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경 청년혁명 집행위원장과 최경은 청년다락 대표.
권우성
"박 대통령은 '극혐', 새누리당은 '핵노답'... 답답하면 우리가 바꿔야" - 혐오스러운 정치의 모습, 어떤 것들이 있을까. 최 : "기대가 안 돼서 '극혐'이라고 하는 것 같다. 내 주변에도 여당이 뭐고 야당이 뭔지 모르는 친구들도 많다. 그런데도 정치는 싫어한다. 정치는 제대로 알기 어렵고 만날 싸우기만 하고 나이 든 어른들이나 하는 분야로 생각한다. 소통 창구도 없고 거기서 희망을 얻을 수도 없다. 그렇게 멀어지다 보니 우리 삶이 더 안 좋아지는 것 같다."
김 : "테러방지법이 상식 밖이라고 생각하는 젊은 사람들이 많은데, 정치권은 그걸 밀어붙이는 걸 너무나 당연하게 생각한다. 거기서 오는 분노가 있다. 가장 '빡치는'(화나는) 건 '그들만의 세상'이 따로 있다는 데 있다. 김무성 대표는 사위가 마약 하고 그랬으면 부끄러운 척이라도 해야 하는데 너무 당당하다. 윤상현의 '막말'도 일반 개인이었으면 바로 매장당했을 텐데 반성의 기미도 없다. 이런 뻔뻔함이 혐오감을 불러일으킨다."
- 대부분의 청년은 정치를 '극혐'하는데, 반대로 '정치로 세상을 바꿔야겠다'고 생각하게 된 개인적 계기는 무엇인가.김 : "이명박 대통령은 대학생을 만나는 '시늉'이라도 했는데 박근혜 대통령은 단 한 번도 시도조차 안 한다. 국민의 얘기에 귀를 기울인 적이 있나. 최소한의 소통조차 되지 않는 모습에 분노한다. 박근혜 대통령은 '극혐'이고, 새누리당은 '핵노답'('극도로 답이 없다'는 뜻)이다. 그런데 그렇다고 가만히 있을 것인가. 답답하면 우리가 바꿔야 한다. 선거 때는 누구에게나 한 표의 권리가 있으니 영향력을 행사할 기회다. 우리가 사회의 주인이라고 자임할 수 있다. 그래서 나선 것이다."
최 : "어린이집 선생님이 꿈이다. 아이들을 돌보고 행복하게 하는 게 나의 로망이었다. 그런데 내가 아무리 어린이집에서 교육에 힘쓴다고 해도 이 아이들이 행복할 거 같지 않았다. 살벌한 경쟁에 내몰리게 되고, 지금은 사는 거 자체가 어렵지 않나. 아이들을 행복하게 하려면 사회가 바뀌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 청년혁명의 활동 중 20대 총선 후보자들을 직접 찾아가 질문하는 '정치인 리얼검증'이 인상적이다. 어떻게 기획하게 됐나. 김 : "총선 후보자들에 대해 청년들은 '어디서 정보를 구하냐'는 얘기를 많이 한다. 누구를 찍어야 할지 모르겠다는 것이다. 그래서 동네 정치인부터 제대로 검증하자고 해서 시작했다. 리얼검증은 청년 유권자 누구나 할 수 있다. 페이스북에 생방송 기능(live video)이 있는데, 이걸 통해서 직접 물어볼 수 있다.
공식 선거 운동에 들어가면 역 앞에서 후보들이 명함도 나눠주고 활동도 많이 하고 일정도 다 나올 텐데 그때 휴대전화 들고 가서 찍으면 된다. 일단 서울 지역 후보부터 모으면 너무 재미있을 것 같다. 선거 참여에도 도움되지 않을까. 1인 미디어가 돼서 언론사가 못하는 걸 우리가 하자, 정치인의 쌩얼을 보여드린다, 이런 콘셉트다."
최 : "국민들은 20대 총선에 나선 이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알 권리가 있다. 언론 보도를 봐도 리얼하지 않은 느낌이 든다. 그래서 우리가 직접 검증해보자는 것이다. 일단은, 19대 의원이었는데 20대 총선에 또 출마하려는 사람을 대상으로 진행하려고 한다. 서울 지역에서 만날 수 있는 후보자들을 최대한 많이 만나보려고 한다."
