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 김무성(왼쪽)·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오른쪽)가 22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여야지도부회동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 대통령과 달리 역대 대통령들은 재임 기간 중 여러 번 야당 대표만 따로 만나 현안을 논의해왔다.
구체적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은 이회창 당시 한나라당 총재와 총 8차례 영수회담을 했다. 논의한 현안도 굵직굵직했다. 두 사람은 이 영수회담에서 세풍사건·국회 529호실 사태·4.13 총선 뒤·남북정상회담·의약분업·국회법 강행처리·언론사 세무조사 등을 두고 의견을 나눴다.
대통령이 더 이상 집권여당의 총재가 아니게 된 노무현 정부 출범 이후에도 영수회담 성격의 만남은 이어졌다. 박 대통령도 2005년 9월 한나라당 대표로서 노 전 대통령과 만났다. 당시 박 대통령은 노 전 대통령의 '대연정' 제안에 정부 경제정책 성토로 응수했다. 어떤 합의점도 찾기 힘든 만남이었다. 그러나 노 전 대통령은 2007년 2월 당시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에게도 양자회담을 제안, '전시작전권 이양 문제' 등을 논의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도 총 세 차례나 야당 대표를 단독으로 만났다. 이 전 대통령은 2008년 5월 손학규 당시 통합민주당 대표를 만나 한미FTA 조기 비준 문제를 논의했고, 같은 해 9월엔 정세균 민주당 대표를 만나 미디어법 처리에 협조해 달라고 요청했다. 2011년 6월엔 손학규 당시 민주당 대표를 만나 ▲ 가계부채 ▲ 저축은행 사건 ▲ 일자리 창출 ▲ 대학등록금 ▲ 추경편성 문제 ▲ 한미FTA 등 6개 의제를 논의했다.
야당은 박 대통령 취임 후에도 양자회담을 거듭 요구해왔다. 그러나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013년 9월 김한길 민주당(현 새정치연합) 대표는 양자회담을 요구하면서 노숙투쟁을 이어갔지만 박 대통령은 이를 거부하고 같은 달 4일 러시아에서 열리는 G20정상회의 참석차 출국했다. 김 전 대표는 순방 이후인 9월 16일에 3자 회동 형식으로 박 대통령을 만날 수 있었다.
그로부터 10개월 이후인 2014년 7월 때도 3자 회담이었다. 박 대통령은 당시 여야 원내대표인 이완구, 박영선 의원을 청와대로 초청해 만났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와의 만남도 이른 시일 내 갖는 게 좋겠다"는 박영선 의원의 요청에 답하지 않았다.
회담 평가도 썩 좋진 않았다. 2014년 10월 29일 박 대통령은 국회에서 새해 예산안 시정연설을 마친 뒤 여야 지도부와 만나 1시간 가량 대화를 나눴다. 그러나 예산안 법정시한 내 처리 등 원론적인 합의만 있었을 뿐, 최대 현안이었던 공무원연금 개혁 부분에서는 이견만 드러냈다. 이 때문에 '서로의 생각만 말하고 요청하는 선에서 회동이 끝났다'는 평을 받았다.
올해 두 차례 있었던 박 대통령과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의 회동도 마찬가지였다. 역시 여당 지도부를 포함한 3자 회동으로 진행됐고 '내용'은 평행선을 달렸다. 박 대통령과 문 대표는 지난 3월 17일 청와대에서 열린 3자 회동에서 현 정부의 경제 정책을 두고 설전을 벌였다.
지난 10월 22일 여야 지도부를 초청해 열린 5자 회동에서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를 놓고 충돌했다. 당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그만 하라"라며 문 대표의 주장을 막기도 했다. 이는 여당 지도부를 포함한 다자회담이 과거 영수회담과 달리 소통하기 좋은 구성이 아님을 드러내는 대목이기도 하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
2007년 5월 입사. 사회부·현안이슈팀·기획취재팀·기동팀·정치부를 거쳤습니다. 지금은 서울시의 소식을 전합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