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노’를 비속어 ‘빽바지’로 규정하면서 ‘문재인 캠프 인사’를 ‘머리의 항문’이라 비난한 TV조선(3/14)
민주언론시민연합
민언련은 2016년 6월부터 늘어난 회원의 힘으로 종편의 모든 방송을 녹화하고, 모든 시사토크쇼를 모니터했습니다. 문제가 되는 방송은 즉각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민원을 넣었고, 동영상과 보고서를 만들어 종편의 문제를 더 빨리, 더 많이 알리려 노력했습니다.
지난 2월에는 주말 촛불집회에 나가서 매주 방통위에 국민 의견을 보내기 위한 캠페인을 벌였고, 그 결과 1만4500여 명의 의견을 모아 전달했습니다. 그 결실이 2017년 3월 종편 재승인 과정에서 반영되어야 하는데, 일이 생각보다 만만치가 않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1000점 만점에서 650점 이하를 받은 TV조선의 재허가를 당연히 취소해야 하는 상황임에도 이를 의결하지 않고 뜸을 들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조금만 설명 드리겠습니다. 종편은 3년마다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심사를 받습니다. 방송내용과 경영상태도 보고요. 방송의 공적책무를 잘 지켰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서 3년간 또 방송을 하게 해줄지 결정하는 겁니다. 바로 지난 2월 24일 방송통신위원회가 구성한 심사위원단의 평가결과가 나왔답니다.
<미디어오늘> 보도에 따르면 이번에 심사를 받은 JTBC, TV조선, 채널A 3개 회사 중에서 TV조선의 성적이 합격점 아래라고 합니다. 지난 6일 방통위가 JTBC와 채널A는 부르지 않고, TV조선 관계자만 불러 의견 청취를 진행했다는 사실도 밝혀졌습니다.
꾸물대는 방통위, 또 TV조선 봐주기?
그런데 방송통신위원회는 심사결과를 의결하지 않고 있습니다. 함께 심사를 진행했던 보도 전문채널 YTN과 연합뉴스TV에 대해 재승인을 의결한 것에 비해, 종편 3사 의결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뚜렷한 이유도 밝히지 못한 채 의결 일정조차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650점이라는 합격선 이상의 점수가 나올 때마다 빠르게 재승인을 해주던 방통위가, 어쩐 일로 이처럼 뜸을 들이는 걸까요. 이것은 누가 보더라도 합격점에 미달한 TV조선을 봐주기 위해 방송통신위원회가 애를 쓰고 있다고밖에 볼 수 없습니다.
사실 저는 방통위가 TV조선을 봐줘야 한다며 내놓을 명분도 무엇일지 뻔히 짐작이 갑니다. 아마 TV조선은 깊이 반성하는 모양새를 보였을 것이며, 문제 있는 출연자와 프로그램을 정리한다거나, 시사토크쇼를 줄이겠다거나, 향후 콘텐츠 투자비율도 높이겠다는 입에 발린 약속을 내놨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행위는 이미 3년 전 재승인 과정에서도 똑같이 반복된 것이었습니다.
2014년 종편 재승인 당시 방통위는 사실상 봐주기 심사로 종편에 대한 '조건부 재승인'을 의결하면서 여러 가지 개선안을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TV조선은 그런 약속을 제대로 지키지 않았습니다. 지난 3년 동안 오보·막말·편파보도로 받은 징계가 2014년 95건에서 2016년 161건으로 오히려 크게 늘어났습니다. TV조선이 규제기구인 방통위를 얼마나 우습게 봤으면 재승인 심사가 가까워질수록 징계가 줄기는커녕 오히려 늘어났겠습니까.
TV조선은 콘텐츠 투자 약속도 단 한 번도 지킨 적이 없습니다. TV조선은 출범 당시 사업계획서에서 약속한 콘텐츠 투자금의 16%밖에 이행하지 않아 2014년 1월 방통위로부터 3750만 원의 과징금 처분을 받았습니다. 이후 TV조선은 2014년 3월 재승인을 받으면서 다시 제출한 투자계획마저 82%만 이행해서, 2016년 8월 방통위로부터 다시 4500만 원의 과징금 처분을 받았습니다.
이렇듯 약속 불이행을 밥 먹듯 반복했던 TV조선이 벼랑 끝에 서자 살려달라며 사탕발림 같은 개선안을 내밀었다고 칩시다. 그렇다고 방통위가 또다시 규정과 원칙을 저버리고 덥석 재승인을 해준다면, 이는 방통위가 관리·감독 기관으로서의 자격과 역할을 스스로 포기하는 것입니다.
결과 나온 재승인 심사, 원칙대로 처리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