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노동운동, 미래는 노동자들 연대로 만들어 가야"

[영상] 1987년 노동자 대투쟁 30주년 부산지역 노동자한마당 현장

등록 2017.09.14 09:51수정 2017.09.14 21:14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a

"MBC를 국민에게 돌려드리겠습니다" 87년 노동자 대투쟁 30년 행사에 참석한 한 어린이가 MBC노조 유인물을 들고있다. ⓒ 진민용


1987년 6월항쟁으로 촉발된 노동자 대투쟁은 한국민주주의 발전과 더불어 노동의 가치, 노동자의 권익에 전환을 가져왔다. 이같은 기념비적인 해를 기념하는 대회가 부산에서 열렸다. 약 2천여 명의 부산지역 민주노총 산하 지부 노동자들은 13일 저녁 송상현광장에 모여 노동운동의 역사를 기념하고 현안들에 대해 투쟁을 다짐했다.


이 날 행사에는 KBS와 MBC 언론노조 조합원들도 참석해 최근 파업사태에 대해 조합원들의 격려를 당부했고, 부산 공무원 노조는 엘시티 관련 서병수 부산시장의 책임론을 거론하며 강도높게 규탄했다. 또 공공운수노조와 최근 폐업한 침례병원의 공공병원 전환을 요구하는 서명운동도 아울러 했다.

김재하 민주노총 부산본부 본부장은 대회사를 통해 "지난 촛불로 적폐세력들은 한 풀 꺾였다. 그러나 온전히 청산되지 않고 저항하고 있다. 또 현 정권은 적폐청산에 소극적이며 우왕좌왕 하고 있다. "며 "결국 노동자 민중의 투쟁으로 문재인 정권이 적폐청산의 올바른 길로 가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양한 문화행사와 프로그램으로 진행된 노동자 한마당을 영상으로 정리했다.



#민주노총 부산지부 #김재하 본부장 #87민주항쟁 #노동자 대투쟁 #노동자 한마당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키워드 부산, 영화, 문화, 종교 중심의 글을 쓰는 <뉴스M> 기자 입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3일마다 20장씩... 욕실에서 수건을 없애니 벌어진 일
  2. 2 참사 취재하던 기자가 '아리셀 유가족'이 됐습니다
  3. 3 [단독] '윤석열 문고리' 강의구 부속실장, 'VIP격노' 당일 임기훈과 집중 통화
  4. 4 이시원 걸면 윤석열 또 걸고... 분 단위로 전화 '외압의 그날' 흔적들
  5. 5 23만명 동의 윤 대통령 탄핵안, 법사위로 넘어갔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