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차별' 설현 광고, 선관위의 헛발질이 아쉽다

[총선 게릴라칼럼] 차라리 '사전투표'를 더 홍보하세요

등록 2016.03.29 16:55수정 2016.03.29 16:55
12
원고료로 응원
'총선 게릴라칼럼'은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들이 쓰는 2016 총선 칼럼입니다. [편집자말]

선관위 홍보대사로 위촉된 설현. ⓒ 선관위


지난 3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아래 선관위)는 걸그룹 AOA의 멤버 설현을 '아름다운 선거 홍보대사' 위촉했다. 4.13 총선에서 2030 청년층의 투표율을 높이기 위한 선관위의 포석으로 풀이할 수 있다. 지난달 4일, '아름다운 선거 온라인 홍보대사'로 걸그룹 에이핑크를 위촉한 것 역시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설현이 등장한 선관위의 투표 독려 광고가 일각에서 뭇매를 맞고 있다. 지난 28일 한국여성단체연합이 "홍보를 통해 투표 참여를 독려하는 점은 긍정적이다. 그러나 CF의 내용은 매우 문제적이다"라며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이다. 광고 내용이 성차별적 묘사와 함께 청년층에 대한 왜곡된 편견을 재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설현의 아름다운 고백 - 화장품 편'에서는 화장품을 고를 때의 조건을 언급하며 "언니, 에센스는 이렇게 꼼꼼하게 고르면서"라며 유권자에게 투표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또한 '엄마의 생신 편'에서는 '엄마의 생신'을 투표의 비유적 표현으로 사용하여, 바쁘다는 이유로 '엄마의 생신(투표의 비유적 표현)'에 참석하지 않으려는 '여동생'을 나무라는 '오빠'의 모습이 그려진다.

이는 여성이 정치·사회 문제만큼 중요시하는 것이 화장품, 즉 외모라는 성별 고정관념에 기반하고 있어 성차별적이다. 또한 여성을 본인의 바쁨을 핑계로 투표에 참여하지 않으려는 소위 '이기적'이며 '개념 없는' 유권자, 시민의식 없는 시민으로 묘사함으로써 여성의 정치, 사회적 인식을 비하하고 왜곡할 수 있어 문제적이다."

한국여성단체연합은 "성차별적인 홍보 영상 배포를 즉각 중단하고 유권자에게 공식 사과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런데, 과연 선관위의 '설현 광고'는 그렇게 문제적인 내용을 담고 있을까. 영상을 직접 확인해 보자.



여성단체연합이 선관위에 뿔 난 까닭

설현의 선관위 광고 중 한 장면.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대화면, 카메라, 메모리, 디자인. 오빠, 스마트폰 하나도 이렇게 퍼펙트하게 고르면서."


설현이 거울 앞에 서서 '스마트폰'을 비춰보는 '스마트폰 편'. 모델인 설현의 등장과 더불어 화면 구성이나 분위기 모두 여타 스마트폰 광고와 다를 바 없어 보인다. 거기에 "아름다운 선거, 기대할게요"란 마무리 멘트만이 추가됐다. 

메시지는 잘 알겠다. 의아한 것은 전략이다. '네거티브 기법'에 가까워 보일 만큼 광고의 대상인 유권자, 특히 '오빠'로 대변하고 있는 (화장품 편에서는 '언니!'인) 청년층을 요즘 말로 '디스'하고 있는지 말이다. 선관위가 왜 "너희는 스마트폰에 빠져 있으면서 투표는 하지 않느냐"는 질책을 통해 '투표 독려'에 나섰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 대목이다. 한국여성단체연합은 이에 대해 이렇게 꼬집었다.


"뿐만 아니라 CF 시리즈 전반에는 청년 유권자에 대한 편견이 깔려있다. '화장품과 스마트폰은 열심히 고르면서, 바쁘다는 핑계로 투표에는 참여하지 않는 청년(언니, 오빠)'을 꾸짖으며 투표 독려를 하고 있다. 그러나 취업난과 주거난으로 청년세대가 고통받는 상황에서 이는 현실과 매우 동떨어진 내용으로 편견을 재생산하는 것뿐이다."

앞서 언급한대로, '손발이 오그라드는' 설현과 단역 연기자들의 연기를 감내해야 하는 '엄마의 생신' 편 역시 여성과 청년층에 대한 편견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막내딸로 상정된 설현을 '생일 자리에 참석하지 않고 전화나 한다'는 식으로 나무라는 형부. 상대적으로 나이가 많아 보이는 그 남성이야말로 선관위의 '꼰대적인' 시선을 대변한다.

