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전문학 의원이 지난 2월 산내학살희생자 유골발굴 보고회에서 "위령제 지원을 위한 조례를 올해 안에 재정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임재근
저는 오늘 한국전쟁 시기 우리지역에서 1950년 여름 일어난 산내골령골 민간인 학살사건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이 자리에 섰습니다. 산내골령골에서는 최소 1800명에서 최대 7000명에 이르는 민간인 희생자 유해가 묻혀 있습니다.
산내 골령골은 한국전쟁시기 전국 최대 민간인 학살현장입니다. 동족상잔의 비극이 이해할 수 없는 야만적 행위가 나와 생각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우리 지역에서 일어났습니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희생자 중 상당수가 이념이 무엇인지도 제대로 모르는 10대 청소년이라는 점입니다. 2010년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는 산내 골령골 민간인 학살에 대해 '비록 전시라 하더라도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야하는 국가가 좌익 전력이 있거나 의심이 된다는 이유만으로 형무소에 수감된 재소자와 보도연맹원들을 법적인 절차 없이 집단 살해한 것은 명백한 불법행위'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한 최종적 책임은 대통령과 국가에 귀속된다는 점도 분명히 했습니다. 그러나 오늘의 현실은 어떻습니까? 역사의 현장에 대해 중앙정부나 지방정부는 외면과 방치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급기야 엄동설한에 유족회와 시민단체가 나서서 발굴사업을 진행하는 처지에 이르고 있습니다.
산내 골령골 학살은 불편하지만 진실입니다. 아프지만 우리의 역사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외면하고 역사의 현장을 방치하면서 과연 일본에게 과거사에 대해 사죄하고 개선책을 내오라고 주장할 자격이 있는지 묻습니다. 다행히 오늘 우리는 한국전쟁 희생자 위령사업 등에 관한 지원조례를 제정했습니다. 그간 수고를 마다지 않고 대표발의를 해주신 김경훈 의원께 감사 말씀드립니다.
저는 이런 제안을 드립니다.
다시는 이 땅에서 이런 야만적 행위가 재발되지 않도록 평화와 인권 교육의 장으로 다시 태어나야 합니다. 대전시는 현장을 보존하여 훼손을 막고 민간인희생자 유해발굴과 수습을 함으로써 이 분들께 최소한의 예의를 다해야 합니다. 나아가 평화와 인권교육의 장이 되도록 추모공원을 조성해야 합니다. 단재 신채효 선생의 말을 전하는 것으로 제 발언을 마치겠습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우보천리 (牛步千里). 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듯 천천히, 우직하게 가려고 합니다.
말은 느리지만 취재는 빠른 충청도가 생활권입니다.
공유하기
대전 시민단체 "산내 골령골 한 평 지키기 운동 시작"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