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가 삼국을 통일했다면 어땠을까?

[여행] 백제의 옛 도읍지 공주 공산성을 찾아서

등록 2015.09.03 11:46수정 2015.09.04 14:24
0
원고료로 응원
금서루 공산성의 서문 금서루에 구름이 닿아 있다
금서루공산성의 서문 금서루에 구름이 닿아 있다임재만

공주 공산성은 백제의 피난처였다. 백제 21대 개로왕이 고구려 장수왕과 싸우다 죽자, 이에 위협을 느낀 그의 아들 문주왕이 부득이 도읍을 옮긴 곳이다. 도읍을 옮긴다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쉽지 않은 일이다.

최근에 수도를 세종시로 옮기는 과정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얼마나 많은 반대가 있었는가? 결국 행정수도로 축소되지 않았는가? 당시에도 도읍을 한강유역에서 웅진으로 옮기는 것에 수구세력의 반대가 만만치 않았을 것이다.


결국 천도를 반대한 무인세력 해구에 의하여 문주왕은 살해되고, 그의 아들 삼근왕까지 3년만에 병사하였다. 손자 동성왕이 신하에 의하여 또 살해되자 왕권이 크게 흔들리며 국가의 혼란이 극에 달하였다. 무령왕이 아버지 동성왕을 살해한 신하를 일벌백계로 엄벌에 처하면서 왕권을 다시 찾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그의 아들 성왕이 전성기를 맞는다.

도읍 옮긴 백제, 수구세력의 반대

큰 나라로 발전하기에 웅진이 도읍으로 비좁다고 생각한 성왕은 다시 사비(부여)로 옮기게 된다. 이로써 공산성은 약 63년간의 도읍지로 길지 않은 역사를 끝내고 만다. 그 후에도 조선의 임금 인조가 이괄의 난을 피해 6일간 피신처로 머물렀다고 한다. 결국 공산성은 백제의 임시수도 이자 왕들의 피신처였던 것이다.

그러나 백제는 개방정책을 적극적으로 펴 중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와 활발히 교류를 했으며, 불교문화가 매우 발달하여 그 영향이 일본에까지 미치는 문화대국이 되었다. 지금은 백제가 나당연합군에게 멸망하는 바람에 유적이 많이 남아 있지 않지만, 백제인의 혼을 담은 예술품이 곳곳에서 발견되어 세계를 놀라게 하고 있다.

부여 능산리 절터에서 발견된 금동대향로도 그렇고, 일본으로 흘러들어가 지금은 교토의 광륭사와 법륭사에 남아있는 미륵반가사유상과 백제관음상은 세계 지성인들에게 아낌없는 찬사를 받고 있다. 당시의 백제가 군사적으로 강하지는 않았지만 문화적으로는 상당히 선진국이었음을 나타내는 증거다.


1일, 공산성의 입구인 금서루에 올라섰다. 길게 누운 성곽을 바라보니 무언가 알 수 없는 비애가 스멀스멀 피어오른다. 잠시 머문 도읍지라지만 면모가 너무 초라하기 때문이다. 도읍지의 모습을 찾기 힘들다. 그냥 군사요충지 같은 느낌이다.

만하루 군사의 중심 기능을 하였던 누각의 모습
만하루군사의 중심 기능을 하였던 누각의 모습 임재만

만일 백제가 멸망하지 않고 신라처럼 삼국을 통일을 했더라면 어떠했을까? 신라 경주보다도 더 찬란한 문화유적을 남겼을지 모른다. 고구려 신라 백제 삼국 중에서 백제문화가 가장 발달하지 않았는가? 지금 남아 있는 유물들을 통해 비교해 볼 때 학자들이 대체로 인정하는 바다.


공산성은 성곽을 따라 걷는 것 외에 딱히 시선을 끄는 것이 없다. 도읍지라야 건물이 다 파괴되어 없어지고 탑 하나 제대로 남아 있지 않다. 그나마 인조가 잠시 머물렀다는 쌍수정이라는 정자에서 전해오는 이야기가 남아있을 뿐이다.

인조가 이괄의 난을 피해 공산성으로 내려 왔을 때, 커다란 두 그루의 나무 아래에 머물러 있다가 진압소식을 들었다고 한다. 인조는 매우 기쁜 나머지 이 나무에 정3품인 통훈대부라는 벼슬을 내리고, 성의 이름도 쌍수성이라 하였다고 한다. 이후 영조 때 나무가 늙어 없어진 자리에 정자를 지었는데, 이 정자가 지금의 쌍수정이다.

공산성의 백제 때 이름은 웅진성으로 원래는 토성이었다. 조선 중기에 석성으로 다시 쌓은 것이라 한다. 길이는 2.2km 쯤 된다. 삼남의 관문이었던 진남루를 지나 동쪽 성곽으로 오르니 동성왕이 연회를 위해 지었다는 임류각이 반긴다.

이 역시도 원래의 건물이 아니고 새로 복원한 것이라 한다. 다시 성곽을 따라 군사적 기능의 중심 누각이었던 만하루 쪽으로 내려오며 금강을 바라보았다. 풍광이 참 시원하고 좋다. 발걸음이 저절로 멈춰지고 만다.

60년 도읍지의 모습이라도...

백제문화제 백제 문화제때만 공산성에서 몰수 있는 왕의 행차의 모형
백제문화제백제 문화제때만 공산성에서 몰수 있는 왕의 행차의 모형 임재만

그곳에 앉아 흐르는 강물을 한참을 바라보았다. 백제의 옛 도읍지 풍경은 다 어디로 가고, 금강만이 말없이 흐르고 있는 건가? 만일 금강조차 흐르지 않았다면 참으로 허망했을 것 같다.

백제 유적이 세계유산으로 등재 된 지금, 백제인의 예술혼을 다시 끄집어 내 공산성에 옛 모습을 살려내면 어떨까? 공산성이 매우 반길 것 같다. 백제가 고구려에 쫓겨 웅진으로 옮겨와 다시 부흥하기까지 공산성은 백제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였다.

더구나 두 명의 왕들이 신하들에 의해서 살해되는 혼란기를 끝내고, 백제의 중흥을 다시 이루었다는 점은 임시 도읍지로서 공산성의 역할이 매우 컸다고 생각된다. 당시 혼란 속에서 다시 나라를 일으켰던 백제 인들이 흘린 땀이 적지 않았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다시 백제의 문화를 부활시키는 의미에서 60년 도읍지의 모습을 온전히 볼 수 있으면 좋겠다.
#공산성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 여행을 다니며 만나고 느껴지는 숨결을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 가족여행을 즐겨 하며 앞으로 독자들과 공감하는 기사를 작성하여 기고할 생각입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2. 2 1만2000 조각 났던 국보, 113년만에 제모습 갖췄다 1만2000 조각 났던 국보, 113년만에 제모습 갖췄다
  3. 3 [단독] 김태열 "명태균이 대표 만든 이준석, 오라면 오고 가라면 가고" [단독] 김태열 "명태균이 대표 만든 이준석, 오라면 오고 가라면 가고"
  4. 4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5. 5 대학 안 가고 12년을 살았는데 이렇게 됐다 대학 안 가고 12년을 살았는데 이렇게 됐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