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재난 시대, 모두를 위한 환경교육을 제안하다

[현장] 2015개정교육과정의 '환경교육 위기' 국회 토론회

등록 2015.09.15 17:54수정 2015.09.15 17:54
0
원고료로 응원
a

15일, 국회 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열린 '환경교육 위기' 긴급 토론회 현장의 모습 ⓒ 신경준


15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환경교육 위기' 긴급 토론회가 열렸다. 환경부의 제2차 '환경교육종합계획'을 앞두고 정의당 김제남. 정진후 의원실과 한국환경교육네트워크의 공동주관으로 진행되었다. 학계, 시민사회 436개 단체와 5022명 국민의 '환경교육 위기 선언'을 경청하여 교육부는'2015개정교육과정'에서 생태와 환경 그리고 생명을 담는 교육을 진지하게 재고해주기를 간곡히 요청했다.

행사를 주관한 한국환경교육네트워크의 최병조 사무처장은 "2015개정교육과정에서 총론과 각론의 환경교육 축소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국제 사회의 방향과 역행하고 있다"며 1995년에 시작된 환경교육이 축소되면 결국 아이들이 기후변화 위험의 환경 재난에 직면할 수 있어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환경, 필수과목으로 제안한다"

토론에 나선 한국환경교사모임 소속의 남윤희 교사는 "전국 중고교 5569개교 중에서 환경과목을 선택한 학교는 521개교로 9.35% 밖에 되지 않고, 실제 전공한 교사마저도 76명밖에 되지 않아 2009년 이후 환경교사는 그야말로 멸종 위기의 상태에 놓였다"며 "그나마 환경교육이 분산 교육되었던 중고교의 사회, 한국지리, 과학, 지구과학, 기술·가정 과목의 내용에서도 이번 교육과정에서는 축소 또는 삭제가 되었다"고 말했다. 남 교사는 "따라서 환경을 선택과목이 아니라 필수과목으로 제안한다"고 했다.

환경운동연합의 장미정 교육위원장은 "환경 위기를 넘어 환경재난의 시대에 필요한 것은 국가 수준에서부터 시작되는 인간과 생명, 약자와 소외계층을 아우를 수 있는 모두를 위한 환경교육이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런 점에서 공존과 상생의 시대적 가치를 읽지 못한 이번 교육과정은, 우리 사회의 민낯을 그대로 보여준다"고 전했다.

김강석 한국환경교사모임 공동대표는 "우리는 계속해서 환경교사로 살고 싶다"며 "환경교사 한 명이 학교를 넘어 지역과 마을, 광역단체와 연계되는 현실을 생각해보면, 학교와 사회를 연결하는 허브로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제남 의원(정의당)은 환경교육을 배제한 위헌적 교육과정 개정에 심각한 우려를 나타내는 성명(8월 26일)을 발표하기도 했다. 또한 최열, 고건, 유홍준, 최재천, 권태선 외 사회 인사 총 37인의 성명서 발표(9월 1일), 학계, 시민단체의 환경교육 위기 공동선언(9월 4일)이 이어지는 등 환경교육 축소에 우려하는 사회의 목소리가 매우 높아지고 있다.


이날 포럼의 제안은 다섯가지로 '교육과정 총론에 인간과 환경을 배려하는 역량을 포함할 것, 범교과의 환경교육 유지, 환경과목의 선택권 보장, 유아와 초등과정에서도 환경교육 실시, 장기적으로 환경교육 필수'의 제안을 5022만 국민을 대신하여 5022인의 선언을 교육부에 정식으로 전달할 예정이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인터넷 <교육희망>(news.eduhope.net)에도 함께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환경 #환경교육 #교육과정 #2015개정교육과정 #국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미세먼지 없는 태양과 바람의 나라를 꿈꾸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제발 하지 마시라...1년 반 만에 1억을 날렸다
  2. 2 대통령 온다고 수억 쏟아붓고 다시 뜯어낸 바닥, 이게 관행?
  3. 3 시화호에 등장한 '이것', 자전거 라이더가 극찬을 보냈다
  4. 4 아파트 놀이터 삼킨 파도... 강원 바다에서 벌어지는 일
  5. 5 나의 60대에는 그 무엇보다 이걸 원한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