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도 3시간 비웠고 박근혜도 7시간 비웠다'는 <조선>

민언련 오늘 신문보도(1/10)

등록 2017.01.10 18:48수정 2017.01.10 18:48
2
1. 오늘의 유감 보도 ① '김대중 3시간'과 '박근혜 7시간' 같다는 <조선>

a

△ 김대중 전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모두 업무 공백을 일으켰다 주장한 이영작 교수의 조선일보 칼럼(1/10) ⓒ 조선일보


이영작 서경대 석좌교수는 <조선일보> <여론&정치/대한민국에 가장 중요한 개혁>(1/10 https://goo.gl/1egzLJ) 칼럼을 통해 '김대중 전 대통령의 3시간'과 '박근혜 대통령의 7시간' 행적을 나란히 놓고 비판했습니다.

이영작씨는 먼저 "국가에 국가원수의 공백은 한순간도 용납되지 않는"데 "해군 6명이 전사한 2002년 6월 29일 제2 연평해전 다음 날 김대중 대통령은 전쟁을 뒤에 두고 일왕과 한·일 월드컵 결승전을 관람하러 일본으로 향하면서 3일간 나라를 비웠"다고 했습니다. 이어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일 박근혜 대통령의 7시간 행적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고 말합니다. 이 교수는 두 사안을 이렇게 서술한 뒤, "경중 차이는 분명"하지만 "박 대통령의 7시간만이 유일하게 탄핵 사유"가 된 상황에서 "헌법재판소의 양심은 괴로울 것"이라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이는 사실관계부터 완전히 틀린 것입니다. 당시 김대중 전 대통령은 2002 한일 월드컵 한국-터키의 3·4위전 경기를 관람할 예정이었으나, 사고 소식을 듣고 일정을 취소한 뒤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소집을 지시하는 등 신속한 대응에 나섰습니다. 설령 경기를 관람했다고 해도 당장 배가 침몰하고 있는 상황에서 '흐트러진 머리를 연출'했다는 의혹 외에, 뭘 했는지 알 길도 없는 박 대통령의 사례와는 비교 불가능한 것이죠. 

이런 거짓말에 억지까지 부려 가며 이 교수가 주장한 것은 "외치와 내치가 분리된 분권형 정부"를 위한 개헌입니다. "2010년 개헌해 박 대통령이 이원집정제 대통령이 됐더라면 오늘의 불행한 사태도 없었을 것이고 외치는 안정됐을 것이고, 아마도 내각은 한두 번 바뀌면서 국민 눈높이를 맞췄을 것"이라는 것이죠. 그러나 이번 사태의 근본 원인을 대통령의 문제가 아니라 '대통령제'에서 찾는 것은 박 대통령 개인의 심각한 범죄를 제도상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일반화함으로써 문제의 본질을 흐리고 책임의 소재를 물타기 하려는 주장일 뿐입니다.

2. 오늘의 유감 보도 ② '친노=친박, 노무현=박근혜, 박연차=최순실'이라는 <조선>

<조선일보> 최재혁 논설위원이 <태평로/증오, 복수, 맹종만으로 치르는 대선>(1/10 https://goo.gl/9Nul1L)을 통해 느닷없이 박연차 게이트를 추억하고 나섰습니다. 이 사건으로 "노무현 정부에 대한 '무능하지만 깨끗했다'는 평가는 '무능하고 부패하기까지 했다'로 바뀌었"다는 것이죠. 왜 이런 이야기를 꺼냈을까요? 바로 "지금 상황 전개도 그때와 유사하다"는 말을 하고 싶어서입니다.


최 위원은 "박 대통령이 받는 의혹과 혐의가 더 광범위하고 심각"하다면서도 "두 사건에는 정서적 공통점이 하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바로 "밑바탕에 증오가 쌓이고 있다"는 것인데요. "패거리 의식에서 비롯된 증오는 특정인에 대한 맹목적 지지로 이어지는 속성이 있다"며 "노사모와 박사모가 그랬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최 위원은 "더구나 노 전 대통령은 스스로 목숨을 끊기까지 했다"며 그 원인을 "끝까지 막다른 길로 몰아붙여야 직성이 풀리는 우리 사회의 풍토가 낳은 비극"이라 '남의 일 인양' 풀이하기도 했습니다.

