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꾸로 세계지도해양수산부가 바다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거꾸로 제작해 정부 각 부처와 국회에 배포한 세계지도.
사진제공 해양수산부
해운강국을 위한 구체적 정책으로 한국해양진흥공사를 설립해 선박을 확보하고 선사를 지원하겠다고도 했다.
김 장관은 "세계 경기가 호황일 때 국적 선사는 배가 없어 외국 선사에 고액의 용선료를 지불해야했다"고 한 뒤, 조선업을 육성하고 선사의 용선료를 낮추는 방안으로 "화주와 선사가 공동으로 선박 제조에 투자해 선박 장기임대로 이익이 발생하면 배당하고 재투자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선박을 확보하더라도 국제해운동맹체제에 대응해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먼저 한국형 해운동맹을 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형 해운동맹이라 할 수 있는 한국해운연합을 결성할 필요가 있다. 항로 통합과 노선 조정으로 중복투자를 피하는 대신 신항로를 개척해 선사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수산업 활성화와 섬 접근성 강화를 위해 "바다생태계를 살리고, 고갈된 어족자원 복원 프로젝트를 진행하겠다. 명태의 경우 인공양식에 성공해 2~3년이면 상업화가 가능하다. 학교급식에도 친환경수산물 공급을 확대하겠다"고 했으며, "연안여객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적자 항로에 보전을 늘리거나 준공영제로 전환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남북관계 좋아지면 해상파시 바로 할 수 있다"김 장관은 해양수산 분야 정책과제로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를 강조했다.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조성은 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이 2007년 10·4남북정상공동선언 때 합의한 내용이며,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다.
김 장관은 "남북관계 개선으로 평화가 오면 인천만큼 좋은 데 없다. '인천~해주' 직항로 개설이 가능하고, 서해 공동어로구역을 지정할 수 있다"며 "수산업 분야 남북경협은 개성공단과 달리 전기·도로·상하수도 등의 기반시설 투자가 필요 없다. 남북관계가 개선되면 바로 바다에 배를 띄워 시작할 수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그는 "해상파시는 바지선 띄어놓고 교역하면 된다. 남북이 공동으로 어장을 관리하고, 남측이 북측 어획물을 사오면 된다. 남북관계가 좋아지면 바로 할 수 있는 게 수산업 경협이다"라며 "서해를 갈등과 분열의 공간에서 평화와 협력의 지대로 만들어야한다. 남북관계 개선에 대비해 해수부에 실무팀을 구성해 수산업 경협을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장관이 제시한 '해상파시' 준비는 강연 후 더 구체화됐다. '서해 5도 중국어선 불법조업 대책위원회'와 시민단체가 공동으로 구성한 '서해 평화와 생존을 위한 인천시민대책위원회'는 이날 김 장관에게 해상파시를 건의할 생각이었으나, 김 장관이 먼저 언급하자 급물살을 타게 됐다.
'서해 평화와 생존을 위한 인천대책위' 관계자는 "장관에게 요청하고 나서 해수부 실무팀에서 연락이 왔다. 해상파시에 필요한 정책과제를 연구하고 실천하기 위해 해수부에 민관협력을 제안했고, 해수부는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