- 오신환, 김을동, 나경원 후보들을 만났던데. 소감이 어떤가. 최 : "정말 예고 없이 찾아갔다. 일종의 몰카랄까. 나경원 후보(동작 을, 새누리당)를 만났는데 어디 있는 줄도 몰랐다가 빨간 옷 입은 아저씨들이 모여 있길래 '저기로 오겠구나' 싶어서 기다렸다. 잔뜩 긴장하고 있었는데 진짜 오더라. '최저임금 1만 원'에 관해 물었는데 '적극 검토하겠다'고만 답하더라. 무려 3선 의원인데 그동안은 이런 문제에 대해 검토조차 안 한 건가. 뻔한 말이었다. 초선 의원이 하는 말 같았다.
오신환 후보(관악을, 새누리당)도 찾아갔는데 아예 인터뷰를 거절했다. '소속을 밝히라'고 '어느 대학에서 왔느냐'며 강압적인 분위기였다. 카메라를 내리라는 데도 내가 계속 찍으니 자기 휴대전화를 들어서 날 찍더라. 국회의원 후보는 우리를 대변하고 법을 만들어서 국민의 삶을 바꾸려고 나온 사람들 아닌가.
일부러 공격적인 질문은 안 했다. '최저임금 1만 원, 반값 등록금'에 대해 평소 생각이 궁금해서 물어본 건데 우리가 뭘 잘못한 거처럼 대해서 불편했다. 쫓겨나는 느낌이었다. 오신환 후보는 새누리당 중앙청년위원회 위원장도 한 사람이다. 그런 사람의 민낯을 본 느낌이다. 결국 '청년 팔이'한 거 아닌가. 오 후보는 내가 사는 지역구 의원이기도 하다. 오 후보를 만나고는 '이거 하길 참 잘했다' 싶었다. 빨리 많은 사람에게 알려주고 싶었고, 우리가 하지 않았다면 몰랐을 모습들 아닌가. 진짜 재미있었다."
- 여당 후보들만 만난 셈인데, 야당이 청년을 대하는 방식은 어떻다고 보나. 김 : "기존 정치판에는 기대할 게 없다. 판 자체를 뒤집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차선으로 더불어민주당(아래 더민주)을 뽑고 계속 그 안에서 맴돌다가 끝날 것 같다. 더민주에서 김빈 디자이너를 영입해놓고 청년 비례대표에서 탈락시키지 않았나. 정치권이 청년을 어떻게 '개무시'하는지 보여준다. 더 나아가서 김빈씨가 청년을 대표하는지도 의문이다.
반값 등록금, 국정교과서 반대 국면에서 청년을 대변해서 싸운 사람인가? 단지 자수성가해서 성공한 사람이라면 결과적으로 엘리트 정치를 하자는 것이다. 청년들은 성공 스토리가 아니라 내 마음 같은 사람, 공감해줄 사람을 원한다. 내 문제에 공감해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 않겠나. 결국 더민주도 표 때문에 '청년 팔이' 하는 걸로 밖에 안 보인다."
- '청년 팔이' 대상에 그치지 않고 정치의 주체가 되려면 결국 투표로 힘을 보여줘야 할 텐데, 투표 독려를 위한 한마디를 마지막으로 남겨 달라. '당신의 한 표는 무엇이다?'최 : "'자존심'이다. 청년들은 기성세대에 억눌려있다. 정치권은 청년들을 미래 세대로서 중요하고 다루고 집중해야 하지만 은근히 무시하고 예의 없다고 깔아뭉갠다. 이번에 투표로서 청년들의 자존심을 보여주고 높은 정치인들의 콧대를 눌러줘야 하지 않겠나. 괜히 혁명을 얘기하는 게 아니다. 20대가 나서면 정치가 바뀐다."
김 : "'사이다'다. '사이다' 같은 투표로 청년들의 답답함을 해결해 줄 수 있다. 정치를 바꾸고 싶다면 투표하시라."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21
공유하기
후보 '급습'한 청년들, 나경원 의원 반응은?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