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적 배운 역사가 '사실'이 아니라고?

[서평] 역사학의 단면도를 제시하는 책 <역사학의 거장들, 역사를 말하다>

등록 2015.08.06 16:35수정 2015.08.06 17:35
0
원고료로 응원
역사를 뜻하는 영어 'History'는 라틴어 'Historia'에서 파생됐다. 라틴어 'Historia'는 지식의 탐구·탐문이라는 뜻이다.(혹자는 History를 'His + story'로 분리해 '예수의 이야기'라고 설명하곤 하는데 이는 견강부회적인 해석이다). 요컨대 역사는 단순히 과거에 있었던 일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가들의 지적 탐구가 쌓여 형성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지금껏 배워온 역사를 '사실'이라고 여긴다. 하지만 우리가 배우는 역사는 '정설'에 불과하다. 정설은 많은 학자가 옳다고 주장하는 가설을 뜻한다. 많은 학자가 같은 가설을 주장한다고 해서 그것이 사실이 되는 것은 아니다. 가설은 결국 가설일 뿐이다. 타임머신이 발명되지 않는 이상, 우리는 가설을 사실이라고 말할 수 없다.


다시 말해 역사는 당시 역사가가 취사선택한 기록물(1차 사료)을 기반으로 그것을 후대 역사가가 제 나름의 해석과 판단을 더한 저작으로 구축된다. "역사책을 알기 위해서는 역사가를 먼저 알아야 하고, 역사가가 누구인지 알기 위해서는 역사가를 낳은 사회를 알아야 한다(613쪽)"는 에드워드 카(E. H. Carr)의 말은 여기서 비롯된 것이다.

바다가 쓸어오는 모래가 쌓여 광활한 모래사장을 만들 듯, 역사도 수천 년간 역사가들의 저작이 쌓인 결과물이다. 때문에 후대로 갈수록 역사가는 힘이 든다. 읽어야 할 저작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후대 역사가들은 역사학의 계보를 누군가가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주길 소원한다. 아마 <역사학의 거장들 역사를 말하다>(루츠 라파엘 엮음, 한길사 펴냄)라는 책이 그런 바람을 담아 만든 책이 아닐까.

역사학의 거장을 뽑다

 <역사학의 거장들, 역사를 말하다>, 책표지
<역사학의 거장들, 역사를 말하다>, 책표지한길사
임마누엘 칸트, 프리드리히 니체, 마르틴 하이데거... 한 분야에서 독보적인 성취를 이룬 사람들을 거장이라고 부른다. 철학 외에도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거장이라 불리는 이들이 있다. 이 책은 역사학 분야에서 독보적인 성취를 이룬 27명의 거장을 선정했다. 레오폴트 폰 랑케, 버트런드 러셀 같은 유명인에서부터 조금은 생소할지도 모르는 학자들까지. 이 책을 통해 이들의 생애, 저작, 사상 등을 섭렵할 수 있다.

왜 굳이 거장을 선정하고, 거장에 관한 글을 책으로 묶어야 했는지 의아할 수도 있다. 세상에는 수많은 학자가 있고, 제 나름대로 연구 활동을 하며 살아간다. 하지만 세계에 큰 충격을 줄 만한 연구를 내놓는 학자는 소수에 불과하다.(그렇다고 다수의 학자를 폄훼할 의도는 없다). 역사학이라는 거대한 학문의 맥을 짚기 위해서는 이 책과 같은 작업이 필수적이다.


"여기에 제시되는 '거장들'은 21세기 초에 역사학의 개념, 이론, 방법론, 작업 유형에서 대표적인 본보기다. 그러므로 독자는 이 책의 각 장의 글을 읽으면서 역사학의 여러 단면을 두루 여행하게 되며, 이러한 의미에서 여기에 소개되는 모든 저자와 저작은 여전히 '현재적'이다. 역사학의 주 경향을 그려내는 모범적 단면도가 군상으로 제시되는 것이다."(24쪽)

