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1일 오전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열린 '카카오톡 압수수색 규탄 기자회견'에서 만민공동회 제안자인 정진우 노동당 부대표가 사례발표를 하고 있다.
권우성
박근혜 정부 들어 네이버, 다음, 카카오 등 인터넷 포털과 모바일 메신저에 대한 수사기관의 이용자 개인정보 압수수색과 감청(통신제한조치) 영장 집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네이버는 '통신자료' 제공 중단에 따른 '풍선효과'라는 해석을 내놨다. 하지만, 방송통신심의위원회(아래 방심위) 등 정부 기관의 게시물 삭제 요구 등 '인터넷 검열' 건수도 박근혜 정부 들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카카오는 23일 오전 자사 누리집을 통해 첫 '투명성 보고서'를 발표했다(
다음카카오 투명성 보고서 보기). 지난 22일 밤 '기습' 발표한 네이버보다 한 발 늦긴 했지만 수사기관 자료 제공 통계뿐 아니라 정부기관의 '인터넷 검열' 통계까지 포함하는 등 내용 면에서는 더 충실하다는 평가다.
다음카카오는 2012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반기별로 수사기관의 이용자 정보 요청과 처리 건수, 계정 건수를 발표했다. 이밖에도 방심위의 게시물 시정 요구(삭제)를 비롯한 정부기관의 '인터넷 검열' 건수도 함께 공개했다.
2013년 이후 감청-압수수색, 게시물 삭제 등 '인터넷 검열' 급증지난해 10월 합병 이전 다음과 카카오로 나눠 분석한 결과,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 2013년 이후 수사기관의 통신제한조치(감청) 영장과 압수수색 영장 집행 건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의 경우 2012년 상반기 감청 요청 건수가 15건에 불과했지만 하반기 26건으로 늘었고 2013년 상반기부터 36건, 50건, 61건으로 계속 증가하다 2014년 하반기 20건으로 급감했다. 이는 다음카카오가 지난해 10월 '카카오톡 검열' 논란 이후 '감청 영장 불응'을 선언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압수수색 영장도 카카오의 경우 2012년 상반기 273건에 그쳤으나 하반기 538건으로 2배 가까이 늘었고 2013년 983건, 1693건으로 계속 증가해 2014년 상반기 2131건에 이르렀다. 다음도 2012년 상·하반기 513건, 850건이던 것이 2013년 들어 2170건, 2612건으로 급증했다 역시 2014년 하반기에 줄어드는 추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