투표를 어머니 생신 자리에 비유한 이 광고는 결국 케이크를 들고 집안으로 들어서는 설현의 등장으로 훈훈하게 마무리되지만, 초반부 청년층에게 보내는 강력한 혐오의 시선을 쉽게 지울 수는 없어 보인다.

그래서일까. 청년층의 투표를 독려한다고 하면서, 실은 '20대 개O끼론'과 같은 편견과 무지를 광고 전반에 충실히 녹여낸 선관위의 광고는 '투표 독려'가 아니라 '투표 심리 저하'를 의도한 것처럼 보일 지경이다. 도대체 청년들은 무슨 죄가 있어서 선관위로부터 욕을 먹으면서까지 투표를 강요당해야 하는가.

선관위의 이러한 헛발질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여성에 대한 차별적 시선을 청년층으로까지 확대한 것뿐이다. 한국여성단체연합은 지난 2014년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 선관위가 내놓은 홍보 웹툰 '美리미리사전투표'의 예를 상기시켰다.

"선관위는 이미 한 차례 이와 비슷한 사례로 인해 본 단체를 비롯한 다수의 유권자로부터 거센 비판을 받은 바 있다. 2014년 전국동시지방선거 홍보 웹툰 '美리미리사전투표'에서 미인대회 출전을 위해 선거 전날 쌍꺼풀 수술을 하게 되면서 투표를 망설이고, 사전투표 방식이 간단해졌음에도 투표를 '귀찮아' 하는 모습을 그려 놓았다.

당시 선관위는 논란이 되자 웹툰을 삭제하였으나, "의도하지 않았다"며 여성유권자에게 공식 사과하지 않았다. 2014년에 이어 또다시 이런 시각으로 여성 유권자를 다루는 선관위는 정말로 미인대회 출전, 성형수술, 화장품 고르는 것으로 여성 유권자의 투표 참여를 독려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인가? 고민 없이 제작한 홍보물에 녹아든 여성을 바라보는 저급한 시선에 실소를 금할 수 없다."

차라리 '사전투표' 홍보를 열심히 하는 게 어떨까

선관위의 사전투표 제도 홍보 자료. ⓒ 선관위


선관위는 지금도 청년층 투표 독려에 열심이다. 설현과 에이핑크를 통한 영상·온라인 광고 외에도 젊은 층에 인기가 높은 웹툰 작가의 웹툰을 선관위 공식 블로그에 게재하는 등 꾸준하게 젊은 층을 타깃으로 한 홍보에 나서고 있다.

투표 독려? 물론 좋다. 하지만, 특정 유권자층을 '정치 혐오'나 '정치 무관심을 넘어 무지한' 대상으로 상정하는 것은 그 자체로 정치 혐오를 강화하고 투표율을 떨어뜨리는 '셀프 디스'와도 같다. 그럴 시간이 있다면,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국민들로부터 '중립성'에 대한 지탄을 받는 선관위 본연의 임무에나 충실할 일이다.

그런 점에서, 청년층의 투표 독려는 여야 정치권에 맡겨 두시라. 그리고, 지난해 지방선거부터 새롭게 도입됐다는 '사전투표' 제도 홍보에나 더 열을 올리시라. 오는 4월 8일(금)과 9일(토), 신분증만 지참하면 동네 투표소에서 손쉽게 투표를 할 수 있는 혁신적인 제도 말이다.

아직도 '사전 투표' 제도에 대해 단 한 번도 듣도 보도 못한 유권자가 차고 넘친다. 복잡한 절차 없이 신분증을 통한 신분 확인만 거치면 선거일 당일과 똑같이 투표할 수 있는 제도를 광범위하고 열성적으로 알리지 않는다면 선관위의 심각한 직무유기나 마찬가지다. '꼰대'적인 시선이나 자랑하고 차별적인 시선으로 원성을 살 시간에, 부디 돈과 인력을 제 할 일에 쏟아붓는 선관위로 거듭나시길.
#선관위
댓글1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기고 및 작업 의뢰는 woodyh@hanmail.net, 전 무비스트, FLIM2.0, Korean Cinema Today, 오마이뉴스 취재기자, 현 영화 칼럼니스트, 시나리오 작가, '서울 4.3 영화제' 총괄기획.


AD

AD

AD

인기기사

  1. 1 딸이 바꿔 놓은 우리 가족의 운명... 이보다 좋을 수 없다
  2. 2 '100개 눈 은둔자' 표범장지뱀, 사는 곳에서 쫓겨난다
  3. 3 '헌법 84조' 띄운 한동훈, 오판했다
  4. 4 카자흐스탄 언론 "김 여사 동안 외모 비결은 성형"
  5. 5 최재영 목사 "난 외국인 맞다, 하지만 권익위 답변은 궤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