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 인정까지 1년, 그사이 사망하는 '석면피해자'

[석면피해 더 이상 없어야 한다 3] 석면피해구제법과 산재보험법, 더 많은 피해자 구제해야

등록 2015.11.13 18:02수정 2015.11.13 18:02
0
"석면의 위험성에 대하여 누구도 알려주지 않았어요."
"내가 살고 있는 곳에 석면공장이 있을 줄이야!"
"치료도 안 된다고 하는데,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막막해요."

2008년부터 지금까지 석면추방공동대책위 활동을 하면서 만났던 대부분의 석면피해자들은 위와 같이 호소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을 처음부터 알려주지 않은 회사와 국가에게 분노하며, 석면피해의 고통을 온전히 스스로 감내해야 하는 현실에 힘겨워하고 있다.

현재 한국의 석면피해보상제도는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직업성노출이다. 석면제품을 취급하는 등 직업적으로 노출된 노동자에게 석면질환이 발생했을 때다. 이 경우엔 산재보상보험법으로 치료와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다른 하나는 환경성노출이다. 석면제품을 만들거나 석면을 취급했던 사업장 인근에 거주해서 석면질환이 발생된 피해자를 말한다. 이들은 지난 2010년에 특별법으로 제정된 '석면피해구제법'에 따라 구제받을 수 있다.

석면 피해, 산재로 인정받기 어려운 이유

a

지난 8월 전국석면피해자대회의 모습 ⓒ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노동부와 환경부가 공식적으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1999년부터 2014년까지 직업성 노출로 인한 석면피해자는 241명(사망자 136명), 환경성 노출로 인한 석면피해자는 1739명(사망자 559명)이다. 하지만 노출 정도와 노출 상황 등을 고려해 보면 직업성 노출로 인한 피해자가 환경성 피해자보다 월등히 많아야 한다. 그런데 오히려 약 7배가 적은 수치이다.

왜 이럴까? 산재로 인정받기 위한 절차가 훨씬 까다롭기 때문이다. 석면폐증으로 산재를 신청할 경우에는 진폐법(탄광폐)의 적용을 받아 X-ray(단순 방사선 촬영)사진으로만 판독을 하기 때문에 초기 석면폐증은 산재로 인정받기가 어렵다.


그에 비해 석면피해구제법에서는 석면폐증의 경우 폐 CT(컴퓨터단층촬영) 필름을 보고 판단한다. X-ray에서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던 몸의 변화가 CT 필름에서는 보이기 때문에 초기 석면폐증도 피해를 인정받을 수 있다. 

산재 신청과 승인 과정도 훨씬 복잡하다. 악성중피종 환자의 90% 이상은 석면이 원인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 병으로 산재신청을 할 경우에도 신청부터 산재를 인정받기까지 일 년 넘게 소요되기 때문에 치료조차 제대로 받지 못하고 사망하는 피해자가 발생한다.


그리고 노동자 피해자들이 30~40년 전에 일했던 근거자료(동료의 증명, 회사사진, 사업주날인 등)가 없어서 직업성 노출을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이런 경우, 산재 대신 석면피해구제법으로 인정받는 것을 택한다. 산재보험의 보상급여가 환경성피해자의 구제급여보다 훨씬 높은데도, 산재보험으로 보상을 받아야할 많은 노동자 피해자들이 석면피해구제법을 적용받고 있다.

더불어 꼭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질환에 따른 차등지급의 문제다. 석면피해구제법에서 석면질환으로 인정되는 질환 중 석면폐증의 경우 1급에서 3급으로 구분되는데, 2급과 3급의 경우 요양생활수당을 2년 동안만 지급한다. 때문에 지속적인 치료와 요양이 필요한 석면피해자들임에도 2년이 지나고 나면 아무런 보호대책 없이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더욱 석면피해자들이 분노하고 있는 것은 석면피해구제기금이 부족하기는커녕 340억 가량이나 남아있음에도 피해자들의 요구를 외면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국의 석면피해자들이 지난 8월 뙤약볕을 받으며 서울 광화문에 모여 항의집회와 기자회견을 개최하였고, 지난 11월 9일에는 제2차 전국석면피해자대회를 더욱 확대하여 개최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 인정하는 석면질환의 확대가 필요하다. 현재 인정받는 석면질환은 악성중피종, 석면폐암, 석면폐증, 흉막비후이다. 하지만 국제암연구소는 난소암과 후두암이 석면에 의하여 발생하는 석면질환임을 경고하고 있으며, 다른 유럽 국가들도 난소암과 후두암을 석면질환으로 인정하고 있다.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박탈당한 석면피해자의 고통과 석면피해로 인하여 사랑하는 가족을 잃어야 하는 가족들의 고통을 외면하지 말고, 정부는 석면피해자들이 제기하는 문제점에 최대한 귀 기울이며, 석면피해구제법과 산재보험법이 피해자들의 고통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는 진정한 피해보상제도로 거듭나도록 노력하기 바란다.
덧붙이는 글 이숙견 기자는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상임활동가입니다. 또한 이 글은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에서 발행하는 기관지 <일터>에도 연재한 글입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쓴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합니다.
#석면 #석면피해보상제도 #석면피해구제법 #산재보험
댓글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는 모든 노동자의 건강하게 일할 권리와 안녕한 삶을 쟁취하기 위해 활동하는 단체입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단독] '김 여사 성형' 왜 삭제? 카자흐 언론사로부터 답이 왔다
  2. 2 [단독] 순방 성과라는 우즈벡 고속철, 이미 8개월 전 구매 결정
  3. 3 해외로 가는 제조업체들... 세계적 한국기업의 뼈아픈 지적
  4. 4 돈 때문에 대치동 학원 강사 된 그녀, 뜻밖의 선택
  5. 5 "모든 권력이 김건희로부터? 엉망진창 대한민국 바로잡을 것"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