거장을 선정하는 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일관된 기준과 기준에 대한 납득할 만한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사람의 생각은 천차만별이라 사람에 따라 거장이라 생각하는 학자도 다를 수밖에 없다. 만약 기준이 중구난방이거나 근거가 빈약하다면, 선정된 거장의 신뢰성에 치명적이다. 책에서 저자는 거장을 선정한 기준으로 '현재적 영향력', '자극', '대작', '시대경험' 등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현재적 영향력'은 특정 주제, 연대, 지역 등의 좁은 범주를 넘어 보편적으로 탁월성을 인정받았는가를 의미한다. 특수한 상황에서만 적용되는 연구는 인류라는 관점에서는 가치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다음은 '자극'이라는 기준이다. 거장이라면 역사가가 살았던 당대뿐만 아니라 후대 역사가에게까지 중요한 자극을 줘야 한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대작'이다. 저자가 말하는 대작이란 역사적 대상과 연구문제가 모범적인 방식으로 제시된 저작을 뜻한다.

마지막으로 '시대경험'이라는 기준인데, 저자가 설정하는 기준 중에서 가장 특별하다. 시대경험은 거장의 역할을 시간상으로 한정하는 것을 뜻한다. 분명 역사가는 자신이 살았던 시대와 밀접한 연관을 가진다. 하지만 후대 사람들은 거장의 저작을 불후의 것으로 만들려는 욕망이 있다. 저자의 판단에 의하면 이러한 욕망의 개입은 역사학의 단면도를 파악하는 데 있어 적절치 못하다는 것이다.

역사학이라는 맥락에서 위와 같은 선정기준은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이제 남은 것은 책으로 들어가 직접 27명의 거장을 만나는 것뿐이다. 거기서 어떤 역사학의 단면도를 만날지는 온전히 독자의 몫이다.

역사가를 아는 것이 진정한 역사교육

학창시절 친구들은 역사를 정말 싫어했다(내가 경험한 바로는 그렇다). 여타 과목에 비해 외울 것이 많기도 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재미가 없어서였다. 학창시절을 겪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1592년 임진왜란, 1875년 강화도조약, 1910년 을사늑약'을 외던 기억이 있을 것이다. 만약 사건과 연도를 외는 역사 공부가 재미있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면 엄지를 치켜들고 싶다.

역사가가 설정한 가설의 총체인 역사를 배운다는 것은 다양한 관점을 수용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때문에 다양한 가설을 접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 하지만 한국의 역사교육은 '정설'이라는 한 가지 가설을 주입하는 식이다. 역사교육의 현실이 이 모양이니 역사교과서가 '좌편향이다, 우편향이다' 아웅다웅하는 촌극이 벌어지는 것이다. 좌든 우든 이를 적절히 수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주는 것이 역사교육인데 말이다.

역사가에 관해 가르치는 것이 진정한 역사교육이다. 하지만 정부 정책을 만드는 공직자의 인식이 변하지 않는 이상 재미없는 역사교육은 계속될 것이다. 그러므로 <역사학의 거장들 역사를 말하다>와 같은 책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한국에서 역사는 영원히 기피 대상으로 남을 것이다. 문득 축구 한일전이 열릴 때면 나부끼는 현수막의 글귀가 떠오른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덧붙이는 글 <역사학의 거장들, 역사를 말하다>(루츠 라파엘 엮음, 이병철 옮김/ 한길사/ 2015. 6/ 2만3000원)

이 기사는 본 기자의 블로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역사학의 거장들 역사를 말하다

루츠 라파엘 엮음, 이병철 옮김,
한길사, 2015


#레오폴트 폰 랑케 #버드런트 러셀 #마르크 블로크 #막스 베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열심히 읽고 짬짬이 쓰는 김 아무개


AD

AD

AD

인기기사

  1. 1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2. 2 의사 아빠가 죽은 딸의 심장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 의사 아빠가 죽은 딸의 심장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
  3. 3 "나는 폐허 속을 부끄럽게 살고 있다" 경희대 시국선언문 화제 "나는 폐허 속을 부끄럽게 살고 있다" 경희대 시국선언문 화제
  4. 4 남편 술주정도 견뎠는데, 집 물려줄 거라 믿었던 시댁의 배신 남편 술주정도 견뎠는데, 집 물려줄 거라 믿었던 시댁의 배신
  5. 5 미국에 투자한 한국기업들 큰일 났다... 윤 정부, 또 망칠 건가 미국에 투자한 한국기업들 큰일 났다... 윤 정부, 또 망칠 건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