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에서도 '옥시제품 불매운동' 시작

대형매장 앞에서 릴레이 1인 시위 돌입... "가해기업 증거은폐 및 조작, 엄중 처벌해야"

등록 2016.05.09 17:36수정 2016.05.09 17:36
0
원고료로 응원
a

세종과 충남, 충북 등 22개 단체로 구성된 '세종생태도시시민협의회' 9일부터 '살인기업 옥시제품 불매운동'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김지훈 세종생태도시시민협의회 사무처장이 홈플러스 앞에서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는 장면. ⓒ 세종생태도시시민협의회


가습기 살균제 사망 사건과 관련, 옥시레킷벤키저(이하 옥시) 제품 불매운동이 충청권에서도 시작됐다.

세종참여자치시민연대, 세종교육희망네트워크, 대전충남시민환경연구소, 충남환경운동연합, 세종YMCA 등 세종과 충청지역 22개 단체로 구성된 '세종생태도시시민협의회'는 9일부터 '살인기업 옥시제품 불매운동'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날을 시작으로 대형매장 앞에서 릴레이 1인 시위를 통해 검찰의 엄정하고 신속한 수사를 촉구하면서, 세종시민들에게 옥시 제품을 사지 말아 달라고 호소한다는 계획이다.

첫 날인 이날은 김지훈 세종생태도시시민협의회 사무처장이 세종신도시 대형매장 1호인 홈플러스 앞에서 1인 시위에 나섰다. 그는 'Oxy Out(옥시 아웃)!'이라고 쓰인 피켓에 '이지오프뱅', '데톨', '쉐리' 등 옥시에서 생산한 제품들의 상표를 표기하여 시민들에게 '불매운동 동참'을 호소했다.

이와 함께 '세종생태도시시민협의회'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가습기 살균제 사망 사건은 정부의 무능과 기업의 무책임, 국회의 무관심이 빚어낸 '안방의 세월호' 사건으로 부끄럽고 참혹한 대한민국의 자화상"이라고 진단하고 "사건 발생 5년 만에 140여 명(정부 공식 인정)이 사망하고 나서야 검찰이 수사에 나선 것은 해당 기업의 불법행위를 지금까지 방조했다는 것으로 검찰의 직무유기는 비판받아 마땅하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가습기 살균제 시장의 80%를 점하고 있는 옥시가 검찰의 수사가 시작되자 마지못해 기자회견에 임하면서 진정성 없는 면피성 사과로 일관한 것은 악덕 기업의 실체를 자인한 것에 다름 아니"라면서 검찰의 신속하고 엄정한 수사를 촉구했다.

특히 이들은 검찰이 가해기업의 증거 은폐 및 조작 등 불법행위에 대해 엄중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국회를 향해서도 이번 사건의 진상규명을 위한 청문회 개최 및 국정조사 실시를 촉구하고,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구제를 위한 특별법을 통과시키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아울러 국회가 기업의 고의적이고 악의적인 불법행위를 예방하고 사후에 피해자 구제를 위한 집단소송법과 징벌적 손해배상제를 제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이러한 옥시 불매운동 릴레이 1인 시위를  대형매장 앞 등에서 지속적으로 펼치고, 각 단체 임원과 회원을 대상으로 SNS 등을 활용한 온라인 불매운동을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지훈 세종생태도시시민협의회 사무처장은 "불법적이고 반인륜적이며 비도덕적인 기업에 대해서는 풀뿌리 생활운동의 일환으로 지속적인 불매운동을 펼쳐나갈 것"이라며 "옥시 불매운동에 세종시 정치권과 시민들이 적극 동참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 같은 옥시 불매운동은 충청권 전체로 점차 확산될 전망이다. 대전환경운동연합과 대전지역 단체들은 10일 오전 대전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살인기업 옥시제품 불매운동 시작'을 알리는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며, 충남과 충북에서도 단체들이 연대하여 '옥시제품 불매운동'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옥시불매운동 #세종시 #옥시 #가습기살균제 #세종참여자치시민연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향나무는 자기를 찍는 도끼에게 향을 묻혀 준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100개의 눈을 가진 모래 속 은둔자', 낙동강서 대거 출몰
  2. 2 국가 수도 옮기고 1300명 이주... 이게 지금의 현실입니다
  3. 3 '삼성-엔비디아 보도'에 속지 마세요... 외신은 다릅니다
  4. 4 딸이 바꿔 놓은 우리 가족의 운명... 이보다 좋을 수 없다
  5. 5 전화, 지시, 위증, 그리고 진급... 해병 죽음에 엘리트 장군이 한 일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