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영미 '쭈크러진 창'. 소외된 여인의 삶을 그렸다.
정성진
AYAF 2015 차세대 공연예술 창작자 부문 공연이 한창 중이다. 전통, 연극, 무용, 다원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젊은 작가들이 참신한 소재와 기발한 발상으로 기성 작품들과는 다른 예술의 가능성을 선보이고 있다.
1월 2-3주 사이 세 개의 무용작품이 공연됐다. 도황주 <Contact>(1.8-9, 문화역서울RTO)는 이틀 공연 전석매진의 인기를 끌었다. 하영미와 김나이의 작품 역시 의미 있는 주제로 관객들의 관심을 유도하며 안정되게 공연을 선보였다.
하영미의 무용 <쭈크러진 창>(1.9-11,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은 사무엘 베케트의 <NOT I>를 모티브로 해 소외된 여인의 삶을 그렸다. 최근 주요 쟁점인 위안부 문제를 연상시키기도 했다. 하영미와 연극배우 양조아의 반복적인 동작과 영상의 암시가 간결하게 조화를 이뤘으며 의자를 오브제로 활용해 장면별 다양성을 확보했다.
공연 전 할머니들의 노랫소리가 잔잔하게 들려온다. 위안부 할머니들의 목소리를 실제 녹음한 것인지 궁금하다. 공연이 시작되면 무대 가운데 의자에 하영미가 앉아있다. 제목의 <쭈그러진 창>을 보여주는 가운데 창문처럼 생긴 스크린에는 눈 모양, 열쇠 구멍, 어둑한 물결무늬 등이 나열된다.
열쇠구멍으로 들여다보는 어두운 과거의 흐름이 느껴진다. 퓨전국악그룹 '고래야'의 리더 옴브레의 음악은 기타반주와 허밍음으로 흘러간 과거를 가슴 아프게 들여다본다. 영상에 군인 모습이 보인다. 다리가 크게 보인다. 가까이 왔다. 양조아가 브래지어를 풀고, 스타킹을 벗는 마임을 계속 반복한다. 실제 스타킹과 브래지어가 없지만 아주 리얼한 연기다.
그 모습이 처절하다. 허벅지부터 스타킹을 돌돌 말아내려 발끝에서 스타킹의 맨 마지막 끝을 뽑아 벗어던지는 모습은 아주 실제적이고 '벗어던지고픈 과거' 같은 느낌이다. 손님을 맞이하고, 또 맞이한다. 스타킹과 손님, 뒷물의 반복이 하루에도 몇 번씩 끊임없다.
이때 하영미는 뒤에서 의자 네 개를 가로로 붙여 각 의자에 엉덩이를 붙였다 떼었다 세수하고 다시 앉아 엉덩이 떼고 붙이기를 하염없이 반복한다. 끝이 없는 억눌린 일상. 의자를 눕혀 첩첩이 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