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지출의 수혜자별 귀착
2016년도 조세지출예산서, 기획재정부
(자료출처 : 2016년도 조세지출예산서, 기획재정부)
고환율 정책에 따른 부(富)의 이전 효과도 상당해대기업에 주는 혜택으로 눈에 잘 띄지 않지만 환율정책이 있습니다. 환율이 시장에서 결정되도록 놔둔다고 하면, 정책에 따른 지원효과가 없습니다. 하지만, 환율을 인위적으로 올리면 수출대기업은 이득을 보고, 소비를 하는 가계는 손해를 보게 됩니다. 소비하는 물품 중에서 수입공산품이나 수입농산물처럼 직접 수입한 것도 있고, 수입한 물품을 원재료로 사용한 것들이 많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명박 정부는 인위적인 고환율 정책을 사용했습니다. 2007년 연평균 환율이 929원 정도였으나, 2008, 2009, 2010년의 연평균 환율은 각각 1103원, 1276원, 1156원 이었습니다. 2008년 리먼 사태로 인한 환율 급등 효과가 있긴 하지만, 정부의 고환율 정책에 따른 효과도 상당부분 포함되어 있습니다. 환율정책으로 인한 부(富)의 이전 효과는 매우 큽니다. '고환율의 음모'라는 책에서는 이명박 정부의 고환율 정책에 따라 국민들이 손해 본 금액이 3년간 174조 원이라고 추정한 바 있습니다.
책에서 나온 추정은 좀 과장된 측면이 있습니다. 그러나 고환율 정책으로 환율이 100원 올라갈 때 부(富)의 이전효과를 간단하게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2015년 수출액은 5268억 달러, 수입액은 4365억 달러입니다. 이 중에는 수출용 수입(1596억 달러)이 있으니 우선 제거해 주어야 합니다. 내수용 수입 중에서도 원자재 수입과 자본재 수입은 효과가 복잡합니다.
그 원가인상 효과를 내수용 기업이 감당했을 수도 있고, 수출기업이나 소비자에게 전가했을 수도 있습니다. 최대한 보수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내수용 수입 중 원자재 수입과 자본재 수입 전체를 제거하려면 2150억 달러를 빼 주면 됩니다.
이렇게 수출용 수입과 내수용 수입 중 원자재와 자본재 수입을 제거한 금액에 환율 100원 인상에 따른 원화 금액 증가분을 계산해 보면, 각각 15.2조 원과 6.2조 원이 됩니다. 즉, 환율을 인위적으로 100원 끌어올린다고 하면, 수출대기업은 15.2조 원 정도 이득을 보고 일반 가계는 6.2조 원 정도를 손해 보는 셈입니다.
[표3] 환율에 따른 부(富)의 이전 효과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