여기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최 위원은 노 전 대통령의 죽음을 접하고 "반드시 복수할 것"이라 했던 "그 친노가 2010년 6월 지방선거를 통해서 부활"했다며 "박 대통령과 친박도 혹시 그런 재기를 꿈꾸는"지를 재차 묻기도 했습니다. 대선 정국을 앞두고 "지금 분위기로는 기세등등한 친문 세력과 울분에 찬 친박이 충돌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도 내놨습니다. 칼럼은 "우려스러운 것은 박 대통령이나 문 전 대표나 그걸 개의치 않는다는 게 언행으로 나타나고 있"어 "우리가 이번 대선을 큰 후유증 없이 치를 수 있을지 솔직히 의문"이라는 주장으로 마무리됩니다.

최순실 게이트와 박연차 게이트를 엮고, 박근혜 대통령과 노무현 전 대통령을 엮고, 친박과 친노를 엮는 이런 주장은 사실 그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조중동에 반복적으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정서적 공통점'이라는 말장난으로, 물적 증거 하나 없이, 사실상 정치보복 성격의 강압적 수사를 받았던 노 전 대통령의 사례와 이번 '국정농단' 사례를 무리하게 하나로 묶을 수 있을까요? 이는 '친노'의 계승자로 알려진 문재인 전 대표를 흠집 내고, 박 대통령의 범죄사실을 '물타기'하려는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닌 주장입니다. 앞으로도 수 없이 반복 되겠죠.

3. 오늘의 비교, 12·28 한·일 '위안부' 합의 재협상 주장

일본이 부산 일본영사관 앞 소녀상 설치에 반발해 스와프 협상 중단을 선언한 이후, 12·28 한·일 '위안부' 합의를 사실상 원점으로 돌리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한겨레>는 이번 사태는 '우리 정부의 외교 실패 결과'라며 한국 정부를 비판한 반면,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합의 무효화나 재협상을 주장하는 대선 주자들을 비판했습니다. <중앙일보>는 기존 '위안부' 합의가 '피해자 치유를 위한 것'이었다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아래는 각 매체의 입장을 대표 코멘트로 정리한 것입니다.

<경향신문> : "한국 정부 묵묵부답. 반기문 제외 대선주자들 재협상하자는 입장"
<동아일보> : "황교안 대행은 외교 리더십 발휘하라. 주요 대선 주자들은 재협상 언급해 국격 떨어트리지 마라"
<조선일보> : "대선주자들 합의 무효, 재협상, 재검토 주장하는 것은 대중 여론 의식한 발언"
<중앙일보> : "내수용 정치에 한일 외교 흔들리고 있다. 위안부 합의는 피해자 치유 위한 것이었다"
<한겨레> : "우리 정부의 완전한 외교 실패 결과"
<한국일보> : "내부부터 중심을 잡아야 한다. 당파적 이해에 국익 희생시켜선 안 된다"


* 모니터 기간과 대상 : 2017년 1월 10일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신문 지면에 한함)
덧붙이는 글 민언련 활동가 배나은입니다.
#민언련 #김대중 #이영작 #조선일보 #위안부 합의
댓글2

민주사회의 주권자인 시민들이 언론의 진정한 주인이라는 인식 아래 회원상호 간의 단결 및 상호협력을 통해 언론민주화와 민족의 공동체적 삶의 가치구현에 앞장서 사회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입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제발 하지 마시라...1년 반 만에 1억을 날렸다
  2. 2 아파트 놀이터 삼킨 파도... 강원 바다에서 벌어지는 일
  3. 3 나의 60대에는 그 무엇보다 이걸 원한다
  4. 4 시화호에 등장한 '이것', 자전거 라이더가 극찬을 보냈다
  5. 5 이성계가 심었다는 나무, 어머어마하구나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