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아이들이 주야장천 놀 수 있는 이유

우리 사회 문제의 해결책을 찾기 위한 기초체력, 책 <시민의 교양>

등록 2016.11.02 15:24수정 2016.11.03 11:40
0
원고료로 응원
a

덴마크에선 대학 진학 전, 시민대학을 통해 한 번 더 진로탐색의 시간을 가질 수 있다. ⓒ Pixabay


'공립기초학교(초중등학교)에서 시험은 졸업시험 1회뿐이다. 이마저 학생을 탈락시키거나 순위를 공개하는 일은 없으며 교육을 잘 받았는지 확인하는 차원에 그친다. 그래서 덴마크 아이들은 진짜 주야장천 논다.'

학생 행복도 조사에서 매번 상위권(2013년 1위, OECD 조사)을 차지하는 덴마크의 교육환경입니다. 우리 기준으로 볼 땐 이미 충분히 노는 것 같은데 덴마크 학생은 고등학교를 가기 전 1년을 더 '놉니다'.


40% 정도의 학생이 애프터스쿨을 통해 진로 탐색의 시간을 가지는 거죠. 음악·미술·체육은 물론, 건축·목공·연극·축구까지. 250여 개의 특성화학교 중 원하는 곳을 골라 1년간 하고 싶은 걸 합니다. 필요한 비용 대부분은 국가가 부담합니다.

이런 교육시스템이 가능한 이유는 뭘까요? 한국의 모습은 덴마크와 왜 그렇게 다를까요? 덴마크 부모는 너그러운 데 비해 한국 부모는 괴팍해서일까요? 덴마크 정부는 창의성 키워주는 방법을 아는 데 비해 한국 정부는 아직도 옛날식 사고에 젖어서일까요?

학업능력과 행복을 '교환'할 수 있는 이유

a

<시민의 교양>은 지대넓얕(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으로 유명한 채사장의 3번째 책이다. ⓒ 웨일북

<시민의 교양> 저자 채사장은 그 이유를 경제구조에서 찾습니다. "교육 문제의 본질은 경제체제"라고 단언합니다. 일자리의 양과 소득격차 수준이 다르기에 두 나라의 교육은 이렇게 달라질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덴마크는 기본적으로 일자리가 보장됩니다. 한국처럼 치열하게 경쟁할 필요가 없죠. 소득격차도 적습니다. 계층뿐 아니라 직업 사이에도 격차가 크지 않습니다. 돈을 더 많이 준다고 변호사나 의사를 선택할 필요가 없습니다. 어떤 직업을 선택해도 기본적인 삶이 보장됩니다.


학생과 부모 모두 교육에 목맬 일이 없으니 정부도 성과 중심의 교육을 할 이유가 없습니다. 학업 성취도와 학생 행복도를 교환하는 게 가능한 겁니다. 실제 덴마크는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는 PISA(OECD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에서 언제나 하위권에 머뭅니다. 한국의 학생 행복도는 꼴찌(2013년, 64개국 중 64위)지만 PISA에서 1, 2위를 다투는 것과 대비됩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한 기초체력, '시민의 교양'

이렇듯 교육과 경제의 상관관계를 이해한 후엔 교육정책을 보는 시각도 달라집니다. 한국 경제구조에 비춰 어떤 교육정책이 맞을지 판단할 수 있게 됩니다. 정부나 정치인의 단편적인 교육정책을 비판할 수 있게 됩니다. '시민의 교양'을 갖추게 되는 겁니다.

이때 어렴풋이 아는 것으론 부족합니다. 교육과 경제, 둘 사이를 분명하게 연결지어 생각할 수 있어야 합니다. <시민의 교양>은 이를 도와줍니다. 세상을 조금 단순화하되 큰 그림을 볼 수 있도록 해줍니다. 책을 읽고 나면 교육-경제뿐 아니라 경제-인구, 직업-노동, 세금-정치 등 여러 관계가 손에 잡히도록 다가옵니다.

'시민의 교양'은 우리에게 맞는 해결책을 찾기 위한 기초체력입니다. 덴마크가 지금처럼 선망의 대상이 될 수 있었던 것도, 시민의 교양을 바탕으로 자신에게 맞는 해결책을 찾았기 때문입니다. 유연안정성 개념이 그 예입니다.

덴마크에선 기업이 노동자를 쉽게 해고할 수 있어 채용에도 적극적입니다. 그러나 노동자는 해고돼도 불안해하지 않습니다. 해고된 뒤 최장 4년 동안 이전 월급의 90%를 실업수당으로 받는 덕입니다. 유연안정성 덕분에 일자리 창출이 쉬워졌고 이는 더 여유로운 교육시스템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물론 유연안정성 모델은 하나의 예일 뿐입니다. 높은 세율과 포괄적인 복지가 자리 잡아야 가능한 제도이기에 한국에 바로 적용하긴 어렵습니다. 우리에게 더 맞는 해결책을 찾아야 합니다.

문제가 겹겹이 쌓여있어 도저히 풀 수 없을 것 같은 요즘입니다. 큰 그림으로 바라볼 수 있는 능력, 시민의 교양이 필요한 때입니다.

ps. 시사와 정치에 대한 이해가 어느 정도 있다면 '직업, 교육, 미래' 파트만 읽으셔도 좋습니다.

시민의 교양 (반양장, 초판표지)

채사장 지음,
웨일북, 2015


#시민의교양 #채사장 #덴마크 #교육 #경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파묘' 최민식 말이 현실로... 백두대간이 위험하다
  2. 2 도시락 가게 사장인데요, 스스로 이건 칭찬합니다
  3. 3 '내'가 먹는 음식이 '우리'를 죽이는 기막힌 현실
  4. 4 이사 3년 만에 발견한 이 나무... 이게 웬 떡입니까
  5. 5 제주가 다 비싼 건 아니에요... 가심비 동네 맛집 8곳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