속에 '안철수 새정치'라는 브랜드의 가치도 동시에 떨어졌다. 빅 데이터 전문가 유승찬 스토리닷 대표의 분석에 따르면, 창당 후인 3월 31일부터 4월 6일까지 일주일 간 트위터와 블로그를 통해 가장 많이 언급된 것은 정치인 '안철수'다. 9만 4000회 가량이다. 이 가운데 긍정언급은 27%, 부정 언급은 54%로 부정적으로 언급된 사례가 2배에 달했다. 안 대표가 강조하는 '약속'이라는 키워드보다는 '패배'라는 부정어들이 2배 가량 더 많이 확산됐다. '무공천' 관련해서도 3만 건의 글이 유통됐고 '무공천' 연관어로는 '안철수'가 압도적 1위로 나타났다.
즉 '안철수'가 많이 언급됐지만 부정적인 언어와 함께 유통된 셈이다. 이는 정당 지지율로도 이어졌다. 지난 3주 동안 한국 갤럽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 새정치민주연합 지지도는 4%포인트 하락했다.
'무공천 논란' 2주의 득실...."안철수 대표는 이제 당에 안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