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품을 쫒는 병아리들, 아이들
권순지
장난감을 하나둘 손에 쥐고 엄마 곁으로 모이는 아이들. 엄마의 부탁은 전혀 신경 쓰지 않겠다는 의지를 풀풀 풍기며 모여든다. 보통 때처럼 애써 놀아주지 않아도 그저 엄마 곁이라는 사실에 안도하며 각자 또는 같이 노는 아이들을 바라보며 생각했다.
이 작은 아이들에게 나란 사람은 '있어주기만 해도 좋은 사람'이구나. 내가 어떤 사람이든 내가 엄마이기 때문에 이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존재이구나. 아이들이 있기에 무너지는 생활패턴을 이겨내야겠구나. 어떤 방법으로든 나를 충전하며 살아야 아이들을 돌보겠구나.
아빠랑 한참을 잘 놀다가도 깜깜한 밤이 돼 잠이 들 때엔 꼭 두 녀석 모두 엄마 품으로 파고든다. 어두운 밤을 무사히 잘 견뎌내기 위해 아이들은 엄마 가슴, 손, 팔, 얼굴 그 모든 언저리에 붙어 엄마가 있음을 확인하고 또 확인하다 잠이 든다. 자기 전, 양쪽 팔에 각기 매달려 온몸을 부벼대는 아이들에게 "그렇게 엄마가 좋아?"라고 가끔 묻는다.
내가 누군가에게 이렇게 사랑을 받아본 적이 있던가 싶을 정도로 아이들의 사랑은 절대적이다. 절대적인 사랑을 뿜어대는 이들은 사랑을 느끼고 표현하는 데에 두려움도 없고 망설임도 없다. 그런 사랑을 느끼며 행복해지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것임이 분명하다. 행복에 도취돼 아이들에게 뽀뽀 세레를 퍼붓다 던진 질문에 아이들은 대답한다.
"엄마가 너무 좋아."내 기억 속 엄마의 부재우리 엄마가 가족들을 집에 두고 처음 여행을 떠났던 때의 기억이 이토록 생생한 건, 그 여행이 내게도 떨렸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토록 익숙한 집에 가장 편안한 존재인 엄마가 며칠 부재한다는 것은 낯선 떨림이었다.
엄마의 첫 여행 장소는 부산이었다. 정확한 시기는 기억나지 않지만 아마도 내가 초등학교 저학년 무렵이었던 것 같다. 아빠와 할머니가 계셨지만 엄마가 없는 집은 상상 그 이상으로 허전했었다. 그때는 휴대전화도 없었기에 엄마가 공중전화나 숙소전화로 집에 전화를 걸어줘야 여행 중인 엄마와 통화할 수 있었다. 엄마가 너무 보고 싶어서 "엄마, 언제 와?" 소리만 연신 해댔던 때의 나는 지금의 내 아이들과 같다.
학교 끝나고 집에 돌아왔을 때, 엄마가 계시지 않으면 온 집안을 돌아다니며 엄마를 부르며 찾다가 가까이 지내던 동네 아줌마 집에 전화까지 걸었던 내 모습이 그려진다. 온종일 같이 있다가도 내가 잠시라도 보이지 않으면 "엄마~ 어디 있어?"라고 외치며 발을 동동 구르며 날 찾아 뛰어다니는 아이들은, 기억하는 내 과거의 모습과 흡사하다.
엄마가 됐기 때문에 애타고 답답한 '밀당'이 존재하는 연애의 그 어떤 사랑과는 차원이 다른 절대적인 사랑을 받고 있는 중이다. 사랑의 유통기한을 걱정할 새 없이 들이대는 아이들의 사랑에 미안하고 고마운 감정이 교차한다. 턱없이 부족한 엄마라서 미안하고, 그럼에도 늘 찾아주니 고맙다. 아이들에겐 엄마만큼 좋은 게 없단다. 그렇다고들 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생애, 문화, 다양한 사회현상에 관해 공부하고 씁니다.
오마이뉴스 전국부 기자입니다. 조용한 걸 좋아해요.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