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방공무원 수백만 명 정보 유출... '중국' 배후 지목

미 연방 인사관리처 시스템 해킹 당해... 중국 '혐의 부인'

등록 2015.06.05 14:30수정 2015.06.05 14:30
0
원고료로 응원

중국의 미국 연방 인사관리처 해킹 의혹을 보도하는 CNN 뉴스 갈무리. ⓒ CNN


미국이 4백만 명에 달하는 연방 정부 공무원 정보를 해킹 당하면서 중국을 배후로 지목했다.

AP, CNN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국 국토안보부는 5일(현지시각) 연방 인사 관리처의 전산 시스템이 지난달 말부터 해킹 당해 전·현직 연방 공무원 4백만 명의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했다.

연방 인사관리처는 연방 정부의 모든 부처와 기관 공무원의 경력과 업무 능력 평가해 인사 검증을 하고, 건강이나 가족 관계, 학력 등 각종 신상 자료를 총괄하는 주요 기관이다.

미국은 이번 해킹 사건이 중국 정부와 관련된 중국인 해커들의 소행일 것이라고 지목했다. 정부 관계자는 국토안보부와 연방수사국(FBI)이 본격적인 조사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도나 시모어 인사관리처 정보관리 담당자는 "(인사관리처 전산 시스템은) 적대 국가들이 원하는 미국 정부의 인사 정보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수많은 해커들의 표적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사관리처는 "즉각 전산 시스템 보안을 강화했고, 피해 공무원들에게 정보 유출을 개별 통보했다"며 "공무원들이 직접 자신의 신분 도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즉각 반발... 미·중 갈등 깊어질 듯


배후로 지목된 중국은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미국 주재 중국 대사관은 "근거도 없이 섣불리 결론을 내는 것은 무책임하다"며 "이 같은 해킹 사건은 상호 협의와 존중을 통해서만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중국 대사관은 대변인을 통해 "중국은 사이버 공격을 반대하며, 이를 막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왔다"며 "해외에서 발생하는 해킹 공격은 법인 추적이 매우 어렵다"고 밝혔다.

미국은 지난해 9월에도 우체국의 인사관리 시스템이 중국인 해커들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사이버 공격을 당해 직원 80만 명의 신상 정보가 유출됐고, 올해 2월에는 연방 국세청 전산 시스템이 러시아 해커들에게 뚫리는 등 사이버 공격에 시달리고 있다.

미국은 이번 해킹 사건도 중국을 배후로 지목하면서 최근 정치, 경제적으로 파열음을 내는 미·중 갈등이 더욱 깊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인사관리처 #중국 #해킹 #사이버 공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원룸 '분리수거장' 요청하자 돌아온 집주인의 황당 답변
  2. 2 나이 들면 어디서 살까... 60, 70대가 이구동성으로 외친 것
  3. 3 서울 사는 '베이비부머', 노후엔 여기로 간답니다
  4. 4 '검사 탄핵' 막은 헌법재판소 결정, 분노 넘어 환멸
  5. 5 택배 상자에 제비집? 이런 건 처음 봤습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